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5년만의 마윈 전격 복귀…‘MAGA(Make Alibaba Great Again)’ 띄우며 알리바바 진두지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알리바바 창업주 마윈(61)이 2019년 회장직 사임 이후 5년 만에 다시 경영 현장에 복귀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의 복귀는 공식 직책 없이도 경영의 최전선에서 전략을 진두지휘하는 ‘비공식 리더십’으로 평가된다.

 

5년 만에 경영 현장 복귀…내부 ‘MAGA’(Make Alibaba Great Again)로 결집

 

Bloomberg, Economic Times, Business Times 등에 따르면, 알리바바 사내 게시판은 최근 ‘MAGA’ 문구로 도배되며, 조직 전체가 “알리바바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는 마윈의 메시지에 호응하고 있다. 이 구호는 미국 트럼프식 모티브를 차용, 실적 반전과 조직 재결집의 상징으로 확산 중이다.

 

AI·전자상거래 전쟁·보조금 전략 직접 챙겨

 

마윈은 JD닷컴, 메이퇀 등 신흥 경쟁업체의 도전을 정면돌파하기 위해 최대 500억 위안(약 10조원) 규모의 보조금 투입안을 주도했다. 또 3800억 위안(약 70조원) 이상의 AI·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계획을 챙기고, 하루 세 차례 이상 최고 경영진에게 직접 보고를 요청하는 등 강한 실무 집중형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실적과 시장 반응: 침체 딛고 주가·매출 반등


알리바바는 2025년 누적 주가가 88% 급등하며 1000억 달러(약 133조원) 이상 시가총액을 회복했다. 8월에는 클라우드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26% 증가하며, AI·클라우드 투자가 실리로 연결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마윈 복귀의 배경과 '중국 빅테크' 정부 관계


2020년 말 중국 당국의 반독점 조사 이후 사실상 모습을 감췄던 마윈은 올해 2월 시진핑 주석과의 회동 이후 ‘빅테크 정상화’의 상징으로 업계 신뢰 회복의 전면에 섰다. 공식 직책 복귀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내부는 이미 “최고의 홍보대사이자 사기진작 리더”로 그를 평가한다.

 

결국 마윈의 경영 복귀는 알리바바의 전면적 혁신과 경쟁 재개를 상징하며, AI와 전자상거래 전략을 직접 챙기면서 조직 사기와 시장 신뢰를 동시 회복시키고 있다.

 

복귀의 상징적 메시지 ‘MAGA’ 아래, 2025년 중국 테크 비즈니스 구도는 한층 격렬해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애플, 폴더블 아이폰 2026년 가을에 나온다…"창립 50돌 맞아 내년 최소 15종 신제품 출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크 거대기업 애플이 2026년에 역대급 신제품 대거 출시를 예고하며 '가장 중요한 해'에 들어선다. 블룸버그 마크 거먼을 비롯해 폰아레나, 벤징가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 한 해 동안 최소 15개의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으로, 이는 앱스토어 규제 압력과 관세 리스크 등 대내외 도전 속에서도 혁신을 이어가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026년 초 대규모 하드웨어 리프레시 내년 초에는 아이폰17e, A18 칩을 장착한 12세대 아이패드, M4 칩 탑재 아이패드 에어가 출시된다. 맥 사용자들은 M5 칩이 내장된 신형 맥북 에어와 프로·맥스 프로세서를 장착한 맥북 프로 신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2022년 이후 첫 외장 디스플레이 신제품도 함께 공개된다.​ 봄철 스마트홈과 시리 AI 혁신 3~4월에는 애플의 스마트홈 전략이 구체화된다. 스피커 베이스형과 벽걸이형 옵션을 갖춘 약 7인치 크기의 스마트홈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AI가 대폭 강화된 새로운 시리 음성 비서가 적용될 예정이다. 시리는 웹 검색 능력과 앱 내 작업 제어를 강화해 ChatGPT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전망이다.​ 가을, 폴더블 아이폰과 최신 맥북 프로

[이슈&논란] ‘AI 3총사 도원결의' 깐부치맥 "젠슨 황의 딸 작품이었다"…매디슨 황의 인사이트가 만든 '빅픽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황젠슌) 최고경영자(CEO)가 한국 경제계를 대표하는 두 총수,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과 함께한 소탈한 ‘치맥(치킨+맥주)’ 회동이 국내외 미디어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이 파격적인 만남의 숨은 연출자는 젠슨 황의 딸, 매디슨 황(34)으로 밝혀졌다. 해당 회동은 지난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깐부치킨 매장에서 성사됐다. 삼총사의 만남은 엔비디아 한국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 직전 이뤄졌으며, 한 시간 가량 이어진 술자리에서는 팔짱을 낀 ‘러브샷’까지 펼쳐지는 등 국내 치킨 문화와 글로벌 반도체 리더의 융합이라는 이색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3일 중앙일보 보도와 복수의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이 모든 콘셉트와 실무적 실행은 매디슨 황이 직접 주도했다. “AI 깐부”라는 상징적 모임명이 나온 것부터 ‘깐부’라는 장소 선정까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유명 대사 “우리는 깐부잖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글로벌 IT 수장들과 한국 기업 리더들의 협력 네트워크 형성을 노리는 문화적 퍼포먼스를 만들었다. 매디슨 황은 한 달 전 한국을 미리 방문

[빅테크칼럼] 트럼프-시진핑 회담 이후 '중국, 희토류 규제 중단'…미·중 역사적 무역 휴전 '눈앞'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타결된 획기적인 무역 합의에 따라 새로운 희토류 수출 통제 시행을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종료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11월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이터, 포춘, CNBC, AP, NY Times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2025년 10월 부산 정상회담에서 1년간의 무역 휴전에 합의하며,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에 대한 반도체 기업 조사를 종료하는 한편, 미국은 일부 관세를 인하하는 등 양국 간 무역 긴장 완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들을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희토류,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흑연 등 핵심 광물의 수출에 대한 중국의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는 내용으로, 백악관은 이를 2025년 4월과 2022년 10월 시행된 제한 조치의 사실상의 철회로 평가했다. 중국은 해당 희토류를 미국 최종 사용자 및 글로벌 공급망에 이익이 되도록 일반 수출 허가서를 발급하게 되며, 이는 글로벌 첨단산업과 군사용 장비에 필수적인 핵심 자원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