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 어닝 시즌 개막"…23일 테슬라부터 엔비디아까지, AI 패권주 '실적 전쟁' 뜬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뉴욕 증시가 AI 기대감과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시장을 이끈 핵심 빅테크 기업들이 줄줄이 2분기 실적(2025년 4~6월)을 공개한다.

 

이번 실적 시즌은 AI 투자 확장, 전기차 시장 둔화, 클라우드 경쟁, 반독점 리스크 등 다양한 변수 속에서 주요 ‘트리거’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Bloomberg, CNBC, WSJ 등이 보도했다.

 

테슬라 vs 시장 기대…“머스크의 입” 주목

 

가장 먼저 7월 23일 실적을 발표하는 전기차 기업 테슬라(Tesla, Nasdaq: TSLA)는 2분기 인도량 감소라는 악재 속에서 향후 AI 기반 로보택시(Robotaxi) 전략과 원가 절감 성과가 실적 이상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분기 인도량은 44만4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1% 하락으로 전망됐다. 하지만주가 추이는 6월 $293 → 7월 현재 $329로 상승한 상황이다. 로보택시 출시관련해 6월 오스틴 시험 서비스 시작, 8월 8일 정식 발표 예정을 앞두고 있다.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Full-Self Driving, FSD)과 조지아주 'Dojo 슈퍼컴퓨터' 투자 증대가 향후 기업가치를 결정할 요소로 주목하고 있다.


7월 30일, 클라우드 혈전의 전운…MS vs 아마존 vs 메타

 

2025년 2분기 미국 기술업계는 AI 전면전과 클라우드 패권 경쟁, 기술 혁신의 분기점에서 주가와 실적이 교차하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MS, 메타,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4대장이 각자의 전략과 수치로 시장 내 입지 다지기에 나서면서, AI와 클라우드 중심의 뉴노멀 질서가 뚜렷하게 조성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애저(Azure) 2분기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27~30% (Bloomberg 컨센서스)이며, AI 기반 SaaS 구독모델(GitHub Copilot, M365 Copilot 등)로 수익 구조 강화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출시된 ‘코파일럿 랩’이 대형 기업 사용자 도입을 촉진, AWS(아마존웹서비스)와의 격차를 지속적으로 축소 중이다.

 

클라우드·AI 양대 성장 축에 의존하는 MS는 B2B 시장에서 대규모 고객을 중심으로 코파일럿 서비스의 확산 효과가 실적에 빠르게 반영되며, 월가의 시각도 급격히 긍정적으로 전환되고 있다.

 

 

메타(META)의 핵심 전략은 GPU와 인재에 대한 공세적 투자, 그리고 플랫폼 전반의 AI 기능 내재화다. 실적 발표에서는 AI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 이슈와 그 장기적 수익성 전환 속도가 핵심 평가 기준이 될 전망이다.

 

애플의 새로운 AI 전략은 객관적 실적 개선과 혁신성 측면에서 "명확한 반전"의 갈림길에 있다. 후발주자 이미지를 뒤집을 수 있을지, iPhone 16 등 차세대 하드웨어와 AI 통합 전략의 실행력이 관전 포인트다.

 

아마존(Amazon) 역시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인프라 최적화가 명확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AWS의 실적이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트렌드를 가늠하는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

 

2025년 기술업계, “AI 혁신=실적증명” 공식


AI가 기업의 주가와 실적을 좌우하며, 클라우드·AI 사스(SaaS) 등 신선한 수익 구조가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이제는 기술력과 비전뿐 아니라, 실적과 '이익화 속도'가 진정한 서열을 가를 주요 기준임이 명확해졌다.

 

기술력과 미래 비전은 넘치지만, 기업은 이제 냉정한 실적으로 기대를 충족시켜야 할 때다. “누가 진짜 AI 기업인가?”라는 질문에 가장 명쾌한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번 실적이 될 것이다.

