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The Numbers] ABC마트, 7년간 519억 로열티 일본 본사로 '쓱'… 日 '독주'에 韓 신발유통 '울상' 일본 모기업 '돈방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신발 유통 1위 기업  에이비씨마트코리아(대표이사 이기호, 이하 ABC마트)는 2023년 매출 6000억원을 돌파하며 2024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소폭 감소했다. 일본 본사로의 로열티 등 이익 유출 구조, 판관비 부담, 일부 매장 부진, 해외 신사업의 불확실성 등이 주요 리스크로 지적된다.

 

반면, 부채비율과 유동성 등 재무안정성은 양호한 편이다. 향후에는 일본기업으로서 국내 소비자 정서, 오프라인 유통환경 변화, 내부거래 투명성 강화 등이 경영의 핵심 과제로 부상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로열티 명목으로 7년간 500억원 이상이 일본 본사에 송금된 점,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1500억원) 등은 한국에서 창출된 이익의 상당 부분이 해외로 유출되는 구조적 문제로 지적돼 국민정서상 사회적·정책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

 

◆ 2024년에도 매출 성장세 유지, 단 영업이익·순이익은 소폭 감소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등록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ABC마트의 2024년 매출은 6589억원으로 전년(6173억원) 대비 6.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592억원을 기록해 전년(602억원) 대비 1.7%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502억원으로 전년(517억원) 대비 2.9% 줄었다.

 

매출을 구분해보면 상품매출액(타사 브랜드 등 외부에서 사입해 유통하는 신발 및 용품)은  6334억원, 제품매출액(자체 생산제품 등)은 232억원, 임대매출은 15억원으로 파악됐다. ‘슈즈 멀티숍’의 특성상 전체 매출의 약 96% 이상이 ‘상품매출’에서 발생하고, 자체 생산 제품(제품매출)은 3.5% 수준, 임대매출은 0.2%에 불과하다.

 

매출원가를 살펴보면, 상품매출원가는 3400억원, 제품매출원가는 232억원으로 나타났다.

 

상품매출(6334억원) 대비 상품매출원가(3400억원)를 뜻하는 매출원가율은 54% 수준으로 이는 매출총이익률이 46%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 양호한 영업수익성을 보여준다.


제품매출(232억원) 대비 제품매출원가(232억원)는 100%로, 자체 생산 제품은 마진이 거의 없거나, 원가와 판매가가 거의 일치하는 구조임을 보여준다. 이는 자체 브랜드의 시장 경쟁력이 약하거나, 시범적 라인업에 불과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업이익률은 9.0%로 집계됐다. 제품매출보다 상품매출이 대부분인 기업으로서 10%에 육박하는 영업이익률은 동종 신발유통업체 중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 최근 7년간 519억원 로열티도 일본 본사行

 

이익잉여금은 4731억원으로 나타났다.  

 

배당과 관련해 ABC마트측은 "과거 2015년에 신설된 기업환류소득세제의 도입으로 인해 2016년과 2017년 단 2회만 제한적으로 배당을 실시했을 뿐 현재는 시행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2024년 결산 기준 발행주식수는 5052만주, 자본금은 252억6000만원(액면가 500원)이다. 

 

ABC마트코리아는 일본 본사(ABC마트 INC)가 99.96%의 지분을 보유한 외국계 기업으로, 발생한 이익의 상당 부분을 로열티 형태로 본사에 송금하는 구조를 굳힌 기업이다. 내부 유보보다는 대주주 이익에 방점이 찍힌 정책이 유지되고 있다.

 

2024년 로열티 지급액은 81억원으로, 최근 7년간 매년 62억원~82억원을 꾸준히 일본 본사에 브랜드 사용료 명목으로 누적 519억원(2024년 81억원, 2023년 76억원, 2022년 73억원, 2021년 64억원, 2020년 62억원, 2019년 81억원, 2018년 82억원)이 송금됐다.

 

이외에도 ABC마트는 미국 VANS와의 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6억원, 월트디즈니 등과의 디자인 사용 계약에 따라 2.7억원 등 총 86억 원가량을 로열티로 지출했다. 또한 VANS INC. 및 VF OUTDOOR INC. 와 연간 일정 금액 이상의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약정(미니멈 개런티)을 맺고 있으며,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국내 독점 소매권을 박탈당할 수 있다. 

 

이는 한국 내 영업이익의 상당 부분이 해외로 유출되는 구조적 한계로, 국내 소비자 및 사회적 시선에서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에도 80억원 이상의 로열티가 일본 본사에 송금됐다.

