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오세훈發 잠실·대치·삼성 '토지거래허가' 해제 '눈앞'…강남·송파 '두근' 투자자 '솔깃' 전문가 '우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가능성↑…강남 '갭투자' 부작용 우려↑
청담·삼성·대치·잠실 물망…"타지서 갭투자 매물 문의"
서울 65.25㎢ 2년 실거주 의무…"갭투자 억제 효과 있지만 시세 안 떨어트려"
대치1동·잠실 일부동 해제 유력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를 놓고 해제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가운데, 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강남, 송파 거주민들은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갭투자'에 나설수 있다는 생각에 투자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4일 규제개혁 시민 대토론회에서 "부동산 가격이 지난 2∼3개월 하향 안정화 추세에 접어들었고 오히려 침체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문가 평가를 근거로 해제 가능성을 언급했다.

 

즉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조만간 발표하기로 해 강남구 대치동, 청담동, 삼성동과 송파구 잠실동 집값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설 명절이 지난 2월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준과 해제 범위 등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그동안 이들 지역은 ‘국제교류복합지구 및 인근 지역’으로 광범위하게 묶여 그동안 ‘갭투자’(전세 낀 투자)가 불가능했다. 주거용(18㎡ 이상)은 2년간 실거주 의무가 부여되기 때문이다. 투기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등하는 지역,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지역에 지정한다. 지방자치단체 허가를 받아야 부동산 거래가 가능하다.

 

현재 서울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전체 면적의 10.78%인 64.53㎢에 달한다. 2020년 강남구 대치·삼성·청담동(9.2㎢)과 송파구 잠실동(5.2㎢)을 시작으로 주요 재건축단지인 영등포구 여의도동·강남구 압구정동·양천구 목동, 성동구 성수동1·2가(4.5㎢) 등이 지정돼 있다. 서울 각지에 산재한 신속통합기획 및 모아주택사업 등 재건축·재개발 후보지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예정인 서초구 서리풀지구도 토지거래허가구역이다.

 

울시는 아직 구체적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시점과 대상지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부동산업계에선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등 일대 개발 과정에서 지정된 강남구 청담동·삼성동·대치동과 송파구 잠실동 일대가 물망에 오르고 있다.

 

잠실마이스복합단지와 현대자동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에 따라 개발 혜택을 볼 것이란 이유로 너무 광범위하게 묶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남·서초 자연녹지지역(26.62㎢)을 제외하면 면적이 가장 넓다. 이 지역 개발완공 예정 시점도 2030년이 넘어가기 때문에 그때까지 유지하는 건 지나친 재산권 침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GBC에서 멀리 떨어진 대치1동(래미안대치팰리스와 개포 우성·선경아파트)과 재건축 단지가 없는 잠실5동(잠실엘스·리센츠 아파트)은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즉 행정동 단위로 풀되 신속통합기획 단지만 따로 지정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신속통합기획 자문형 사업으로 정비계획을 변경한 잠실주공5단지 전용면적 82㎡는 지난 4일 신고가인 34억7500만원에 거래돼 작년 연초보다 6억원 이상 올랐다. 대치2동에선 대치 미도아파트가 신속통합기획으로 재건축되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과 양천구 목동, 영등포구 여의도,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등의 지역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대부분 단지가 신속통합기획으로 추진 중이고, 아직 사업 초기여서 지분 쪼개기 등 투기우려 목소리가 높다는 평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강남권, 송파권 집주인들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대치동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갭투자가 가능해 질 경우, 현재 매물이 있냐, 시세는 어느정도냐의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며 "매도하려는 집주인들, 투자하려는 매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은 맞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를 고려하면 토지거래 허가구역 해제 여파가 '찻잔 속 태풍'에 그치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최근 조건부 전세대출 축소 등 대출 규제가 유지되는 것도 갭투자를 억제 요소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최근 거래 위축과 함께 가격 조정이 동반돼 규제를 푼다고 투기수요가 단기간에 유입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삼성, 대치, 청담, 용산 등은 매입 대기 수요가 많은 지역이어서 시장 국면이 전환되면 갭투자 수요가 유입되거나 집값 상승을 야기할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피력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전국민 90% 10만원 소비쿠폰 "잠실주공5단지 주민도 받는다"…아파트 공시가 25억 받고, 30억은 못받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는 9월 22일부터 대한민국 국민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씩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다. 단,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12억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합계액 2000만원 초과 가구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소비쿠폰은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의 민생 회복 정책의 일환으로, 1차 때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했으나 2차는 고소득·고자산 가구를 걸러내어 혜택을 집중한다. 정부와 여당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소비쿠폰 지급 계획을 발표하며, 가구 단위 선정 기준을 세워 ‘2025년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가구원’을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 배우자와 자녀가 주소지가 달라도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돼 있으면 동일 가구로 간주되며, 부모는 별도의 가구로 본다.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1명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합산액 기준이 완화된다. 재산세 과세표준은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주택 60%)을 곱해 산정하는데, 예컨대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61㎡ 아파트 공시가격 19억7200만원 기준으로 과세표준은 약 11억8300만원으로 기준선 12억원 미만이어서 2

