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러시아 '반세기'만에 달 탐사戰 뛰어든다…루나 25호 11일 발사예정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로스코스모스는 11일(현지시각) 루나-25 달 탐사선이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KBS방송 화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통의 우주강국 러시아가 약 반세기 만에 달 탐사에 나선다. 냉전 시절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구소련의 ‘루나 계획’이 10여 년간 치열한 경쟁을 벌인 지 약 반세기 만이다. 정확히 1976년 이후 47년 만이다.

 

7일(현지시각)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로스코스모스는 11일(현지시각) 루나-25 달 탐사선이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5550km 떨어진 극동 지역의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로스코스모스에 따르면 루나-25는 달의 남극에 도달하는 최초의 탐사선이 될 예정이다. 루나-25의 주요 임무는 연착륙 기술 개발, 달의 내부 구조 연구, 물을 포함한 자원 탐사 등으로, 착륙 후 1년간 달 표면에서 활동하게 된다.

 

발사에 앞서 러시아 당국은 발사일인 11일 새벽 발사장 남동쪽에 있는 하바로프스크주 샤흐틴스키 마을에 대해 주민 대피령을 내릴 계획이다. 이 마을은 로켓 추진체가 분리된 뒤 낙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라 위험할 수도 있기때문이다.

 

러시아의 달 탐사선 루나 25호가 발사될 보스토치니 기지는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약 5500㎞ 떨어진 러시아 극동 지방의 우주 센터다.

 

러시아관영통신 타스 등에 따르면 “이번 달 탐사선 발사는 (구소련 시절인) 지난 1976년 루나 24호를 달에 보낸 지 47년 만”이라며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과 유인 우주선을 쏘아 올린 러시아의 새로운 우주 탐사 역사가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루나 25호가 사상 최초로 달 남극에 도착하는 탐사선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도가 4주 앞선 지난 14일 ‘찬드라얀 3호’ 달 탐사선을 먼저 쏘아 보냈지만, 지구 주변을 긴 타원 궤도로 몇 차례 공전한 뒤 달 궤도에 진입하는 우회 경로로 가서 약 한 달의 시간이 걸린다.

 

반면 루나 25호는 달로 바로 가는 경로를 채택, 불과 5일이면 도착한다. 이후 달 궤도에서 5~7일가량 보낸 후 이달 하순쯤 남극 보구슬라프스키 크레이터(분화구) 근처에 착륙할 계획이다.

 

인도 찬드라얀 3호와 러시아 루나25호 중 어느 탐사선이 먼저 목적지에 도착할지도 관심사다. 로이터통신은 “러시아와 인도 탐사선 모두 비슷한 시기에 달에 도착할 것”이라며 “루나 25호가 먼저 착륙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반세기전 미국·소련 초강대국간의 달 탐사 경쟁이었다면 현재는 인도, 중국, 일본까지 달탐사 프로젝트에 뛰어들면서 강대국들의 기술시험장이 된 상황이다.

 

인도가 지난달 탐사선을 발사했고, 중국과 일본 역시 달 탐사 계획에 뛰어들었다. 중국은 지난 2019년 사상 최초로 달 뒷면에 탐사선(창어 3호)을 착륙시켰다. 또 내년에 창어 6호와 7호를 연달아 보내 달 남극을 조사할 계획이다. 일본은 지난 4월 민간 우주기업 ‘아이스페이스’의 무인 달 탐사선 ‘하쿠토-R’이 달 착륙을 시도했다.

 

우주 최강국 미국은 이미 ‘아르테미스’ 유인 달 탐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인도,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등 27국이 참여했다. 한국 역시 지난해 12월 달 궤도선 ‘다누리’가 궤도 진입에 성공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한국, 유럽연합 245조원 ‘세이프’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참여 추진…K-방산 유럽시장 진출 가속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이 유럽연합(EU)의 1500억 유로(약 245조원) 규모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세이프’(SAFE)에 공식 참여 의향서를 제출하며 유럽 방산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13일 EU 집행위원회와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최근 이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공식 표명하는 공식 서한을 제출했다. 외교부는 “한국 방산기업의 유럽시장 확대와 한-EU 방산 협력 강화가 목표”라고 밝혔다. 이 의향서는 참여 절차의 첫 단계로 실제 참여 조건과 범위는 추후 EU와의 협상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세이프 프로그램은 EU가 2025년 5월 제정한 재무장 지원 정책으로,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무기를 구매할 때 저리 장기 대출을 제공한다. 2026년 초부터 본격 시행된다. 예산 규모는 1500억 유로에 달하며, EU의 높은 신용등급을 기반으로 장기 대출을 유리한 조건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출 자금은 포탄, 미사일, 정밀타격무기, 보병장비, 드론, 사이버 방어, 군사 이동성, 우주자산 보호, 인공지능 및 전자전 등 다양한 최첨단 방위산업 분야에 투입된다. 원칙적으로 대출금은 구매 무기의 제3국산 부품 비율이 35%를 넘어서는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