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구글도 AI 챗봇 '바드' 내놨다…챗GPT와 경쟁 본격화

구글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최한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인공지능 챗봇 바드(Bard)를 미국과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 180개국에서 전면 오픈했다고 밝혔다. [MBC방송 캡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가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구글도 인공지능(AI) 챗봇인 ‘바드’를 내놨다. 지금까지 미국과 영국에서 대기자만 이용할 수 있었던  서비스를 한국을 포함한 180개국에 전면 공개한 것. 이제는 한국어로도 이용이 가능해졌다.

 

구글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최한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사람처럼 묻고 답하는 인공지능 챗봇 바드(Bard)를 미국과 한국을 비롯해 전세계 180개국에서 전면 오픈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출시된 오픈AI의 챗GPT와 본격적인 경쟁이 이뤄질 전망이다.

 

바드에는 이날 공개한 구글의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 팜2(PaLM)가 탑재됐다. 팜2는 작년 4월 선보인 팜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한다. 5300억개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과학과 수학에서 추론도 가능하고, 코딩 작업도 한다고 구글은 설명했다.

 

시시 시아오 구글 제품담당 부사장은 "바드는 조만간 더 많은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더 많은 언어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며 "오늘부터 바드는 영어뿐 아니라 일본어와 한국어로 지원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영어로만 의사소통이 가능했던 바드와 한국어로 묻고 한국어로 답변을 받을 수 있게 된 것. 구글은 조만간 바드가 40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바드의 질문과 답변에는 모두 시각적인 요소가 추가됐다. 이용자 질문에 관련 이미지를 답으로 제시하고, 이미지에 대한 질문에도 답할 수 있게 된다. 또 바드에 시각 분석을 사용해 관련 정보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글 렌즈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강아지 사진을 선택한 후 “사진 속 강아지 두 마리의 품종을 알려줘”라고 요청하면 바드는 구글 렌즈를 통해 사진을 분석하고 품종을 확인해 답변한다.

 

구글은 그림 생성 기능에 대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토샵으로 잘 알려진 어도비와 손을 잡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