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中 텐센트, 오픈AI에 필적하는 '소형 AI 모델' 돌풍…딥시크 이어 ‘작지만 강한’ 오픈 이노베이션 '혁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빅테크기업 텐센트가 AI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스마트폰, IoT 및 엣지 디바이스 등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고성능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0.5B, 1.8B, 4B, 7B 파라미터 크기의 혼원(Hunyuan) 오픈소스 AI 모델 4종을 공식 출시한 것이다.

 

Tencent 공식발표와 AASTOCKS, OfficeChai 등의 자료에 따르면, 8월 4일(현지시간) 발표된 이번 신제품은 미국 기반 대형 연구소들이 초거대 언어 모델에 집중하는 것과는 달리, 중국의 전략적 전환점을 상징한다.

 

가장 주목받는 7B 모델은 오픈AI의 o1-Mini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입증했다. 예를 들어 ▲수학 벤치마크 MATH500에서 93.7점 ▲질문 응답 DROP에서 85.9점 ▲수학 경시대회 AIME 2024에서 81.1점을 기록했다.

 

OfficeChai는 “GPQA, MATH500, AIME 2024, Livecodebench 등 대다수 벤치마크에서 혼원 7B 모델이 오픈AI o1-mini를 능가했다”고 보도했다.

 

소비자용 GPU만 있어도…압도적 확장성 및 최적화


이번 혼원 시리즈의 강점은 높은 가성비와 쉬운 배포다. 네 모델 모두 소비자용 단일 그래픽카드로 구동 가능하며, SGLang, vLLM, TensorRT-LLM 등 주류 LLM 서비스 프레임워크와 완벽히 연동된다. 특히 256K 토큰의 초장문 컨텍스트 윈도우를 기본 지원, 50만 단어에 달하는 방대한 문서도 한 번에 분석·처리가 가능해 대용량 논문 검색, 계약서 해석 등 고난도 업무에 적합하다.

 

텐센트가 자체 개발한 ‘AngleSlim’ 압축 툴은 FP8(8비트 부동소수) 정적 양자화, INT4(4비트 정수) 양자화를 GPTQ·AWQ 알고리즘과 결합해 정확도 저하 없이 추론 속도를 극대화한다. 실제로 MMLU 79.82점, GSM8K 88.25점, MATH 74.85점 등 다양한 과업에서 기존 경쟁 모델과 대등하거나 높은 수치를 확인했다.

 

‘하이브리드 추론’과 에이전트 지향…실용 제품 도입 가속화


혼원 시리즈는 ‘하이브리드 추론’ 모드로 사용자가 신속한 결론 도출(빠른 사고)과 고도의 논리 전개(느린 사고)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멀티 에이전트 업무 최적화에도 강점을 보이며, BFCL-v3, τ-Bench, C3-Bench 같은 벤치마크에서 최상위 점수(예: C3-Bench Hunyuan-7B-Instruct 68.5점)를 기록했다.

 

배포 관점에서도 Arm, Qualcomm, Intel, MediaTek 등 글로벌 칩셋 제조사들이 지원을 공식화했으며, 텐센트 미팅, 위챗 리딩 등 실제 제품에 이미 융합 적용 중이어서 산업계 신뢰도 또한 높다.

 

중국 AI, ‘작고 강한’ 오픈 이노베이션의 새 장 열다

 

중국 빅테크들의 오픈소스 AI 전략은 ‘작지만 강력한 모델’로 전환하면서, 미국 진영 초거대 AI 대비 실질적인 경쟁력과 틈새시장을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중국 AI가 미국에 비해 더 가볍고 효율적인 오픈소스 모델 분야에서 독자적인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혼원 AI 시리즈는 GitHub, Hugging Face 등 주요 플랫폼을 통해 오픈소스로 공개됐다. 이를 통해 글로벌 개발자들은 맞춤형 압축, 다양한 API 연동, 최적화된 성능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구글 딥마인드 CEO "AI 전환, 산업혁명 뛰어넘는 10배 규모의 경제·사회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구글 딥마인드의 CEO 데미스 하사비스가 AI 혁명이 산업혁명보다 10배 더 크고 10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 단언하며, 전 세계가 향후 10년 내에 전례 없는 경제·사회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하사비스는 48세의 영국 출신 과학자로, 2014년 구글에 인수되기 전 딥마인드의 공동 창립자다. 그는 최근 WIRED, CBS 60 Minutes 등 다수의 국제 인터뷰에서 AI가 인간의 사고 능력을 증폭·대체하는 점에서 과거 산업혁명과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분석했다. 산업혁명이 인간 근육의 기계를 보강하며 100년에 걸쳐 사회를 변화시켰다면, AI 혁명은 인간의 두뇌 역할을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10배 이상의 속도로 진화시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사비스는 “100년이 걸릴 변화를 10년 내에 구현할 것”이라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에 100배의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기술혁신 가속도와 경제적 파급력을 동시에 강조한 표현이다. 경제·고용 측면에서도 AI가 초래할 변화는 파급력 강하다. CBS 뉴스에 따르면 현재 AI는 약 25%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직무가 완전 대체되기보다 ‘보강’되는

[이슈&논란] 술에 강한 사람, 진화 덕분?…"조상 ‘발효 과일 습성’이 알코올 분해력 40배 높였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인류가 ‘술꾼’으로 태어날 수밖에 없었던 비밀이 진화 연구로 확인됐다. 미국 다트머스대와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최근 논문(ADH4 진화, 발효 과일 섭취 분석)과 BBC, Nature등의 보도에 따르면, 인류의 조상은 나무에서 생활하다가 땅에서 떨어진 발효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습성이 있었고, 이 결과 아프리카 유인원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ADH4) 활성도가 40배 이상 폭발적으로 향상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땅에 떨어진 ‘발효 과일’이 만든 숙련된 알코올 분해자 연구진에 따르면, 약 1000만년 전 인류 조상이 땅에서 열매를 주워 먹기 시작하면서 자연발효된 과일의 알코올에 노출되는 빈도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알코올 대사에 관한 효소(ADH4)가 강하게 선택적으로 진화해, 기존 아프리카 영장류에 비해 40배나 강력한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갖추게 됐다. 특히 인간은 침팬지 등 나무 위 생활에 특화된 영장류보다 발효 과일 알코올을 더 빨리, 더 많이 대사하는 대사 경로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진화사의 ‘술친구’…현대인 음주 문화와의 관계 연구 논문에서 “자연적으로 바닥에 떨어진 열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