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빌 게이츠 “치매, 더 이상 사형선고 아니다”…세계 최대 신경퇴행성 단백질체 공개 "치매 치료 혁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 세계적으로 약 6000만명이 고통받고 있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BBC Science와 로이터 등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7월 16일(현지시간), ‘글로벌 신경퇴행성 단백질체학 컨소시엄(GNPC)’이 전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신경퇴행성 질환 단백질체 데이터세트를 전격 공개한 것이다.

 

이번 성과는 존슨앤드존슨(J&J)과 게이츠재단이 2023년 설립한 GNPC가 미국, 영국, 호주 등 23개 연구기관에서 수집한 혈액·뇌척수액 등 샘플 약 3만5000개, 총 2억5000만건 이상의 단백질 데이터를 인공지능 AI 플랫폼에서 집대성해 얻은 것이다.

 

 관련 논문 4편은 세계 최고 수준 의학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과 ‘네이처 에이징(Nature Aging)’ 7월 15일자 온라인판에 동시에 게재됐다.

 

“APOE4 고위험군 예측 99% 정확, 신경질환 맞춤 조기진단 시대 눈앞”


연구진은 이 데이터를 통해 알츠하이머·파킨슨·전측두엽 치매·ALS(루게릭병) 등 주요 질환별로 발병 위험, 진행 정도, 예후 예측에 활용할 고유 단백질 바이오마커 수백 종을 규명했다.

 

호주 시드니대 케이틀린 피니 교수팀은 GNPC의 뇌척수액·혈장 샘플(총 1만1270건) 데이터와 AI 분석을 결합, 알츠하이머 고위험 유전자 APOE4 보유 여부를 '99%의 정확도'로 맞출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또한 전유전적 질환 위험군에서 면역반응 단백질이 일관되게 높게 나타났으며, 개개인별 위험 예측에 '혈액 한 방울'만으로 접근이 가능해질 가능성도 높아졌다.

 

“신경퇴행성 질환 공통 및 차별 메커니즘 규명…치료 실마리 제시”


미국 워싱턴대 세인트루이스 의대 카를로스 크루차팀은 알츠하이머, 파킨슨, 전측두엽 치매 등 환자군에서 각각 특이적 단백질 프로파일과 질환별 차별 바이오마커를 제시하며, 이들이 모두 면역·염증반응 단백질과 강하게 연결돼 있음을 최초로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는 “신경퇴행 질환 치료 표적 약물 개발에 중대한 전환점”이라고 BBC Science는 전했다.

 

빌 게이츠 “치매는 더 이상 사형선고가 아니다”… 진단·치료 혁신의 현장


GNPC 창립자인 빌 게이츠 게이츠벤처스 회장은 보도자료와 GitHub 플랫폼 등에서 “혈액 기반 조기진단, 고효율 항체 치료제 등 획기적 진전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며 “알츠하이머도 더 이상 사형선고가 아닌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고 강조했다.

 

알츠하이머협회(Alzheimer’s Association)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현재 미국 내 알츠하이머 인구는 약 660만명에 달하고, 연간 의료비는 3450억 달러(약 460조원)에 달하고 있다. 글로벌 치매 인구는 2050년 1억520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WHO, 2023).

 

연구자 전용 데이터, 글로벌 공개…AI 기반 혁명 ‘가속화’


GNPC는 해당 단백질 세트 전체를 학계 연구자들에게 무료로 공개하고, 맞춤형 바이오마커 및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네이처는 “질병 경로 및 노화 기전 규명, 조기 진단, 타깃 치료제 개발을 앞당기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