 

이노베이션 인사이트 리서치는 “AI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니라 현재다. 이제 진짜 수익으로 연결되는 모델이 옥석을 가를 것이다”고 논평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사라짐의 그림자”… 사랑하는 이를 잃은 가족, 끝나지 않는 ‘모호한 상실’의 심연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미주리 주, 일레븐 포인트 강 근처. 레이첼 간츠는 남편 존이 사라진 지 3개월이 넘은 지금도 매일 아침 “존재하고 싶지 않은 현실”에서 깨어난다. 극심한 홍수 속에서 남편을 잃은 그녀는 전문가들이 ‘모호한 상실(ambiguous loss)’이라 부르는 상태에 갇혔다. 이는 전 세계 수많은 가족들에게 닥친 현실이다. 전통적 애도와 다른 ‘모호한 상실’의 본질 모호한 상실은 ‘확실한 끝’이 없는 상실이다. 1970년대 미네소타대 폴린 보스 박사가 처음 명명한 이 개념은, 사랑하는 사람의 실종처럼 남겨진 가족이 실질적인 이별조차 할 수 없는 고통을 의미한다. 장례식도, 사망 진단서도 없기에 애도와 수용의 의식이 부재하다. 보스 박사는 “이분법적 관점(흑백·생사)을 버리지 않으면 그 고통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며, 남겨진 이들의 상실감과 트라우마는 “평생 얼어붙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반복적 언론 노출, 그 후 찾아오는 ‘정적’은 슬픔을 더욱 심화시킨다. 리디아 루덴코 등 많은 실종자 가족들은 “어떤 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또 어떤 이는 나서서 행동하게 된다”고 토로한다. 글로벌 실종자 규모와 현황 모호한 상실은

[빅테크칼럼] 젠슨 황 “中 AI는 엔비디아 없는 세상도 준비돼 있다…파산할지 모른다는 압박감이 성장 이끌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 빠져도, 중국 AI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가 중국을 찾아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졌다. “중국에서 엔비디아가 없어도, 화웨이와 같은 혁신 기업들이 자체 해법을 찾아낼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미·중 기술 패권 여부를 넘어, 향후 글로벌 AI·반도체 경쟁 구도 전반에 중대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엔비디아 없으면 화웨이가 길을 낼 것”…자립 가능한 中 AI에 대한 낙관 젠슨 황 CEO는 7월 20일 중국 관영 매체 CCTV ‘페이스 투 페이스’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국의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화웨이는 규모와 인재, 기술력에서 매우 강력한 회사"라며 "AI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도 자체적인 공급망을 바탕으로 AI 기술을 자립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실제로 황 CEO는 "중국 개발자들은 자원의 제약 속에서도 놀라운 기술적 창의성과 적응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

삼성전자, 美 테일러 파운드리 인력 파견 재개…"2026년 양산 목표 초읽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약 1년여 간 중단했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첨단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인력 파견을 전격 재개했다. 이번 전개는 단순한 공정 정상화가 아닌, 미국 현지 고객 대응력 강화, 글로벌 반도체 리더십 재확장이라는 다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중단된 인력 파견, 환율·설비조달 이슈 딛고 재개 복수의 업계 및 사내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7월부터 본사 반도체(DS) 부문에서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으로의 인력 파견을 점진적으로 재개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공정, 장비, 수율, 품질 부문 등 양산 전환에 필요한 '코어 역량 인력'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환율 급등, 자재 확보 불균형 등으로 예정된 건설 속도를 조절하고 일부 파견 인력을 철수한 바 있다. 2024년 말까지 원∙달러 환율은 1390원대까지 상승하며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채산성을 떨어뜨렸다. 그러나 최근 환율 안정세, 미국 내 반도체 산업지원법(CHIPS Act) 본격화 등 긍정적인 대외 환경 변화 속에 인력 재파견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6년 양산 핵심 기로…“클린룸 마감 공사도 속도전” 삼성전자는 당초 계획대로 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