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美 '민간 우주선' 달 착륙 성공…"희미한 신호 잡혔다"

인튜이티브 머신스 '오디세우스' 민간 최초의 달 착륙선
NASA "아폴로 17호 이후 반세기만에 착륙"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가 보내온 사진 [인튜이티브 머신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의 민간 무인 달 착륙선 '노바-C(오디세우스)'가 23일 오전 8시24분경(한국시각) 달 착륙에 성공했다.

 

미국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개발한 노바-C(오디세우스)는 달 착륙에 성공한 인류 최초의 민간 무인 달 착륙선이 됐다.

 

현재까지 구소련, 미국, 중국, 인도, 일본 등 5개국이 달 착륙에 성공했지만 모두 정부가 주도한 일이었다. 미국으로서는 1972년 12월 아폴로 17호 임무 이후 52여년 만에 성조기를 단 우주선이 달에 착륙하게 됐다.

 

인튜이티브 머신스측은 자사의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노바-C)가 미 중부시간 기준 22일(현지시간) 오후 5시 24분(한국시간 23일 오전 8시24분)께 달 남극 근처의 분화구 '말라퍼트 A' 지점에 착륙했다고 밝혔다. 지난 15일 오디세우스가 플로리다주의 NASA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우주를 향해 발사된 지 약 일주일만이다.

 

업체 측은 착륙 예정 시간 이후 한동안 우주선과 교신에 어려움을 겪다가 10분여 뒤 희미한 신호가 잡혔다고 밝혔다. 다만 착륙 과정을 중계하면서 환호하는 관제센터의 모습만 보여줬을 뿐 우주선이 직접 촬영한 달 영상은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스티븐 알테무스 최고경영자(CEO)는 "이것이 어려운 일이었다는 알지만, 우리는 달 표면에 있고, (신호를) 송신 중"이라며 "달에 온 것을 환영한다"(Welcome to the moon)라고 말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도 웹캐스트를 통해 "미국이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민간 탐사선으로 달에 착륙했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과 인튜이티브 머신스  관계자들이 노바-C의 달 착륙 성공 소식에 기뻐하고 있다. [NASA 유투브]

 

노바-C는 달에 밤이 찾아와 태양광을 받을 수 없을 때까지 일주일 동안 작동될 예정이다.

 

공중전화 부스 크기 정도인 노바-C는 높이 3m에 675㎏, 지름 2m 크기다. 오디세우스는 다양한 관측·탐사 장비 6개가 탑재됐다. 또 유명 미술가 제프 쿤스가 협업해 제작한 달 형상 조형물과 의류업체 컬럼비아가 개발한 우주선 보호용 단열재 등도 장착됐다.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NASA의 재정 지원을 받아 개발했다.  노바-C는 나사의 아르테미스(Artemis) 달탐사 프로젝트의 핵심 축인 상업용 달 발사체 서비스(CLPS)의 두번째 미션이다.

 

앞서 우주기업 애스트로보틱은 지난달 CLPS의 첫번째 미션으로 달착륙선 '페레그린'을 발사했지만 달 착륙에 실패했다. 일본의 달 탐사선도 지난달 달 착륙에는 성공했으나, 전력 문제로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한국, 유럽연합 245조원 ‘세이프’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참여 추진…K-방산 유럽시장 진출 가속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이 유럽연합(EU)의 1500억 유로(약 245조원) 규모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세이프’(SAFE)에 공식 참여 의향서를 제출하며 유럽 방산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13일 EU 집행위원회와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최근 이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공식 표명하는 공식 서한을 제출했다. 외교부는 “한국 방산기업의 유럽시장 확대와 한-EU 방산 협력 강화가 목표”라고 밝혔다. 이 의향서는 참여 절차의 첫 단계로 실제 참여 조건과 범위는 추후 EU와의 협상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세이프 프로그램은 EU가 2025년 5월 제정한 재무장 지원 정책으로,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무기를 구매할 때 저리 장기 대출을 제공한다. 2026년 초부터 본격 시행된다. 예산 규모는 1500억 유로에 달하며, EU의 높은 신용등급을 기반으로 장기 대출을 유리한 조건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출 자금은 포탄, 미사일, 정밀타격무기, 보병장비, 드론, 사이버 방어, 군사 이동성, 우주자산 보호, 인공지능 및 전자전 등 다양한 최첨단 방위산업 분야에 투입된다. 원칙적으로 대출금은 구매 무기의 제3국산 부품 비율이 35%를 넘어서는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