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MS, 빌게이츠 창업 50년만에 시총 4조달러 돌파…엔비디아 이어 두 번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MS)가 2025년 7월 31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장중 주가가 8% 이상 뛰며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약 5240조원)를 넘겼다.

 

이는 1975년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이 창업한 지 50년 만의 쾌거로, 엔비디아(Nvidia)에 이어 글로벌 상장 기업 중 두 번째다. MS는 지난해 1월 시총 3조 달러를 돌파한 이후 불과 1년 6개월 만에 1조 달러를 추가로 불렸다. 같은 날 엔비디아는 4조 달러 선을 일찌감치 돌파한 첫 번째 기업으로 기록됐다.

 

폭발적 성장을 이끈 AI와 클라우드

 

MS 시가총액 폭등의 배경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의 주도적 지위다. 2025 회계연도(2024년 7월~2025년 6월) MS의 전체 매출은 2820억 달러, 순이익은 1020억 달러에 달했고, 4분기 매출도 764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로 월가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

 

특히 Azure(애저) 클라우드 서비스의 연간 매출은 처음으로 750억 달러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34% 성장했다. 애저는 글로벌 2위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로, 1위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연간 매출 1160억 달러에 바짝 따라붙었다.

 

2025년 1분기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 MS의 Azure는 23%의 점유율로 AWS(32%)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며, 거침없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분야는 연간 약 940억 달러 규모, AI 채택률이 폭증하면서 시장 전체 성장률이 21%를 넘는다.

 

MS의 클라우드·AI 신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2025년 회계연도 1분기(7~9월)에만 300억 달러로,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강화에 주로 쓰일 예정이다.

 

MS의 ‘AI 전환’ 전략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은 1980년대 ‘IBM PC용 DOS 운영체제’로 소프트웨어 시장의 절대 강자로 등극했고, 윈도 운영체제(Windows)는 전세계 10억대 이상의 기기에 깔렸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MS는 사티아 나델라 CEO의 주도로 클라우드와 AI,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기업으로 대대적 체질 전환에 성공했다. AI '코파일럿' 같은 생성형 AI 소프트웨어가 핵심 오피스·클라우드 서비스와 결합하며, MS 365 등 기업용 구독서비스의 매출 성장도 가속화됐다.

 

엔비디아, 애플과 글로벌 빅테크 순위 다툼

 

MS는 2025년 7월 기준 엔비디아(약 4.3조 달러), 그리고 애플(3.2조 달러)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4조 달러 클럽에 입성했다. 엔비디아가 AI용 GPU(그래픽처리장치) 칩 시장에서 절대적 우위를 점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인 반면, MS는 AI 서비스(코파일럿, 오피스 통합)와 클라우드를 앞세운 균형 잡힌 구조로 보다 안정적 성취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시장 평가


월가의 애널리스트들은 “MS의 4조 달러 돌파는 클라우드와 AI 혁신이 가져온 질적 전환의 증거”라며 “메가캡 기업 중 가장 안정적이고 장기 성장에 유리한 포지셔닝”이라고 평가했다. 수익성 역시 압도적이다. MS는 미 증시 S&P500 내 최상위 영업이익률(35% 수준), 양호한 재무구조와 안정된 매출 다각화, 지속적 AI·클라우드 투자 전략을 바탕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MS의 50년은 소프트웨어 지배 기업에서 클라우드·AI 혁신 기업으로의 성공적 ‘변신 의 역사’로 요약된다. 전문가들은 MS와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AI·클라우드 메가트렌드가 향후 글로벌 기술산업 패권 구도를 재편할 것이라 내다봤다. 빌 게이츠가 이끈 ‘창조와 혁신의 50년’은 이제 MS를 사상 처음 시가총액 4조 달러의 ‘AI 거인’으로 우뚝 세웠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오토파일럿 치명사고로 4600억원 배상 첫 판결…"대규모 집단소송 가능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 연방 배심원단이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둘러싼 2019년 치명적 사고와 관련해, 테슬라에 3억2900만달러(한화 약 4600억원) 배상을 명령했다. BBC, CNBC, CNN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에서 반자동(부분 자율) 운전자 보조기술 관련해 테슬라가 배상 책임을 공식적으로 진 첫 사례로, 자율주행차 산업과 교통안전법, 테슬라의 미래까지 미칠 파장이 상당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고 경위 및 법원의 판단 2019년 4월 25일, 플로리다 키 라르고에서 조지 맥기가 운전하던 테슬라 모델S는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 중 휴대폰을 줍기 위해 한눈을 판 사이 교차로를 시속 62마일(약 100km)로 진입해 정지 신호와 빨간 점멸등을 무시, 주차된 SUV(쉐보레 타호)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당시 22세였던 나이벨 베나비데스 레온이 사망했고, 남자친구인 딜런 앙굴로는 수차례 골절과 뇌 손상,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입었다. 피해자 측 법률팀은 "테슬라가 오토파일럿을 고속도로 전용으로 설계했음에도 불구, 일반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방치했다"며 "마케팅에서도 '인간보다 더 안전하다'고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