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의사 국시까지 뚫은 국산 AI…LG ‘엑사원 4.0’, 하이브리드 혁신으로 글로벌 AI 시장에 '도전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EXAONE) 4.0’이 공식 공개된 가운데, 국내 최초로 의사 국가시험 등 6개 국가공인 전문가 자격증 필기 시험을 통과할 정도의 기본기와 전문성을 모두 겸비한 점이 가장 큰 화제가 됐다.

 

또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오픈 웨이트로 공개되어 학술·연구·교육 등 폭넓은 용도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내 첫 ‘의사 국시’ 통과…전문 AI로서 의미

 

엑사원 4.0은 국가의사시험, 변호사시험, 회계사, 노무사 등 6종의 국가공인 시험을 통과한 성적을 직접 공개하며 전문 AI로서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실제로 주요 국가자격증 시험에서 합격점 이상(국시 60%, 변호사시험 40% 등)을 받는 성취를 기록하여, "한국형 전문 AI의 시대"를 연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미국, 일본 등 해외 빅테크사의 주요 AI와 비교해도 높은 일상 언어 이해력(한국어·영어 등 멀티링구얼)과, 특정 직업군을 위한 문제해결 성능이 동시에 주목받았다.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 공개…개방과 협력의 AI 전략


LG는 엑사원 4.0의 오픈 웨이트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공식 등록하여, 누구나 연구·학술·교육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오픈소스로 공개된 대형 한국계 AI는 국내 최초 사례로,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등 기존 사내 모델과 달리 국제적 연구생태계에서 본격적으로 평가를 받게 된 셈이다.

 

GPT-4, Llama 3 등 글로벌 대형 AI 모델과 비교해도 한국 내 현장 실무형 AI로서 직접적 전문자격시험 통과 성적 공개는 매우 드문 사례다. 

 

 

엑사원 4.0 모델은 국가의사시험 필기시험의 합격선을 상회하는 응시 결과를 비롯해, 실제 자격증 취득 난이도에 준하는 성능을 확인받았다. 허깅페이스에 공개된 AI 웨이트 기반 모델은 2025년 7월 기준 세계적으로 약 6000여 종에 달하지만, 한국어·한국 전문가 시험 기준으로 롤아웃된 사례는 최초임이 확인됐다.

 

AI분석전문가도 NYT와의 인터뷰에서 “LG 엑사원의 의의는 대용량 학습과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통해 한국어와 특정 직무 분야를 모두 정조준한, ‘국가전문 AI’의 사례가 현실화됐다는 점에 있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IT전문매체 테크크런치 역시 “전문가 자격증 시험이라는 구체적 척도를 공개, AI의 실제 활용성과 검증가능성을 제시한 점이 파격적이다"고 평가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기업, 기관 등에서 전문적 영역에 특화된 AI 도입이 본격화될 것이며, 실제 현장 적용 사례(진료보조, 법률 자문, 서류 자동화 등) 확산에 대한 기대가 높다. 또 경쟁 글로벌 AI 대비 파라미터 수 등 기술적 기반은 작지만, 목적지향 AI의 성공 모델로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과학이 만난 '인간의 몸' 미스터리…놀라운 인체의 자기복구적 엔지니어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인간의 몸은 그 자체가 하나의 경이로운 우주다. 국내외 최신 논문과 매체, 그리고 SNS와 대중문화의 시각을 아우른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신체의 다양한 부분이 어떻게 기능하고 무너질 위기 속에서도 스스로를 지키는지, 철학적·문화적 맥락에서 탐구한다. '면도칼도 녹이는 위산에 녹지 않는 위'의 비밀: 3~4일마다 점막을 바꾸는 셀프 방어시스템 위산은 면도칼도 녹일 정도로 강하다. 하지만 스스로를 녹이지 않으려고 위벽은 스스로 자가복구 시스템을 가동해 3~4일마다 전체 상피세포를 교체하며, 강력한 위산에 녹아내리지 않도록 한다. 위 내벽은 1분마다 50만개의 세포가 제거되고 새로운 세포로 교체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현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