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저커버그의 이상한 부업… 3000억원 투자 '와규 스테이크'에 맹비난

"세계 최고급 소고기"…저커버그 '스테이크 먹방'에 조롱·비난 쇄도

스테이크 먹는 사진 올린 마크 저커버그. [저커버그 페이스북]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기이한 행동은 천재들의 일상적인 습관일까. 미국 빅테크기업들의 천재형CEO들의 별난 괴짜행동들이 또 논란이다. 일론 머스크가 아니라 이번엔 저커버그 얘기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플랫폼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가 스테이크를 먹는 사진을 올린 후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환경을 생각하지 않는 행동이라는 비판이 쏟아진 것.이다.

 

마크 저커버그는 지구 종말을 대비한다며 하와이에 지하벙커 등 시설을 갖춘 대규모 복합단지를 짓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이곳에서 소를 사육할 계획을 밝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10일(현지시간) 자신의 페이스북에 "하와이 카우아이섬 목장에서 소를 키우기 시작했다. 목표는 세계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것"이라며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를 먹는 사진을 공개했다.

 

그는 "이 소들은 와규와 앵거스 종으로, 목장에서 직접 재배한 마카다미아를 먹고 맥주를 마신다"며 "소 한 마리당 매년 5000~1만 파운드(약 2260∼4500㎏)의 먹이를 섭취하기 때문에 마카다미아 나무가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내 딸들이 마카다미아 나무를 심고 동물들을 돌보는 일을 돕고 있다"며 자신의 딸이 마카다미아 나무를 심기 위해 구멍에서 흙을 퍼내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유하기도 했다.

 

저커버그는 "아직 시작 단계지만 매 계절 발전하는 것이 즐겁다. 내 프로젝트 중 가장 맛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관련 조사에 따르면 소들이 마카다미아와 맥주를 먹고 자라는 저커버그의 농장은 지하 벙커와 에너지 시설 등을 갖추며 1억 달러(1300억원) 규모로 추산됐다. 그는 1400에이커(약 5.7㎢) 규모 토지를 매입하는 데 1억7000만 달러(약 2200억원)를 투입했다고 전해진다.

 

토지매입과 농장시설비까지 합치면 3000억원이 훨씬 넘는다. 자급자족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이 공간은 물탱크와 펌프 시스템이 있고 단지 내 농장·목장에서 이미 식품을 생산한다는 보도도 나왔다.

 

저커버그가 이 같은 내용을 올리자 환경 단체들이 일제히 비판했다. 환경단체 푸드 앤(&) 워터 워치의 미치 존스 정책국장은 "재배에 물이 많이 들어가는 마카다미아너트와 맥주로 소를 기른다는 것은 억만장자의 이상한 부업"이라며 "식량 시스템의 불평등과 지구온난화라는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정한 농업 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우리는 부유한 유명인뿐 아니라 모두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중소 농장의 생존 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앤드루 그린버그는 메타의 경쟁 플랫폼 X(엑스·옛 트위터)에서 저커버그에게 "당신이 자랑스럽다. 인간에게 가능한 한 가장 큰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입에 음식을 넣는 꿈을 이뤘다"고 조롱했다.

 

또 동물권단체 PETA의 샬린 갈라는 "마크 저커버그는 이제 하와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소를 키우고, 맥주를 먹인 다음 죽이기 시작했다"며 "마크, 중세 암흑시대가 전화를 걸어 당신이 돌아오길 원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등은 소 한 마리는 하루에 500ℓ의 메탄을 배출하는데, 이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7%를 차지한다. 소가 트림하면서 배출하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8배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어 2019년 유엔과 IPCC는 기후변화를 막을 방법 중 하나로 육류 소비 줄이기를 제안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