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빅테크칼럼] “SK하이닉스, 2년 뒤 영업이익 90조 전망”…맥쿼리 ‘파격 전망’ 배경과 현실성

맥쿼리, SK하이닉스 2년 뒤 90조 ‘파격 전망’
AI·빅테크 수요 폭증에…“HBM ‘초격차’ 현실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맥쿼리가 2027년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을 90조7000억원으로 전망하며, 국내외 반도체 업계와 증권가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2024년 영업이익(약 23~32조원)의 3~4배에 달하는 수치로, 국내 증권사 평균 전망치(2027년 39조~45조원)보다 두 배 이상 높다. 맥쿼리의 전망이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다.

 

HBM 독주가 견인하는 실적 급증


맥쿼리는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부문 독주를 실적 급증의 핵심 근거로 들었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2025년 1분기 기준 글로벌 HBM 시장 점유율 70%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D램 전체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를 제치고 매출 1위에 올랐다. HBM은 AI 서버, 초고성능 컴퓨팅 등 차세대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는 핵심 제품군이다.

 

맥쿼리는 2024년 SK하이닉스의 HBM 매출이 전년 대비 330% 급증한 5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전체 D램 매출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7년 74%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는 약 45%수준이다. 주요 고객사 매출 비중은 엔비디아 65%, 브로드컴 20%, 아마존웹서비스 15%로 예상된다.

 

미국 매출 비중 70% 돌파…AI·빅테크발 수요 폭증


SK하이닉스의 HBM ‘완판’ 행진은 미국 빅테크의 AI 서버 투자와 맞물리며, 2025년 1분기 전체 매출 중 미국 비중이 72%까지 치솟았다. 이는 전년 동기 50% 대비 22%포인트 급증한 수치다.

 

HBM3E(5세대) 12단 제품이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되며, 후속 HBM4(6세대) 12단 제품도 조기 샘플 공급에 성공했다.

 

증권가 평균 전망치의 두 배…‘초과현금·자사주 매입’ 기대감


맥쿼리는 SK하이닉스의 2025년 영업이익을 44조4000억원, 2026년 68조8000억원, 2027년 90조7000억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국내 증권사 평균 전망치(2027년 39조~45조원)를 크게 웃돈다.

 

맥쿼리는 이익 급증에 따라 SK하이닉스가 내년부터 초과현금을 바탕으로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에 나설 가능성도 높다고 진단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2.4배 수준의 현 주가(24만6000원)는 고평가가 아니며, 목표주가를 36만원으로 17% 상향 조정했다.

 

리스크 요인도 존재…경쟁·공급망·수율·중국 변수

 

장밋빛 전망도 있는 것은 아니다. 


맥쿼리는 SK하이닉스의 HBM4 일부 공정을 대만 TSMC에 외주하는 과정에서 마진 하락 우려, 청주 M15X 공장 건설 지연, 중국 업체의 시장 진입, HBM4 생산 수율 저하 등을 주요 리스크로 꼽았다. 또한, HBM 매출의 엔비디아 쏠림 완화와 매출처 다변화, 미국·중국 등 지정학적 변수도 중장기 관전 포인트다.

 

“HBM 기술력, 저평가 해소될 것”


국내외 애널리스트들은 SK하이닉스의 HBM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에 주목하며, 현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진단한다. 월가 컨센서스 기준 SK하이닉스의 적정주가는 평균 26만~36만원, 최고 35만원으로 평가된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독보적 리더십과 AI 서버 수요 폭증, 미국 빅테크 매출 급증을 바탕으로 사상 최대 실적 경신이 유력하다.

 

빅테크 전문가는 "맥쿼리의 2027년 영업이익 90조원 전망은 시장 평균치의 두 배를 넘는 만큼, HBM 시장 성장세와 경쟁 구도, 공급망 리스크 등 변수에 따라 실제 실현 여부는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NIA-인공지능안전연구소, AI 모델 안전성 확보 시동…"LLM 안전성 및 신뢰성 평가 데이터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AI 모델의 안전성 및 신뢰성 평가 기반 구축을 위한 「LLM 안전성 및 신뢰성 평가 데이터셋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를 8월 7일(목) NIA 서울사무소에서 개최했다. 이 사업은 NIA와 과기정통부가 추진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되는 AI 모델 등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특히 AI 모델의 위험 요소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검증 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NIA는 그동안 AI 허브를 통한 대규모 AI 학습데이터 구축, AI 바우처 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 등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발전을 주도해왔다. 이번 사업을 통해 NIA는 AI 모델의 성능 평가를 넘어 안전성과 신뢰성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AI 평가 체계를 구축하며, 글로벌 AI 거버넌스 논의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이번 과제에서는 사이버 보안, AI 자율성, 사실 기반 정확성, 사

시몬스 침대, ‘신라모노그램 강릉’ 전 객실 납품…‘호텔침대=시몬스’ 공식 '입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수면 전문 브랜드 시몬스(대표 안정호)가 ‘신라모노그램 강릉’ 전 객실에 자사 매트리스를 납품하며 ‘호텔침대는 시몬스’라는 공식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실제 시몬스는 국내 주요 특급호텔 90% 이상에 매트리스를 공급하고 있는 ‘호텔침대의 대명사’다. ‘신라모노그램’은 호텔신라에서 전개하는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강릉 대표 명소이자 힐링 스팟으로 유명한 송정해변 앞에 들어섰다. 신라모노그램 강릉은 전 객실의 90% 이상에서 탁 트인 동해 바다와 소나무 숲을 함께 조망할 수 있어 일상 속 여유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 또한, 자연이 주는 힐링과 시몬스 침대의 포근함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특급호텔의 명성에 걸맞은 진정한 휴식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신라모노그램에는 시몬스의 대표 매트리스 컬렉션이자 업계 메가히트 매트리스 컬렉션인 ‘뷰티레스트’가 비치됐다. 뷰티레스트는 몸을 부드럽게 감싸며 하루의 피로를 녹여주는 듯한 안락함을 선사한다. 특히 신체 움직임에 단계적으로 반응하는 ‘더블-포켓스프링’을 매트리스 가장자리에 배열한 ‘더블 엣지 시스템’을 통해 매트리스 어느 위치에서도 강화된 지지력을 느낄 수 있다. 최고급

[이슈&논란] 28년 만의 초강수?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현실화되나…건설업계 초긴장, 전국 103곳 공사 올스톱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포스코이앤씨(POSCO E&C)가 올해 들어 5건의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국내 건설업계가 사상 초유의 '면허취소' 위기에 직면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직접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모든 방안을 검토하라”고 관계부처에 강경 조치를 지시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이후 대형 건설사의 면허취소가 현실화된다면, 28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면허취소, 건설업계 최대 징계…단 한 번의 전례 “성수대교 붕괴 동아건설” 현행 건설산업기본법 83조에 따르면, ‘고의나 중대한 과실로 부실시공 등으로 공중에 위험을 끼쳤을 경우’에만 건설업 면허 취소가 가능하다. 산업재해로 인한 인명사고는 역대 한 차례도 면허취소 사유로 적용된 적이 없다. 실제로 32명이 사망한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의 책임을 물어 1997년 동아건설산업의 면허가 취소된 것이 유일한 사례다. 2022년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2023년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 등 최근 대형 참사 역시 영업정지나 공공입찰 제한에 그쳤다. “포스코이앤씨, 전국 103곳 공사 무기한 중단…5조원 규모 현장도 멈췄다” 올해 7월말까지 포스코이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