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前 왓츠앱 보안 책임자, 메타 상대로 50억 달러 소송…"1500명 엔지니어, 세계 개인정보 무제한 접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메신저 시장 20억 사용자 규모를 자랑하는 왓츠앱의 전(前) 보안 책임자 아타울라 바이그가 2025년 9월, 메타를 상대로 미국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메타가 체계적으로 사이버보안 규정을 위반하고, 그가 핵심적인 보안 실패를 보고한 것에 대해 보복했다고 주장했다.

 

Sift Q3 Digital Trust & Safety Index, FTC Press Release 및 Facebook 개인정보 침해 자료, Citizen Lab 스파이웨어·악성 PDF 취약점 분석 보고서를 비롯해 The New York Times, CNBC, BBC, The Register, TechXplore 등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연방 법원에 접수된 115페이지 분량의 소장에서 휘슬블로워는 사용자 성장만을 우선시하는 회사를 "컬트와 같은 문화"로 묘사했다.

 

바이그는 2021~2025년 왓츠앱 보안 수장을 맡으면서, 약 1500명 엔지니어가 적절한 감독 없이 사용자 데이터에 무제한 접근하는 구조와, 2020년 미 정부의 50억 달러 벌금 부과 및 연방거래위원회(FTC) 합의의 '개인정보 보호 조치'의 지속적 위반 정황을 밝혀냈다.

 

바이그는 "내부 보안 테스트 결과, 엔지니어들이 연락처, IP 주소, 프로필 사진 등 민감 정보를 감사 기록 없이 이동하거나 탈취할 수 있었다"고 증언했으며, FTC의 '데이터 접근 및 보관 로그 필수 기록' 규정을 위배한 주요 근거로 제시했다.


왓츠앱의 전 보안 책임자 아타울라 바이그가 월요일에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바이그는

 

50억 달러 벌금 이후 여전한 보안 허점…계정 해킹·잠금 피해, 실태는 충격적


바이그 소장에 따르면 2022년에는 하루 평균 10만명, 2023년에는 하루 최대 40만명의 왓츠앱 이용자가 계정 탈취·잠금 피해를 입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Sift의 2023 Q3 '디지털 신뢰&안전 인덱스'는 미주 성인 22%가 계정보안 침해(ATO) 피해를 경험했고, 전 세계적으로 멀티 해킹 및 비밀번호 재사용으로 인한 피해율은 7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그는 내부 고발을 통해 추가 로그인 인증 도입, 프로필 사진 다운로드 제한 등 개선책을 제안했지만, 메타 경영진은 "사용자 성장 저해"를 이유로 거부했다고 전했다.

 

데이터 스크래핑, 사칭 위험 방치


메타가 방치한 또 다른 보안 취약점은 연간 약 4억건에 달하는 사용자 프로필 이미지·이름의 원본 데이터 스크래핑이다. 이 과정에서 수백만 명의 이름과 사진이 사칭 범죄에 악용됐고, 사설 보안 기관(Citizen Lab 등)은 왓츠앱의 보안 허점을 이용해 악성 PDF, 원격 스파이웨어 등이 침투하는 사례를 다수 보고했다.

 

보복과 해고, 내부고발자의 운명


바이그는 메타 수뇌부(윌 캣카스 WhatsApp 대표, 마크 저커버그 CEO 등)에 내부 보고 후 성과 악화 평가, 구두 경고, 2025년 2월 해고 등 지속적인 보복과 인사 불이익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해고 직전, 바이그는 SEC, OSHA 등 연방 규제기관에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

 

그러나 메타 측은 "성과 부족인 직원의 왜곡 주장"이라며, 미 노동부 OSHA의 고발 기각 사실까지 공개했다. 메타는 바이그의 직책에 대해서도 보안책임자가 아닌 하위 엔지니어였다고 반박했다.