 

 

◆ 특수관계자와 자금거래,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소송가액 20억원 소송 1건 

 

판매비와 관리비는 2345억원으로 전년(2303억원) 대비 1.8%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광고선전비는 88억원, 급여비는 684억원, 퇴직급여 38억원, 복리후생 93억원, 지급수수료는 308억원으로 조사됐다.

 

주요 경영진(이사와 감사)의 급여(보수)는 8.33억원으로 나타났다.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는 1500억원 규모로, 이는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우선 장기금융상품 514억원(전년 16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기타 비유동자산인 임차보증금 등도 특수관계자 소유 건물에 대한 보증금으로 577억원이 일부 계상되어 있다.

 

또 특수관계자(일본 본사 등)로부터의 상품 매입에 따른 매입채무·미지급금이 200억원대에 달한다. 여기에 일본 본사에 지급된 로열티(브랜드 사용료)는 81억원과 지급수수료 등도 상당 부분 특수관계자 거래로 분류된다.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가 전년 대비 급증한 원인은 미얀마, 베트남 등 해외 생산법인 인수 및 신규 투자로 인해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가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신규 종속기업(티케이에이치인터내셔널, MYANMAR DYC, SUNNY SHOES, ITC VINA 등)에 대한 출자 및 자금 지원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부채비율은 10.5%로 집계됐으며, 유동비율은 783%로 나타났다. 단기차입금은 없고, 유동부채는 532억원, 현금성자산은 1483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무형자산(소프트웨어, 임차권리금)은 49.7억원이다.

 

법정소송과 관련해서는 ABC마트코리아는 현재 피고로 1건의 소송에 계류중이며, 소송금액은 총 20억원에 달한다.

 

소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상대방, 소송의 원인 등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 다만, 과거 언론 및 공시자료를 종합하면, ABC마트코리아는 전임 안영환 대표이사와의 민·형사 소송, 매장 임대차 관련 분쟁, 협력사와의 거래 분쟁 등 다양한 소송 경험이 있다.


유통업계 정통한 한 관계자는 "ABC마트코리아는 2011년 대표직에서 물러난 안영환 전 대표와의 민·형사 소송이 오랫동안 이어졌다. 심지어 흥신소를 통해 전직 CEO를 뒷조사까지 했을 정도로 이 소송은 비자금 조성, 임대차 계약 관련 배임, 회사 재산의 사적 사용 등 다양한 쟁점이 있었으나, 결국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특수관계자(주로 일본 본사 및 계열사)와의 자금거래가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이는 내부거래 투명성, 이익 유출 논란 등 거버넌스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면서 "이외에도 7년간 500억원 이상의 로열티의 일본 본사로의 지급은 한국에서 창출된 이익의 상당 부분이 해외로 유출되는 구조적 문제로 지적돼 국민정서상 사회적·정책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일본기업 ABC마트는 어떤 곳?…ABC마트.INC 99.96% 지분보유

 

한편 ABC마트가 일본기업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의 신발 제품을 판매하는 프랜차이즈 오프라인 신발점이기 때문에 크게 개의치 않고 소비하는 경향을 보인다.

 

ABC마트코리아는 신발 도소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2년 8월 29일에 설립됐으며,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가, 파인에비뉴에 본사를 두고 있고, 명동중앙점 등 국내에 327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전국 임직원 수는 1700여명에 달한다.

 

ABC마트코리아의 최대주주는 일본 소재 ABC마트.INC로 99.9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지분은 이기호 ABC마트코리아 대표이사가 0.04%를 소유하고 있다.

 

일본 ABC마트(ABC-MART, INC.) 본사의 2024년(2023년 3월 1일~2024년 2월 29일) 연결 기준 글로벌 매출 총합은 3441억엔에 달한다. 전년(2901억엔) 대비 18.7% 증가했으며, 일본 내수(2157억엔)와 해외(1073억엔) 매출이 모두 성장했다.

 

글로벌 매출은 일본 내수뿐 아니라 한국, 미국, 대만, 베트남 등 해외 법인 매출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한국의 매출규모는 일본 다음으로 가장 높다.

 

본사 위치는 일본 도쿄 시부야구 진난 아자부다이 힐스 모리 JP 타워 48층이다.

 

ABC마트 미키 마사히로(三木正浩)라는 경영자가 1985년 ㈜국제무역상사를 창업해 신발, 의류등을 수입판매하는 상사업무로 시작했다. 1987년 국제무역상사의 이름을 영문화 해서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코퍼레이션’(ITC)으로 사명을 바꿨다.

