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의회 사상 첫 AI 청문회···챗GPT 창시자 "AI 규제 필요"

美 상원 청문회서 'AI 개회사' 등장
챗GPT 출시자 "정부가 AI 허가증 발급해야"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16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법제사법위원회 사생활·기술·법소위가 연 AI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선서하고 있다.  [워싱턴의회]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생성·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가 정부 차원의 AI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16일(현지시간)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미 상원 법사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 출석해 "나의 최악의 두려움은 기술 산업인 우리가 세상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이다. 이 기술이 잘못되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소신발언했다.

 

그는 AI가 일자리를 파괴할 수 있고, 전쟁 도구로 악용될 수 있는 점 등 잠재적 폐해에 대한 불안감을 인정했다. 그러나 AI는 이점이 위험보다 훨씬 크다고 주장하며 규제를 통해 AI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상원 법사위 개인정보 및 기술 법률 소위는 ‘AI에 대한 감독: AI를 위한 규칙’을 주제로 한 청문회를 열었다.

 

리처드 블루먼솔 소위 위원장은 “우리는 기술이 규제를 능가할 때 허위 정보의 확산,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너무나 자주 보아 왔다”는 내용의 개회사를 들려준 뒤 “이 연설문 오디오는 AI 음성 복제 소프트웨어였고, 발언문은 챗GPT가 작성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재밌다고 여길 수 있지만, 이것이 우크라이나 침공이나 블라디미르 푸틴을 옹호하는 내용이라면 어땠을지 무섭다”고 말했다.

 

블루먼솔 위원장은 그러면서 “AI는 희망적인 동시에 정보의 무기화, 불평등의 조장, 목소리 복제 사기 등 잠재적 해악도 품고 있다”며 “가장 끔찍한 것은 이 같은 새로운 산업 혁명으로 수백만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트먼은 첫 AI 청문회에서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AI가 여론을 조작할 가능성에 관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그는 “내년에 대선이 있고, 정보를 조작하고 설득하는 AI 모델의 일반적인 능력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AI 규제는 필요하다”고 인정했다.

 

민주당 크리스 쿤스 의원은 “AI가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과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회는 이제까지 소셜미디어에 대한 규제에 실패해 왔다”며 “AI가 민주주의의 가치에 대한 믿음을 훼손할 가능성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오픈AI의 아버지인 올트먼은 “챗GPT와 같은 AI 도구는 인쇄기나 전기, 바퀴나 불만큼 (인류 발전에) 영향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가장 우려하는 분야 중 하나는 이러한 모델이 설득과 조작을 통해 일종의 일대일 대화형 허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라며 “책임 문제에 있어 어떤 체계를 설정할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정부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출시하는 데 있어 일정 역량 이상의 허가와 시험 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며 “일정 규모 이상 활동에 대해 허가권을 가진 새로운 기관을 설립하고, 위험 요소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순진하게 들릴 수 있지만, 국제원자력기구(IAEA)처럼 미국이 다른 국가와 협력해 AI 국제 표준을 설정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출석한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부회장 겸 최고개인정보보호책임자는 AI 개발 방식보다는 AI의 사용 방식에 대한 정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 의회 의원들은 여야 공히 AI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적절한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며 별도 규제 기구의 설립에 합의했다.

 

공화당이 다수당인 하원도 AI 코커스가 별도 비공개 모임에서 올트먼을 초청해 AI 규제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백악관은 앞서 오픈AI를 비롯해 구글 등 핵심 기업을 초청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주관으로 대책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조 바이든 대통령도 깜짝 참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