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9000억원 투자유치' 머스크의 뉴럴링크, 몸값 급등·글로벌 임상 확대 "돈나무 언니까지 투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6억5000만 달러(약 9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시리즈E 펀딩에는 캐시 우드의 ARK인베스트, 세쿼이아 캐피털, 스라이브 캐피털 등 글로벌 벤처투자 대형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뉴럴링크의 기업가치는 이번 투자 전 기준 약 90억 달러(12조4000억원)로 평가됐다.

 

임상 속도전…“생각만으로 기기 조작” 환자 5명 성공


뉴럴링크는 현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임플란트 칩 ‘텔레파시(Telepathy)’를 통해 전신마비 환자 5명에게 이식에 성공했다. 이들은 뇌파 신호만으로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고, 체스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을 탐색하는 등 디지털·물리적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비언어성 ALS 환자가 뉴럴링크 칩을 통해 AI 음성합성 기능으로 자신의 목소리로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사례도 공개됐다.

 

FDA ‘혁신 의료기기’ 지정…글로벌 임상 확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뉴럴링크의 언어복원 장치와 시력복원 장치 모두에 ‘혁신 의료기기(Breakthrough Device)’ 지정을 부여했다. 이 제도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회복이 어려운 질환에 대한 혁신적 의료기기의 개발·심사를 신속하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뉴럴링크는 현재 미국, 캐나다 등 3개국에서 임상시험을 확대 중이며, 올해 20~30명의 추가 환자 이식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와 생물학적 지능 연결”…차세대 장치 개발 박차


뉴럴링크는 이번 투자금이 “더 많은 환자에게 기술을 제공하고, 생물학적 지능과 AI 간 연결을 심화하는 새로운 장치 개발에 투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뉴럴링크는 기존 ‘텔레파시’ 외에도 시각·언어 기능 회복용 차세대 임플란트와, 이식 자동화를 위한 수술 로봇(R1) 고도화 등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동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뉴럴링크의 차세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는 기존 기술을 뛰어넘는 혁신적 기능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주요 혁신 포인트는 ▲더 많은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초소형·고성능 BCI 임플란트 ▲ AI 기반 신호 해석 및 실시간 디지털·물리 기기 제어 ▲ 시각·언어 기능 회복 등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 ▲ AI-생물학적 지능 연결 심화 ▲ 비침습·자동화 수술 및 사용성 혁신을 꼽을 수 있다.

 

이처럼 뉴럴링크의 새 장치는 단순한 ‘생각으로 기기 조작’ 수준을 넘어, 신경 장애 환자의 일상 복귀, 인간-기계 융합, AI와의 실시간 상호작용 등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혁신적 기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사와의 기술경쟁, 상용화 과제…머스크, AI·로봇·BCI 삼각축 강화


뉴럴링크는 동종 업계의 싱크론, 블랙록 뉴로테크, 스타피시 뉴로사이언스 등과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다. 경쟁사들은 비침습(비수술) 방식이나 AI 기반 신호처리 등 차별화된 접근법을 내세우고 있으며, 뉴럴링크 역시 전극 수와 배터리 수명, 신호처리 정확도 등에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추진 중이다.

 

머스크는 최근 미국 정부 효율부(DOGE) 수장직에서 물러나 테슬라, 스페이스X, xAI, 뉴럴링크, X(구 트위터) 등 미래 기술기업 경영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규모 투자 유치는 뉴럴링크의 글로벌 임상 확대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상용화, 그리고 인간-기계 융합 시대의 본격 개막을 예고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사라짐의 그림자”… 사랑하는 이를 잃은 가족, 끝나지 않는 ‘모호한 상실’의 심연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미주리 주, 일레븐 포인트 강 근처. 레이첼 간츠는 남편 존이 사라진 지 3개월이 넘은 지금도 매일 아침 “존재하고 싶지 않은 현실”에서 깨어난다. 극심한 홍수 속에서 남편을 잃은 그녀는 전문가들이 ‘모호한 상실(ambiguous loss)’이라 부르는 상태에 갇혔다. 이는 전 세계 수많은 가족들에게 닥친 현실이다. 전통적 애도와 다른 ‘모호한 상실’의 본질 모호한 상실은 ‘확실한 끝’이 없는 상실이다. 1970년대 미네소타대 폴린 보스 박사가 처음 명명한 이 개념은, 사랑하는 사람의 실종처럼 남겨진 가족이 실질적인 이별조차 할 수 없는 고통을 의미한다. 장례식도, 사망 진단서도 없기에 애도와 수용의 의식이 부재하다. 보스 박사는 “이분법적 관점(흑백·생사)을 버리지 않으면 그 고통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며, 남겨진 이들의 상실감과 트라우마는 “평생 얼어붙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반복적 언론 노출, 그 후 찾아오는 ‘정적’은 슬픔을 더욱 심화시킨다. 리디아 루덴코 등 많은 실종자 가족들은 “어떤 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또 어떤 이는 나서서 행동하게 된다”고 토로한다. 글로벌 실종자 규모와 현황 모호한 상실은

[빅테크칼럼] 젠슨 황 “中 AI는 엔비디아 없는 세상도 준비돼 있다…파산할지 모른다는 압박감이 성장 이끌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 빠져도, 중국 AI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가 중국을 찾아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졌다. “중국에서 엔비디아가 없어도, 화웨이와 같은 혁신 기업들이 자체 해법을 찾아낼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미·중 기술 패권 여부를 넘어, 향후 글로벌 AI·반도체 경쟁 구도 전반에 중대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엔비디아 없으면 화웨이가 길을 낼 것”…자립 가능한 中 AI에 대한 낙관 젠슨 황 CEO는 7월 20일 중국 관영 매체 CCTV ‘페이스 투 페이스’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국의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화웨이는 규모와 인재, 기술력에서 매우 강력한 회사"라며 "AI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도 자체적인 공급망을 바탕으로 AI 기술을 자립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실제로 황 CEO는 "중국 개발자들은 자원의 제약 속에서도 놀라운 기술적 창의성과 적응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

삼성전자, 美 테일러 파운드리 인력 파견 재개…"2026년 양산 목표 초읽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약 1년여 간 중단했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첨단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인력 파견을 전격 재개했다. 이번 전개는 단순한 공정 정상화가 아닌, 미국 현지 고객 대응력 강화, 글로벌 반도체 리더십 재확장이라는 다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중단된 인력 파견, 환율·설비조달 이슈 딛고 재개 복수의 업계 및 사내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7월부터 본사 반도체(DS) 부문에서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으로의 인력 파견을 점진적으로 재개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공정, 장비, 수율, 품질 부문 등 양산 전환에 필요한 '코어 역량 인력'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환율 급등, 자재 확보 불균형 등으로 예정된 건설 속도를 조절하고 일부 파견 인력을 철수한 바 있다. 2024년 말까지 원∙달러 환율은 1390원대까지 상승하며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채산성을 떨어뜨렸다. 그러나 최근 환율 안정세, 미국 내 반도체 산업지원법(CHIPS Act) 본격화 등 긍정적인 대외 환경 변화 속에 인력 재파견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6년 양산 핵심 기로…“클린룸 마감 공사도 속도전” 삼성전자는 당초 계획대로 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