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1~2인 가구 증가에 소형아파트 '대세'…"수요 꾸준, 가격방어력 높아 불황에 강하다"

1~2인 가구 중심으로 재편되는 주거 구조, 소형 아파트가 ‘대세’
2027년 1~2인 가구 비중 67.7% 전망…"작은 아파트 수요 더 늘어날 것"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전국적으로 1~2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소형 아파트가 다시 주택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중대형 아파트 위주의 분양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에 실수요가 몰리면서 청약 경쟁률이 높고 매매 거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2024년 12월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자료에 따르면, 오는 2027년 기준 전국의 1~2인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약 67.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기준 1~2인 가구의 비율이 전체의 62.7%인 것을 감안하면 5%p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1~2인 가구의 급증은 주거 트렌드에도 뚜렷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넓은 면적보다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높은 ‘작고 알찬’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45만63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는 17만6492건으로, 전체의 약 39.2%를 차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소형 아파트의 공급 비중(약 27.4%)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공급보다 수요가 앞서는 ‘수급 불균형’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상황이 이렇자, 분양 시장에서도 소형 타입의 선호도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서울 강서구 등촌동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등촌역’의 경우, 전용 59㎡ 타입은 평균 42.93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는 전용 84㎡ 타입의 평균 경쟁률인 18.37대 1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로, 실수요자 중심의 소형 아파트 수요가 얼마나 견고한지를 보여준다.

 

매매 시장 분위기 역시 비슷하다. 같은 단지 내에서도 소형 아파트의 매매 거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은평구에 있는 'DMC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대표적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 단지의 전용 60㎡ 이하 소형 면적 매매 거래 건수는 총 28건으로, 중대형 거래 건수(24건)보다 4건 더 많았다. 해당 단지의 총 가구 수는 989가구(임대 물량 제외)이며, 이 중 소형 아파트 비율이 약 42%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소형 아파트의 거래가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 셈이다.

 

전문가들은 소형 아파트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기본 수요에 충실한 상품’으로 장기적인 수요를 꾸준히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특히 신혼부부, 1인 청년가구, 은퇴세대, 고령자 등 다양한 세대에서 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가격 방어력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소형 아파트는 화려하진 않아도 시장이 위축될 때마다 그 진가가 드러나는 상품”이라며, “정부의 공급 확대 방안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은 4월 고양시 덕양구 일원에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17개 동, 전용면적 39~84㎡ 총 2601세대 규모의 '고양 더샵포레나'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중 636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공급될 예정이고, 최근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59㎡ 타입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한다.

 

에이블피앤지는 5월, 서울 강동구 길동 일원에 ‘디 아테온’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7층, 전용면적 59㎡, 총 64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지하철 5호선 굽은다리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 입지에 자리해 있다.

 

두산건설 컨소시엄은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진해구 여좌동 일대 대야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7층, 17개 동, 총 2638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면적 54~102㎡의 2041세대가 일반분양된다. 이 단지의 전용 54㎡는 소형 평형임에도 방 3개와 욕실 2개로 조성돼 1인 가구는 물론, 신혼부부나 3인 가구가 살기에 적합하게 설계됐으며, 전용 59㎡의 경우 전 타입에 안방 드레스룸을 마련했다.

 

유림E&C는 서울 중구 황학동 일원에 ‘청계 노르웨이숲’을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6층~지상 20층, 전용면적 39~59㎡, 총 404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는 수도권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모두 지나는 신당역 인근에 위치해 이동이 편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 아파트 분양 ‘반토막’에 대어가 온다…래미안 트리니원·아크로 드 서초·힐스테이트 이수·더샵 신풍역·상봉 아이파크 '주목'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하반기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이 약 2600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든 수준으로, 서울 분양 시장의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 하반기 서울에서 분양 예정인 단지는 총 16곳, 9828가구다. 이 가운데 임대와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일반분양 가구는 2626가구에 불과해, 전년 동기 8651가구와 비교하면 69.65% 감소했다. 공급 위축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7월 발표한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분양 승인 및 착공 실적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서울 분양 승인 누계는 6558가구로, 전년 동기 8231가구 대비 20.3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 실적도 1만1183가구에서 1만736가구로 약 4% 줄었다. 이처럼 공급이 줄자 신규 분양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하반기 청약을 진행한 단지들은 모두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7월 분양한 ‘리버센트푸르지오위브’는 191.35대 1, ‘오티에르포레’는 무려 688.13대 1에 달했으며, 8월 청약을 받은 ‘제기동역