[랭킹연구소] 이재용 주식재산 18조 돌파 ‘상속 이후 최고치’…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SDS·삼성E&A·삼성화재·삼성전자우 총 7개 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재산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만에 18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재용 회장이 부친인 고(故) 이건희 회장에게서 주식을 물려받은 이후 가장 높은 평가액이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9월 11일 기준 18조1086억원으로 평가됐다고 12일 밝혔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달 11일 기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전자 우선주 이렇게 총 7개의 주식종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7개 종목에 대한 올해 연초 기준 주식재산 가치는 11조9099억원 수준이었고, 1분기 때인 지난 3월 말에는 12조2312억원으로 12조원대 수준을 보여왔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취임한 지난 6월 4일 기준 이재용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14조2852억원으로 높아졌고, 2분기 때인 6월 말에는 15조2537억원으로 높았다. 대통령 취임 50일 시점인 지난 7월 23일에는 16조2648억원으로 16조원대로 증가했다. 그러다 지난 11일에는 18조5157억원의 가치를

[랭킹연구소] 세계 최고 암 병원 TOP10에 한국 병원 3곳 포함…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대병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026년 세계 최고 전문 병원 순위를 발표한 결과, 암 분야 세계 톱10 병원 중 한국 병원 3곳이 이름을 올려 주목받았다. 삼성서울병원은 미국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MD앤더슨 암센터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서울아산병원이 4위, 서울대병원이 8위에 올랐다. 이 같은 성과는 한국 의료진의 높은 임상 역량과 첨단 의료기술 도입,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번 순위는 암을 포함해 내분비, 소화기, 신경, 비뇨기, 정형외과 등 12개 임상 분야별로 30여 개국 의료 전문가 수만 명의 평가를 토대로 글로벌 마케팅업체 스타티스타와 뉴스위크가 공동으로 집계했다. 암 분야 상위 10곳 병원 중 미국 병원이 4곳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 병원이 3곳, 프랑스·영국·캐나다 병원이 각각 1곳씩 포함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암 이외에도 내분비와 소화기 분야 각각 4위를 차지했으며, 신경·비뇨기·정형외과 등 6개 분야에서 톱10 안에 들며 다방면에서 강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은 암 분야에서 3위를 차지하는 동시에 소화기 5위, 비뇨기 10위권에 올랐으며, 2022년 기준

서울 아파트 분양 ‘반토막’에 대어가 온다…래미안 트리니원·아크로 드 서초·힐스테이트 이수·더샵 신풍역·상봉 아이파크 '주목'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하반기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이 약 2600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든 수준으로, 서울 분양 시장의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 하반기 서울에서 분양 예정인 단지는 총 16곳, 9828가구다. 이 가운데 임대와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일반분양 가구는 2626가구에 불과해, 전년 동기 8651가구와 비교하면 69.65% 감소했다. 공급 위축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7월 발표한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분양 승인 및 착공 실적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서울 분양 승인 누계는 6558가구로, 전년 동기 8231가구 대비 20.3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 실적도 1만1183가구에서 1만736가구로 약 4% 줄었다. 이처럼 공급이 줄자 신규 분양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하반기 청약을 진행한 단지들은 모두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7월 분양한 ‘리버센트푸르지오위브’는 191.35대 1, ‘오티에르포레’는 무려 688.13대 1에 달했으며, 8월 청약을 받은 ‘제기동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