 

160년 전통의 영국 브랜드 호킨스(HAWKINS) 판권을 가지게 되면서 이 회사는 제품을 시장에 반값에 내놓을 수 있었고, 이를 계기로 1990년 2월, 도쿄 우에노에 ABC마트 1호점을 열면서 크게 사세가 확장됐다.

 

ABC마트의 ABC는 Action(행동), Begin(시작하다), Challenger(도전자)의 앞 글자를 땄다. ‘행동을 시작하는 도전자’라는 뜻이다. 또 다른 해석도 있다. ABC에서 각각 Ability(능력으로 채용), Bargain(파격적인 할인), Customer(고객의 욕구에 맞춘 마케팅)를 의미하는데, 이는 ABC마트의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 한국ABC마트는 어떤 곳?…직장으로서의 장점과 단점

 

ABC마트코리아에 대한 실제 임직원들의 평가와 취업사이트, 기업정보 사이트에 올라온 리뷰를 종합하면, 일본회사다운 장점과 단점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장점은 본사가 을지로3가 전철역과 연결돼 있어 출퇴근이 편리하다는 평가가 많다. 또 점심시간 외에도 오후에 별도의 휴게시간(이른바 담타(담배타임))를 별도 운영중이다. 또 패션·신발 기업답게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와 신제품을 접할 수 있어, 패션에 관심 있는 직원에게는 흥미로운 환경을 꼽을 수 있다.

 

또 한국 매장에서 경력을 쌓은 후 일본 본사로 이동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으며, 오프라인 프랜차이즈 매장특성상 현장 경험을 중시하는 기업문화가 반영돼 있다. 

 

특히 학력·스펙에 상관없이 능력 위주로 채용하며, 매장 출신 임원이 많다. 실제로 매장 근무를 거쳐 본부장, 임원까지 승진한 사례가 다수다. 복지 차원에서 신발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단점은 낮은 연봉과 보상 체계를 꼽는다. 연봉이 낮은 유통 업계 평균 보다도 월등히 낮다는 불만이 가장 많다. 이직시 기존 회사 연봉에서 마이너스가 된다는 지적이 많으며, 보상 체계가 짜다는 평가가 다수다.

 

꼰대식 기업문화와 사내정치도 단점으로 자주 거론된다. 위계적이고 보수적인 조직문화, 사내정치가 심하다는 평가가 반복된다. 능력보다 정치력이 승진에 더 중요하다는 인식도 있다.

 

승진 및 보상 불공정성도 도마위에 올랐다. 실제로 일보다 정치에 능한 직원이 승진하는 경우가 많다는 불만이 있다. 대거 퇴사 후 남은 고참(고인물) 위주로 보상이 돌아간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매장 출신 일부 인력의 본사 배치로 인해, 본사 업무수준이 하향평준화되면서 급격히 낮아졌다는 비판이 있다.

 

업의 특성상 주말·공휴일 매장근무는 필수다. 본사 직원도 주 1회, 공휴일 등 매장 근무가 필수적이며, 이로 인한 워라밸 저하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많다. 자사 매장에서의 신발 할인 외 복지혜택이 거의 없고, 이마저도 최근 한도가 줄었다는 불만이 있다.

 

일본기업답게 일본식 문화를 강요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아침 10분 전 출근, 단체 청소, 조례 등 일본식 기업문화가 남아 있어 불편함을 호소하는 직원이 많다. 또 매장 직원의 경우 연장근무수당 미지급, 퇴근 후 업무 지시, 반복되는 재고조사 등 노동 강도가 높아 MZ세대들과는 맞지않는다는 의견도 올라왔다.

 

임직원들이 올린 의견을 살펴보면 “연봉이 너무 짜고, 열심히 해도 인정받지 못하는 시스템” , “일 안 하는 사람만 남아 남아 있으면 독이 될까봐 퇴사한다” , "일보다 정치, 고참 중심의 보상, 낮은 연봉, 반복되는 매장근무"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대기업 중 20대 고용증가 순위 TOP10…한화에어로·LX인터·SK에너지·SKE&A·에쓰오일·현대제철 順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청년 실업 문제가 새 정부의 주요 정책 과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대기업의 청년 고용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주요 대기업 67곳 중 절반 이상이 최근 2년 새 20대 청년 고용을 약 5만명 줄이면서 사회 진출을 준비 중인 20대 청년들의 대기업 취업문이 점점 더 좁아지는 모양새다. 특히 재계 맏형격인 4대 그룹 대표 기업의 20대 청년 고용을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매년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현대자동차와 LG전자는 계속 증가해 업체별로 온도차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기업 대부분이 신입 공채보다는 경력직 채용으로 전환하고 있는 데다, 경기 둔화로 기업들이 인력 채용을 줄이면서 20대 사회 초년생의 취업 기회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액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중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67곳을 대상으로 2022~2024년 연령대별 임직원 수 및 비중을 조사한 결과, 사회 초년생인 20대 임직원 수는 2022년 29만1235명, 2023년 26만4091명, 지난해 24만3737명