 

법적·규제 위험, 지속적 부담

 

이번 소송은 2040년까지 유효한 2020년 Cambridge Analytica 개인정보 침해 합의(벌금 50억 달러, 세계 최대 규모) 이후 메타가 지속적으로 법적·규제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을 아우르는 '데이터 보호' 국면에서 전 세계 거대 플랫폼 기업의 책임과 투명성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월가 스타 분석가 댄 아이브스, 올트먼의 ‘월드코인’에 베팅…에잇코 홀딩스 주가 하루 새 30배 이상 폭등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월가의 대표 기술주 분석가 댄 아이브스가 오픈AI 샘 올트먼 CEO가 추진하는 바이오메트릭 기반 가상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Worldcoin)’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아이브스는 나스닥 상장 소규모 기업 에잇코 홀딩스(Eightco Holdings)의 이사회 의장으로 취임했고, 이 기업은 2억5000만 달러 규모의 사모 유상증자를 통해 월드코인을 주요 재무자산으로 매입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소식이 알려진 직후 월드코인 가격은 40~50% 급등했고, 에잇코 홀딩스 주가는 전일 종가 1.45달러에서 하루 사이 60달러 안팎으로 약 30배 폭등(최고 5700% 이상)하며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입증했다. 댄 아이브스는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기술주에 대한 권위 있는 분석가로, 이번 월드코인 베팅을 통해 AI 기반 신원 인증의 미래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이는 단순한 토큰 투자 전략을 넘어 AI 혁명에서 인간 인증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AI 대규모 언어 모델 구축에도 불구하고 진짜 인간을 식별하는 인증 체계 없이는 AI 성장이 제약될 수

[빅테크칼럼] 구글, 법정에서 '오픈웹 빠르게 쇠퇴' 인정…데이터로 본 점유율·트래픽·규제 압박 '빨간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구글은 최고 경영진이 수개월간 내놓았던 공개 입장과 모순되는 놀라운 시인을 했다. 9월 5일(현지시간) 늦게 제출된 법원 서류에서, 구글은 "오픈 웹이 이미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고 공식 인정했다. 이는 지난 수개월간 임원진이 줄곧 외쳐온 '웹 생태계 번창' 담론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영상적 전환점이 도래했다는 분석이다. seroundtable, press Gazette, Webpronews에 따르면, 구글의 법적 대응 문서 5페이지에는 "사실 오늘날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으며, 원고 측의 매각 제안은 그 쇠퇴를 가속화해 현재 오픈 웹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퍼블리셔들에게 해가 될 것입니다"고 명시됐다. 법정 진술과 임원진 발언의 모순 구글은 미국 법무부의 광고기술 매각 요구에 반박하며,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고 매각 강제 조치는 웹 악화만 가속화할 것"이라고 서류에 명시했다. 반면, 2025년 5월 순다르 피차이 CEO는 "구글이 지난 2년간 웹페이지 크롤링량이 45% 증가했다"고 밝히며 "웹은 사라지지 않고 확장 중"이라 했다. 구글 검색 담당 부사장 닉 폭스 역시 "웹은 번성 중"이라고 자신

[빅테크칼럼] "억만장자·톱배우, 세계 지도자까지 ‘불멸산업’에 17조 베팅"…인류 150세 시대 현실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9월 3일 중국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불멸에 이를 수 있다”, “인간이 15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장수 산업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 관심으로 떠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부터 할리우드 스타, 그리고 글로벌 정치 지도자까지 전례 없는 규모로 장수 산업에 베팅하며 ‘불멸(immortality)의 꿈’을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25년간 이 분야에 투입된 투자금액은 약 125억 달러(한화 17조원)에 달한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해 비즈니스 인사이더, 타임, 로이터등의 글로벌 자료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대표적 투자자로는 팔란티어의 피터 틸,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이 꼽힌다. 틸은 12여개 기업을 통해 장수 관련 산업에 7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올트먼은 세포 노화 역전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레트로바이오사이언스에 1억8000만 달러를 쏟아부었다. 이 밖에도 구글의 에릭 슈밋, 조 론스데일, 그리고 바이오 기업 뉴리미트 등에는 억만장자 9명 이상이 2억 달러 이상을 모았다. 전 세계적으로 200여개 이상의 장수 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