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중국 800만원대 휴머노이드 로봇 판매"…유니트리 R1,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빅뱅'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로봇기업 유니트리(Unitree)가 2025년 7월 상하이 세계 AI 컨퍼런스에서 선보인 5900달러(약 800만원대) 휴머노이드 로봇 ‘R1’이 전 세계 로봇업계의 판도를 크게 흔들고 있다고 New York Post, South China Morning Post, ChinaTalk, Humanoid.Guide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4피트(121cm) 신장, 25kg(55파운드)으로 성장기 아동과 비슷한 크기에, 가격은 경쟁 로봇 대비 최소 3분의 1 수준의 ‘혁신적 파괴력’으로 시장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첨단 AI·26관절…재주넘기부터 권투까지

 

R1은 26개의 관절(자유도)과 유니트리 자체 개발 스마트 액추에이터를 탑재, 카트휠, 킵업(손 없이 누운 상태에서 일어서기), 핸드스탠드, 복싱 등 복잡한 아크로바틱 동작을 자연스럽게 소화한다.

 

실시간 얼굴·음성 인식은 물론, 쌍안 카메라(220도 FOV)와 4마이크 어레이, 8코어 CPU+GPU, Wi-Fi 6, 블루투스 5.2 등 최신 사양으로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배터리는 약 1시간 실사용이 가능하며, 핫스왑 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테슬라 가격의 1/4, 보스턴다이내믹스 1/20”…로봇시장 게임체인저될까


유니트리 R1의 5900달러라는 최저가는 글로벌 풀사이즈 휴머노이드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가격 혁신’이다. 


R1은 전통적인 연구·산업영역에서 벗어나 일반 개발자·교육기관·테크 마니아까지 시장을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즉 “모든 가정과 사무실에 로봇을”이라는 유니트리 CEO 왕싱싱의 비전은 피지컬 AI 확산 전략에 부합한다.

 

반면 부정적인 부분 우려도 제기됐다. 실제 일상의 도움 기능(밥 만들기·가사)이 아닌, “재주 부리기·엔터테인먼트”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손가락 조작력 부족, 약 1시간 배터리 등도 현실적 장애이다. 레딧(Reddit) 등 관련 SNS 커뮤니티에서는 “아침을 만들어줄 수 있니? 아니, 밥 대신 재주넘기를 해 보겠다고”는 반응이 상징적이다.

 

 

‘출시일 미정·품질 변수’…단계적 양산 시나리오


R1은 현재도 활발히 개발·테스트 단계이고, 공식 판매 일정이나 안전성 인증 등은 확정되지 않았다. 현재 유니트리는 기존 공식 대리점 및 B2B 유통채널을 기반으로 단계별 출시(교육·연구→개발자→소비자) 전략을 구사할 예정이다.

 

하드웨어·제조 최적화가 완료될 때까지 시장 반응을 주시하며 실제 가격 실현과 후속 모델 스펙(손·센서 등)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uturology 등 몇몇 유통사가 사전 유통 협상에 나선 상황이다.

 

중국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 R1의 등장과 함께 전 세계 로봇 시장에서는 로봇 대중화와 규모의 경제 실현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동시에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핸즈온’ 경험, 안전성, 내구성 등 실질적인 수요와의 괴리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R1과 같은 베타 테스트 단계의 로봇들이 계속해서 발전하여 실제 서비스형 로봇—예를 들어 청소, 요리, 돌봄 등 일상 생활에서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로봇—으로 진화할 경우, 로봇 산업 전반에 걸쳐 차세대 혁신적인 변화가 촉발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로서는 R1이 가격 면에서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쇼크’를 안겼지만, 동시에 실질적인 활용 면에서는 ‘실속 논란’이 함께 공존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앞으로 R1 및 유사 제품들의 소프트파워 향상과 하드웨어 업그레이드가 로봇 시장에서 진정한 변혁을 이끌어낼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삼성전자, 일론 머스크 xAI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중…테슬라 성공 발판·AI 실리콘 시장 선점 노린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와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논의는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체결한 165억 달러 규모의 AI6 칩 생산 계약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행보로, 한국 파운드리 사업의 실적 반등과 글로벌 AI 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계약은 머스크가 지난 7월 발표한 테슬라 AI6 칩 생산을 위한 165억 달러, 2033년까지 장기간 협력 계약과 같은 맥락에서 삼성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서 진행된다. AI6 칩은 성능은 12%, 전력 효율은 25%, 칩 면적은 8% 개선된 삼성의 2nm SF2 공정으로 생산되며, 테슬라의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대형 AI 연산 인프라에 탑재될 예정이다. 머스크는 "165억 달러는 시작일 뿐, 실제 생산 규모와 매출은 이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xAI와의 협상은 맞춤형 AI 칩에 대한 업계 전반의 선호 증가 추세와도 맞물린다. 최근 AI 클라우드, 대규모 모델 연산 등에 특화된 ASIC(주문형 반도체)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 TOP10…삼성·네이버·LG·크래프톤·KT·쿠팡·현대차·삼성SDS·SKT·스트라드비젼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AI(인공지능)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이며, 독보적인 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국내 기업들도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CEO스코어에서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