[이슈&논란] HY(구 한국야쿠르트) 신입 여직원 성추행에 ‘침묵 각서’ 강요로 2차 가해 논란…후진적 직장 문화의 민낯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HY(전 한국야쿠르트) 천안공장에서 신입 여성 직원이 직속 상사와 남성 동료로부터 반복적 성추행 및 성희롱을 당해 고소를 제기하는 일이 발생했다. 대전MBC의 15일 보도에 따르면, 피해자는 건강 이상으로 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가 ‘마사지’ 빙자로 온몸을 주무름당했으며, 회식 후에는 술에 취한 상태에서 차량에서 강제추행까지 겪었다고 진술했다. 또 다른 남성 직원 역시 근무 공간과 복도에서 피해자를 추행한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더했다. 피해자는 생계 문제와 고용불안으로 9개월 간 신고를 망설였고, 어렵게 내부 고발에 나섰으나 회사 측으로부터 “외부에 발설 말라”는 ‘비밀유지 각서’ 서명을 강요받는 2차 가해를 경험했다. HY 측은 “공장 질서와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조치였다고 해명했지만, 실제론 오히려 피해자에 침묵을 강요하고, 가해자는 징계 없이 자진 퇴사하거나 타 공장 전보로 사실상 책임을 면하게 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전문가 “비밀유지 각서 요구는 명백한 2차 가해” 여성노동법률지원센터 등 전문가들은 "비밀유지 각서 자체가 피해자에게 침묵을 강요하며, 이를 기업이 요구하는 것은 2차 가해"라고 단언한다. 특히 “문

[이슈&논란] 태광 3200억 교환사채, 경영 승계 편법 '논란'…시민단체 "이호진, 지배구조 강화 직접 지시 녹취록까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태광산업의 3200억원 규모 교환사채(EB) 발행을 둘러싼 ‘경영 승계 편법’ 논란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및 미수 혐의로 번지고 있다. 참여연대·금융정의연대·한국투명성기구 등 10개 노동·시민단체가 7월 1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불법행위를 직접 지시한 증거(녹취록 및 내부자료)까지 확보했다”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3200억 EB, 자사주·사모펀드 ‘승계 퍼즐’ 핵심 태광산업은 최근 보유 자사주 27만1769주(총 발행주식의 24.41%)를 담보로 3200억원 규모 EB(교환사채) 발행 계획을 공개했다. 공식 명분은 신사업 투자와 애경산업 인수 자금 조달이지만, 실상은 이호진 일가가 36.4% 지분을 보유한 신생 사모펀드(티투프라이빗에쿼티·티투PE)를 인수 주체로 앞세워 ‘총수일가 승계·지배구조 강화’에 EB 자금이 악용된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에 불이 붙었다. 애경산업 인수 숏리스트에 태광산업이 포함됐지만, 관계자에 따르면 “업계 예비입찰 후보 4곳 중 하나일 뿐, 우선협상대상도 아니다”는 입장이다. 태광산업은 현재 3조원에 육박하는 유동자산을 보유(작년 말 연결 기준 2조

이재용, 美·中·日 글로벌 현장 누비며 ‘삼성 미래’ 세일즈 가속…“AI·반도체·전장, 초격차 승부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2025년 들어서만 미국, 중국, 일본을 잇따라 방문하며 글로벌 경영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외부에 공개된 해외 일정만 네 차례에 달하며, 이 회장은 “여러 일정 하느라 피곤하다”는 소회를 밝힐 정도로 숨가쁜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다. 美 ‘선밸리 콘퍼런스’서 글로벌 IT 거물들과 교류 이 회장은 7월 9일부터 13일까지 미국 아이다호주에서 열린 ‘선밸리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이 행사는 ‘억만장자들의 여름 캠프’로 불리며, 아마존의 앤디 제시 CEO, 제프 베이조스 창업자,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애플의 팀 쿡, 구글의 순다르 피차이,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 글로벌 IT·미디어·금융계 거물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재용 회장은 사실상 유일한 한국인 초청자로, 삼성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 자리에서 이 회장은 AI 반도체, 차세대 통신, 전장(자동차 전자장비) 등 미래 먹거리 사업에 대한 글로벌 협력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전자는 최근 AI 반도체 시장에서 HBM(고대역폭 메모리)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글로벌 파트너들

