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케네디 러닝메이트에 니콜 섀너핸…구글 창업자 前부인·머스크와 불륜

중국계 미국인이자 실리콘밸리 변호사·기업가 출신
케네디 家 광고에 400만달러 쾌척한 ‘큰손’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선거 유세에 나선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무소속 후보와 니콜 섀너핸(왼쪽) [AP뉴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올해 미국 대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제3후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70)의 러닝메이트(부통령 후보)로 구글 공동창업자인 세르게이 브린의 전처 니콜 섀너핸(51) 캘리포니아주 변호사가 낙점됐다.

 

26일(현지시간) AP통신과 폭스뉴스 등 외신은 케네디가 섀너핸이 성장한 미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지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50개주의 약 절반이 부통령 러닝메이트를 지명해야 후보로 등록이 가능해 케네디가 서두른 것으로 보인다.

 

케네디 주니어는 이날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선거유세 현장에서 섀너핸을 소개하면서 "장애물을 극복하고 최고 수준에 도달한 이민자의 딸"이라고 말했다.

 

백인 아버지와 중국계 이민자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섀너핸은 정부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에 생활을 의존하는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했으나 현재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변호사이자 기업인이다. 상당한 재력도 갖고 있어 케네디 진영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실제 섀너핸은 정치계의 ‘큰손’으로도 불린다. 2020년 대선 당시 바이든에게 2만5000달러(약 3371만원)를 기부했으며, 올해 슈퍼볼 방송 중간 광고 시간에 송출된 케네디 주니어 홍보 영상에 400만달러(약 54억원)을 후원하가도 했다.

 

섀너핸은 2018년 11월 구글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결혼했다가  이혼했다. 브린 사이에 딸 1명을 두고 있다. 딸 양육 문제 등으로 남편과 불화를 겪던 중 2021년 12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브린과 섀너핸은 2023년 5월 이혼했다. 절친했던 브린과 머스크도 사이가 멀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네디 주니어는 존 F 케네디(1917~1963) 전 대통령의 조카이자, 로버트 F 케네디(1925~1968) 전 법무장관의 아들이다. 이들 형제는 모두 암살됐다. 케네디 주니어는 민주당을 상징하는 정치 명문가 케네디가의 일원이지만 작년 10월 탈당하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케네디의 무소속 출마에 바이든과 도널드 트럼프 진영 모두 경계해왔다. 특히 민주당 안팎에서는 그가 조 바이든 대통령의 표를 잠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고, 친형제자매들이 그의 출마를 반대하는 공개 성명을 내며 집안 갈등으로도 비화했다.

 

케네디는 "니콜과 나는 모두 민주당을 떠났다. 우리의 가치가 변한 것이 아니라 민주당이 변했다"라고 말했다. 섀너핸도 과거에 민주당 지지자로 과거에 선거에서 조 바이든을 비롯한 민주당 후보들을 후원했으나 케네디처럼 이탈했다.

 

케네디는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민주주의에 위협이 된다고 비판해왔으며 음모론을 신봉할 뿐만 아니라 특히 백신 접종에도 불신감을 자주 드러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자금 모금단체인 ‘매가INC’의 알렉스 파이퍼 대변인은 "극좌 진보주의자인 케네디 주니어가 바이든의 큰손이었던 극좌인물을 러닝메이트로 고른 건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텔레그램, ‘추적 불가’ 신화 깨졌다…한국경찰에 95% 정보제공, 디지털범죄 검거 급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추적당하지 않는 메신저’로 악명 높았던 텔레그램이 2024년 8월 창업자 파벨 두로프 체포 이후 정책을 전면 수정, 한국 경찰의 수사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며 디지털 범죄 검거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입자 정보·IP 기록 등 핵심 자료가 제공되며, 딥페이크·마약·성착취 등 각종 범죄 검거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텔레그램, ‘범죄 안전지대’에서 ‘수사 협조’로 급선회 2024년 8월, 텔레그램 창업자 겸 CEO 파벨 두로프가 프랑스에서 아동 음란물 유포, 마약 밀매, 자금 세탁 방치 등 혐의로 체포된 것이 결정적 전환점이 됐다. 이후 텔레그램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변경하고, 한국 경찰 등 수사기관의 자료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기 시작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4년 10월 이후 텔레그램은 한국 경찰의 자료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6월 기준, 경찰이 제공받은 자료는 1000여 건에 달한다. 요청이 들어오면 텔레그램은 자사 정책 및 국제법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가입자 정보와 IP 기록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5%도 요청서를 보내고 기다리는 상태로, 사실상 거의 모든 요청이 받

[공간사회학] 148년 역사 윔블던, AI 심판 도입…'전통 상징' 테니스 ‘혁신의 서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6월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개막한 ‘윔블던 챔피언십’이 148년 만에 사상 최초로 ‘AI 심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1877년 창설 이래 ‘전통의 상징’이었던 윔블던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며 스포츠 혁신의 한복판에 섰다. AI 심판, 148년 만에 선심을 대체하다 BBC, 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윔블던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 선심’이 완전히 사라지고, AI 기반 라인 판독 시스템이 모든 코트에서 인·아웃 판정을 맡는다는 점이다. AI 심판은 코트 주변에 설치된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공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추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인’과 ‘아웃’을 즉각적으로 판정한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원회는 “기술의 발전이 경기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 심판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미 2023년 US오픈, 2024년 호주오픈 등 일부 메이저 대회에서 부분적으로 도입된 바 있으나, 윔블던처럼 모든 코트에서 선심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심판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 오심 논란을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