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챗GPT 만든 샘 올트먼 "AI는 강력한 도구…한국과 AI반도체칩 협력 기대"

오픈AI 창업자 샘 알트만 CEO, 9일 한국방문
중기부 초청 대담 행사 참석...이영 장관과 대담
"한국은 기술 역량 상당해 AI 잘 활용" 평가

9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K-스타트업 미트 오픈 AI'에 참석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오른쪽)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대담을 하고 있다. [중소벤처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챗GPT의 아버지'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9일 방한해 한국과의 협력가능성을 비쳤다.

 

그는 9일 서울 영등포구 63빌딩 그랜드볼룸 2층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초청으로 진행된 'K-스타트업, 오픈AI를 만나다'라는 주제의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알트만 CEO는 "한국은 흥미로운 국가다. 인터넷 보급률도 높고 기술 역량도 상당히 높은 편"이라면서 "전세계에서 볼 수 없는 소프트웨어가 있고, 하드웨어 기술도 뛰어나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환경 덕분에 한국이 AI를 잘 활용하고 있고, 오픈AI는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칩 기술에도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한국 스타트업들이 굉장히 훌륭하다. 특히 딥테크 스타트업에 관심이 많다"면서 "한국과는 칩개발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고 말했다.

 

올트먼 CEO는  AI 기술과 관련 윤리적인 문제, 개인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업을 조심스럽게 전개해나가야 한다"면서 "AI는 기술적인 장점은 있지만 피해도 줄 수 있다. 개인의 인권을 어디까지 존중해야 하는지 사회적 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올트먼 CEO는 '오픈AI 투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를 돌며 국가수반을 만나고 AI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 중이다.

 

그는 "AI기술은 잠재력이 있고 강력한 도구지만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규제를 만들 때 많은 사람에게 장점이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정부 관계자, 규제 당국자들과 이야기를 한 결과 '혁신은 계속돼야 한다'는 의지는 공통적으로 갖고 있었다"고 전했다.

 

오픈AI의 공동창업자인 그레그 브록먼(Greg Brockman)은 "AI 기술을 규제하기보다는 활용 사례에 중점을 맞춰야 한다"며 "AI는 모든 분야의 인간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섹터마다 규제가 달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픈AI처럼 빠르게 진입한 선발주자들이 미래에 초점을 맞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면서 "기술을 통해 인류에게 좋은 방향을 열어주고, 정부와 함께 노력하며 사회적 합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실리콘밸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인류를 위해 기여하고 싶다"며 "많은 창업가가 스타트업을 하려면 지금이 적기라고 생각한다. AI기술을 기반으로 많은 놀라운 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