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사우스웨스트, 전투기와 충돌 직전 145미터 급강하…“유사사건 한 주새 두 번째, 연내 네 번째” FAA 감찰 착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서부 하늘에서 치명적 참사로 번질 뻔한 항공기-전투기 공중접촉 사고가 발생했다.

 

2025년 7월 25일(현지시간) 오전 11시 56분경, 버뱅크 공항을 이륙해 라스베이거스로 향하던 사우스웨스트항공 1496편(보잉737)은 이륙 6분만에 전투기(퇴역 호커 헌터 Mk.58)와의 공중충돌 위기 속 8초간 475피트(약 145m)나 급강하했다고 ABC News, CNBC, CNN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교신·관제 사각서 놓친 ‘죽음의 거리’…생생했던 현장


플라이트레이더24 등 항적 분석에 따르면, 이날 두 기체는 불과 1.9마일(약 3.1km) 수평, 350피트(약 107m) 수직 거리까지 접근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간 충돌 회피 권고 수평 거리는 3마일, 수직 1000피트로 규정돼 있고, 이번 사례는 이를 크게 하회한 수치다.

 

전투기는 엘패소(El Paso) 출발, 캘리포니아 옥스나드로 향하던 퇴역 기체(등록번호 N335AX)로 밝혀졌다.

 

승무원 부상·승객 혼란…“탑승자들 비명, 머리 천장에 부딪혀”


급강하 도중 승무원 2명이 머리 부상을 입고, 라스베이거스 도착 후 치료받았다. 승객 중 부상자는 없었지만, 객실 내 승객 다수는 안전벨트를 맸음에도 좌석상공으로 튕겨 오르는 충격을 겪었다.

 

탑승자 스티브 울라세위츠는 “약 8~10초간 자유낙하 후 모든 승객이 비명을 질렀다. 다들 추락한다고 믿었다”며 그 순간의 공포를 증언했다. 코미디언 지미 도어는 “내 옆 승객들까지 천장에 머리를 부딪혔다”고 전했다.

 

 

TCAS(충돌방지시스템) 2차례 경보, 조종사 즉각적 급기동


사우스웨스트항공은 공식입장에서 “이륙 후 교통알림(TCAS) 경고 2회가 울려, 경고에 따라 상승 후 곧장 급강하한 뒤 회피 기동을 했다”고 밝혔다. 조종사들은 공포에 질린 승객들을 상대로 “충돌 경보로 연유한 긴급회피기동”을 방송했다.

 

실제 항적 분석 기록상 이 항공기는 1분 안에 475피트 급강하 후 다시 약 600피트 상승하는 드라마틱한 기동을 보였다.

 

FAA, 군항공기 조치 미흡 논란…“유사사건 한 주에 두 번째, 연내 네 번째”


FAA(연방항공청)는 이번 사고에 대한 공식조사에 착수했으며, 군 전투기 혹은 운영 주체의 비행계획 통보 및 관제 이탈 여부에 대해 중점 감찰할 예정이다.

 

특히 같은 주간 내 미국 상공에서 민간항공기-군비행기 간 유사 사고가 두 차례나 연속 발생해, 항공안전 경계 경보장치의 경보 범위, 관제 시스템의 다중조기경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 평가·항공업계 반응

 

항공업계 전문가 및 전직 조종사들은 “TCAS 등 첨단 안전장치가 없었다면 하마터면 수 백 명 인명피해가 났을 뻔 했다”며, “민간-군용기 간 비행계획·항로공유 의무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FAA는 “국가 공역 내 모든 이들의 안전 확보가 최우선”임을 거듭 밝혔으며, 사우스웨스트항공도 “승객과 임직원의 안전이 기업 경영 최상위 가치”임을 분명히 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누리호 기술 240억원에 한화에어로 이전…‘한국판 스페이스X’ 향한 민간 우주산업 전환 '가속'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14년간 독자 개발한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II)’의 전 주기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240억원에 이전하면서 국내 우주산업이 정부 주도 연구개발(R&D) 단계에서 민간 주도의 산업화 단계로 본격 전환하는 분수령을 맞았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약 2조원이 투입되고 300여개 민간기업이 참여해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로, 2023년 3차 발사에서 1톤 이상 실용위성을 자체 기술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세계 7번째 자력 위성 발사국 반열에 올랐다. 이번 기술 이전 대상에는 설계, 제작, 발사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누리호 기술과 방대한 기술문서 1만 6050건이 포함됐으며, 발사대와 추진·엔진 시험설비, 업체별 고유기술 등은 제외됐다. 기술료 산정은 누리호 개발에 투입된 연구개발비인 204억원을 기본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전문기관의 엄정한 가치평가를 거쳐 최종 240억원으로 합의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까지 누리호 제작 및 발사 권한인 통상실시권을 확보, 누리호 시리즈의 상업적 양산과 발사, 유지보수를 전담하며 ‘한국판 스페이스X’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