[이슈&논란] 경제개혁연대 “DB 김준기, 20년 의결권 제한 조건 숨겨 증여…금감원, 5% 공시 위반 조사 촉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우찬 고려대 교수)는 9월 8일 금융감독원에 DB그룹 최대주주(김준기, 김남호, 김주원)의 5% 이상 대량 주식보유 공시 위반 혐의 조사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해당 사안은 최근 9월 3일 여러 매체에서 “김남호 DB 명예회장, 20년 의결권 제한 풀렸다”는 기사로 처음 폭로됐다. 2004년 8월, 김준기 창업회장은 장남 김남호에게 동부정밀화학(현 ㈜DB) 주식 84만주를 증여하며 20년간 의결권을 제한하는 조건을 걸었고, 차녀 김주원에게도 비슷한 조건으로 44만8412주를 증여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 결과, 김남호 명예회장은 명목상 최대주주임에도 20년간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했으며, 실제 경영권은 김준기 창업회장이 유지해온 셈이다. 당시 김준기는 개인지분 46.21%에서 증여 이후 14.00%로 줄었으나, 의결권 제한 조건으로 실질적 경영권을 지속 장악했다는 해석이다. 현행 자본시장법 제147조는 상장법인 주식 5% 이상 지분 보유 시 5일 이내에 ‘보유주식 주요 계약내용, 의결권 제한조건, 기타 변동사항’ 등을 금융당국에 상세히 보고(공시)하도록 규정한다. 그런데 DB그룹은 대량보유보고서 어디에도 의결권 제

발코니 확장비용 천차만별 "최대 4400만원 달해"…'무상’으로 제공하는 단지 '눈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발코니 확장 비용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단지가 수요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치솟는 공사비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수요자들의 초기 자금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발코니 확장 무상 혜택이 실질적인 비용 절감 효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발코니 확장이 주거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이는 만큼 사실상 기본 옵션으로 인식되고 있다. 거실과 방을 넓히고 수납 공간을 확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수요자들이 선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발코니 확장 비용이 어떻게 책정되었는지가 곧 초기 자금 부담의 크기를 좌우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발코니 확장비용은 만만치 않다. 일례로 올해 8월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모집공고가 게재된 16개 단지(공공분양 및 무상 제외)를 보면, 발코니 확장비는 최대 4400만원에 달했다. 여기에 발코니 확장비는 분양가에 포함되지 않아 수요자들의 부담을 더욱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문가들은 개별적으로 발코니를 확장할 경우 결로, 누수 등의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문제는 장기적인 유지·보수 비용까지 늘릴 수 있어 수요자들에게는 큰 부담이 된다.

[이슈&논란] "5년새 16명 사망" 롯데건설 김해 아파트 근로자 또 사망…대통령 경고에도 '안전관리' 비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김해 불암동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 A씨가 굴착기 버킷에 맞아 숨지는 참담한 사고가 발생했다. 9월 6일 김해중부경찰서 조사에 따르면, 작업 중 A씨가 굴착기 작업반경에 접근하는 순간 굴착기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서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후 A씨는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으나 결국 사망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해부터 올해에 걸쳐 롯데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다수의 중대 재해 사고 가운데 하나로, 이 회사의 현장 안전관리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여실히 드러낸다. 특히, 지난해 이후 롯데건설 산하 공사장에서만 다섯 건 이상의 중대 사고로 다수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것으로 노동부 조사 결과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2024년 산재 사망자수는 15명으로 조사됐다. 이미 수차례 사고가 반복됐음에도 불구하고, 롯데건설과 하도급 업체들은 명확한 안전대책 마련보다 현장 위험을 은폐하거나 축소하는 데 급급했다는 지적도 있다. 2014년 서울 롯데월드타워 공사 현장 사망 사고 당시에도 골든타임을 놓치고 119 신고 지연, 응급처치 미흡으로 3명의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