"건강한 삶 위한 7가지 습관"…세라젬, 척추·운동·휴식·뷰티·순환·에너지·정신건강까지 ‘7-HABIT’ 단행본 나왔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라젬(이경수 대표이사 사장)이 일상속에서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건강지침서 『당신의 미래를 책임지는 일곱 가지 건강 관리 습관, 7-HABIT(세븐 해빗)』 단행본을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단행본은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세라젬의 철학’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전 세계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세라젬의 비전과도 맞닿아 있으며, 질병을 치료하기보다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건강한 습관의 중요성과 습관 형성의 방법을 전하는 데 목적을 뒀다. 『당신의 미래를 책임지는 일곱 가지 건강 관리 습관, 7-HABIT』(7-HABIT)은 세라젬 이경수 대표이사와 세라젬 웰라이프랩(Well Life Lap)이 공동으로 집필했다. 세라젬 웰라이프랩은 의료기기 연구개발 및 건강 관리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으로 이 책에는 그들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과학적 정보와 현장 경험을 함께 담았다. 이 책은 건강의 영역을 7가지로 구분하고 각 부분별로 다양한 데이터와 임상연구 등의 내용을 통해 건강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실제로 7가지 습관에 해당하는 각 주제에서는 우리 삶과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한국은 좁다. 글로벌로 간 K-뷰티"…이퀄베리·아누아·달바·메디큐브·조선미녀 '1등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적으로 K-뷰티가 큰 인기를 누리면서 지난해 기준 한국 화장품 수출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한류 열풍을 등에 업고 차별화된 성분을 앞세우며 디지털 마케팅과 글로벌 유통망 확대에 적극 나선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K-뷰티의 경우 스킨케어를 위한 기초 제품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진 점이 눈에 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미국 이커머스 내 K-뷰티 판매액 중 스킨케어 부문 비중은 85%에 달한다. K스킨케어 제품이 혁신적인 기술이나 기능성 성분을 강조하면서도 피부에 큰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다. K-뷰티의 주역들이 일반 대기업이 아닌 스타트업 브랜드들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부분도 관전 포인트다. 최근 진행된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도 뷰티&퍼스널케어 카테고리에서 K-뷰티 브랜드 다수가 순위권에 들며 주목받았다. 대표적인 K-뷰티 브랜드로는 이퀄베리, 메디큐브, 아누아, 조선미녀, 달바가 있다. ◆ 부스터스 ‘이퀄베리’, 해외 진출 1년 반 만에 70개국 진출…차세대 K-뷰티 주자 떠올라 ‘이퀄베리’는 자연의 에너지를 가득 담은 성분이 주는 힘을 피부에 선사하는 스킨케어

"난임백과부터 가임력 자가진단, 지원정책정보까지 한번에"…LG화학, 임신준비 및 난임치료 돕는 앱 ‘블룸’ 공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화학이 어디서부터 정보를 찾아야 할지 막막한 가임 및 난임 정보를 한데 모은 앱을 선보인다. LG화학은 임신을 준비하며 난임을 겪고 있는 모든 가임기 부부, 가임력 보존 정보 등이 필요한 일반 여성이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블룸(BLOOM)’을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LG화학은 ‘새 생명’의 기쁨과 임신한 여성의 ‘부른 배’를 연결해 ‘블룸(BLOOM)’으로 이름 지었다. ‘블룸’은 LG화학이 대한생식의학회와 대한보조생식학회의 자문 및 검증을 통해 컨텐츠의 신뢰도를 한층 높인 앱으로 방대하고 복잡한 가임 및 난임 정보를 앱 한곳에서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다. LG화학은 앱 개발을 위해 가임기 여성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를 진행, 실질적으로 유용하고 꼭 필요한 정보 및 기능만을 선별해 메뉴를 구성했다. ▲‘난임백과’, ▲‘가임력 자가진단’이 대표적 메뉴로 난임의 원인부터 가임력 보존 방법까지 폭넓은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문의 자문과 국내외 참고문헌을 기반으로 구성한 10개의 짧은 문항을 통해 맞춤형 가임력 관리 방안도 제시한다. 또 복잡한 난임 시술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스텝 바이 스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