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딥시크 이은 中 AI ‘키미 K2’ 충격…"코딩·수학·창의 글쓰기서 챗GPT·딥시크 능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7월, 중국 인공지능(AI) 업계가 다시 한 번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오픈AI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서구 AI 거두들이 주도해온 글로벌 AI 경쟁 구도에 중국 문샷AI(Moonshot AI)가 새롭게 공개한 초대형 AI 모델 ‘키미 K2(Kimi K2)’가 정면 도전장을 내밀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고 CNBC, VentureBeat, MoonshotAI 공식페이지등이 밝혔다.

 

혁신의 핵심…“코딩·수학 능력, 미국·중국 경쟁상대 압도”

 

문샷AI는 2025년 7월 11일, 서울 기준 글로벌 학계와 업계의 큰 관심 속에 ‘키미 K2’ 모델을 공식 공개했다. 키미 K2는 1조 파라미터(총 매개변수)를 탑재한 대규모 ‘Mixture-of-Experts(MoE)’ AI 구조로,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를 냈다.

 

코딩 능력
AI 모델 코딩 평가 표준인 ‘라이브코드벤치(LiveCodeBench)’에서 53.7% 패스@1(한 번의 시도로 과제 해결) 점수를 기록했다. 이는 오픈AI ‘GPT-4.1’(44.7%), 중국의 ‘딥시크-V3’(46.9%)를 뛰어넘는 기록이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실전 평가 ‘SWE-bench Verified’에서도 65.8%의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상업용·오픈소스 모델 모두를 압도했다.

 

수학 및 논리 추론 능력
수학 500개 난제 테스트(MATH-500)에서 정답률 97.4%로, 구글 ‘제미나이(95.2%)’, 앤트로픽 ‘클로드 3.7 소넷(96.2%)’ 등 미국 최신 AI를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미국 AIME 2024 수학경시에서도 평균 69.6%의 정답률을 기록, GPT-4.1(46.5%) 및 딥시크 V3(59.4%)에 두 배 가까이 앞섰다.

 

창의적 글쓰기 능력
‘크리에이티브 라이팅 v3’ 기준 10점 만점에 8.56점으로, 글로벌 AI 중 현재 최고 기록이다. 구글 ‘제미나이 2.6Pro(8.38점)’, 오픈AI ‘GPT-4o(8.18점)’ 등 주요 경쟁작을 모두 앞질렀다. 서사 구조화, 비유적 표현, 주제 통합력 등에서 특히 뛰어난 평가를 받았다.

 

무료·오픈소스 전략…오픈AI 상대 ‘중국발 게임체인저’


키미 K2의 가장 결정적인 특징은 무료·오픈소스 공개다. 단 15센트/100만 입력 토큰, 2.50달러/100만 출력 토큰이라는 초저가 정책으로, 챗GPT·클로드 등 서양 유료모델(예: Claude Opus4의 100만 출력 토큰 당 75달러)에 비해 파격적인 비용 구조를 제시했다.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 등에서 출시 직후 하루 만에 역대 최다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 북미·유럽 개발자와 학계까지 빠르게 확산 중이다.

 

 

미·중 패권구도, 오픈소스 AI 주도권 경쟁 불붙어


초거대 AI의 무료·오픈소스화가 가속되면서 미국 AI업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앨런AI연구소, 카운터포인트 등 미국 주요 AI 전문가들은 “키미 K2가 세계 최고 수준 오픈모델로 미국 기업들도 이제 상업용 폐쇄모델 경쟁만으론 한계”라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딥시크’에 이어 중국이 또 한 번 오픈모델 생태계 주도권을 가져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오픈AI도 자체 오픈모델 출시마저 안전문제로 보류하는 등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계와 보완 과제…“중국발 AI 왕좌 도전, 판 다시 짠다”


일부 사용자들은 한국어 등 비영어권에서 문장 성의·정서성 부족, 출력 결과가 길지 않고 간결하다는 점을 약점으로 꼽았다. 또 하드웨어·효율성, 멀티모달(이미지·음성 통합 등) 활용성은 아직 제한적이라는 평도 있다.

 

키미 K2의 등장은 AI 산업 주도권을 한 차원 격상시켰다.

 

글로벌 AI 경쟁 구도가 미국 대 중국, 상업용 폐쇄형 AI vs 대중적 오픈소스 AI로 재편되고 있다. 이제 “AI 혁신은 곧 오픈소스 – 기술·비용 빅뱅 시대”의 막을 올릴 수 있다는 실질적 위기감이 실리콘밸리에도 파고들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