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11초의 아찔한 순간”…델타 항공과 미 공군 B-52 ‘충돌 위험’이 던진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7월 18일(현지시간), 미니애폴리스발 스카이웨스트 운항 델타 커넥션 3788편(Embraer E175)이 노스다코타주 마이놋 국제공항(MOT) 접근 도중 미 공군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와의 근접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갑작스럽고 과감한 회피 기동(고 어라운드)을 실시했다.

 

비행기의 승객과 승무원들은 격렬한 선회에 놀랐고, 착륙 후 조종사 역시 "이런 상황은 상상도 못했다"며 승객들에게 솔직하게 사과했다.

 

현장 목격과 조종사의 육성…"아무도 우리에게 말하지 않았다"

 

승무원 모니카 그린이 촬영한 녹음 영상과 CNN, Times of India, Bloomberg, AInvest 등의 보도에 따르면, 조종사는 "비행기 오른쪽에 무언가 다가오는 걸 봤을 승객들이 있을 것"이라며, “관제탑에서는 우회전을 지시했다가, 갑자기 좌회전 명령으로 바뀌었다. 그제야 우리보다 훨씬 빠른 B-52임을 인지하고 곧장 그 뒤로 우회하는 것이 최선이라 판단했다”고 전했다.

 

조종사는 "아무런 경고도 못 받았다. 군 비행장에서는 분명 레이더가 있는데 말이다"라며, 미흡한 민·군 정보 공유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비행 중 기내는 짧은 침묵과 긴장감, 그리고 착륙 후 조종사의 "오늘은 정말 힘든 하루였다, 미안하다"라는 멘트에 박수가 터졌다고 전해진다.

 

수치가 말하는 미군과 민간 항공의 ‘공존 리스크’

 

마이놋 국제공항 인근엔 26대 규모의 B-52 폭격기 전력(5th Bomb Wing)이 상시 배치되어 있다. 군·민 합동 조율 실패시 대형 참사 위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 연방항공청(FAA)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 내 민간·군 항공기의 근접 충돌(near miss)은 연평균 2000건 이상 보고됐을 정도다.

 

미 공군 B-52의 최대 순항 속도는 약 900km/h, 델타 운항 E175 항공기 순항 속도는 약 828km/h로, 속도·규모 차이가 극명하다.

 

 

FAA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군용기와 민간기 간 근접 교각 상황의 23%는 "트랜스폰더(항공기 위치 신호장치) 제한 운용"이 원인이다.

 

이번 마이놋 공항은 최종 접근 단계에서 자체 레이더 없이 시각 분리(VFR: Visual Flight Rules)에 의존해 항로 중첩 위험이 상존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구조적 맹점’…군 비행정보, 민간 관제와 왜 단절되는가


이번 사건의 근본 배경에는 미군기의 트랜스폰더 제한 운용, 공항 관제탑의 FAA 직접 관리 부재, 군사 작전구역과 민간 항로의 불완전한 분리, 그리고 공항 내 레이더 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사고 당시 B-52는 북다코타 주립박람회 행사 비행 중이었으며, 공교롭게도 마이놋 지역 상공에서 동일 시간대에 민간기 접근이 이뤄졌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해당 B-52는 고도 약 6000피트 지점에서 트랜스폰더 신호를 끈 것으로 나타나 상황 인지의 사각지대가 발생했다.

 

‘빨간불’ 켜진 민·군 통합 관제…FAA·스카이웨스트, 동시 조사 착수

 

스카이웨스트 항공사는 “해당 항공기는 관제 명령에 따라 착륙을 시도하다 항로상에 다른 항공기가 포착돼 회피 기동을 했다. 사안의 진상을 조사 중”이라며, FAA 역시 정식 보고서 확보와 원인 파악에 착수했다. 미 공군과 FAA 공식 발표는 아직 없는 상태다.

 

실태와 과제: “또 다른 근접 충돌, 미국 항공계 경종 울려”


실제로 올해 3월에도 델타항공기는 워싱턴 인근 상공에서 또다른 군용기와 아찔한 근접 조우를 경험한 바 있다. 미국 항공업계, 안전 전문가들은 "민간·군용 항공기 간 실시간 정보공유와 통합 레이더 감시망 구축, 비상 시나리오 지침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제주항공 참사 반년만의 숏폼" 추모와 일상 사이의 경계 '흔들'…참사 여운 속 '논쟁의 불씨' 되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4년 12월 29일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해 179명이 사망한 제주항공 참사가 채 1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제주항공 공식 틱톡 계정에 올라온 승무원 숏폼 영상이 거센 사회적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영상은 지난 7월 11일 올라와 21일까지 조회수 200만회, 좋아요 17만8000개, 댓글 1000여개를 기록하며 급속히 확산됐다. 영상 속 승무원들은 객실 내에서 밝게 춤을 추고 손가락 브이(V)자를 그리며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했으나, 이를 두고 "참사 이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런 영상을 올리는 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포털 댓글창을 중심으로 이어졌다. 반면 "승무원들도 희생자인데 괜한 비난은 지나치다"는 반박 여론도 상당해, 사회적 애도와 일상의 복원이 어디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지 첨예한 인식 차가 드러났다. 유가족 및 시민사회 "추모와 조기 일상 복귀, 적절성 논쟁" 일부 네티즌과 유가족들은 "유가족 진상규명 기다리느라 장례 얼마 안 지난 걸로 안다. 가족이 사고 당했는데 이런 영상 보면 불쾌할 수 있다", "최소 1년은 공식 애도기간을 가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를 냈다. 반

[이슈&논란] '제주항공 참사' 조사결과, 유족 반발에 무산…“179명의 억울함, 투명성 없는 발표는 못받아들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4년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여객기 참사로 179명이 목숨을 잃은 비극적 사고의 조사 결과 발표가 유가족들의 강력한 항의로 무산됐다. 이번 사건은 항공안전 제도의 허점과 사고 조사 과정의 신뢰, 공개 투명성이라는 핵심 이슈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있다. 유족들 “결론만 통보… 원인·과정 공개 없이 언론 발표 못 받아들여” 국토교통부와 항공철도사고위원회(항철위)는 2025년 7월 19일, 무안국제공항 3층에서 예정됐던 엔진 정밀조사 결과 언론 브리핑을 유가족들의 반발로 전격 취소했다. 실제 이날 오전, 유족 대상 사전설명회가 열렸으나, 유족들은 “사건의 근본 원인, 조사 과정 공개 없이 결과만 통보했다”며 “납득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일부 유족들은 “179명 살려내라”며 눈물로 거세게 항의를 표했다. 설명회 현장에 참석한 김유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사고 조사 결과만 통보했다. 결과가 있다면 그 원인도 함께 밝혀야 한다. 조사 과정의 독립성보다 책임 있는 공개와 해명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사위 “엔진 결함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