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The Numbers] '주인바뀌자' 아티제 보나비 '적자 행진', 유동성 위기·자본잠식·법적소송…母 대한제분 330억 수혈에도 기업 존속 '위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커피 프랜차이즈 아티제를 운영하는 보나비(대표이사 이종민)는 2024년에도 적자를 이어가며 지속적 적자와 자본잠식에 이어 재무구조 악화와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 감사보고서에서도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인 의문이 제기된다'고 명시했다.

 

보나비는 프랑스어인“belle vie” 와 이탈리아어인“dolce vita” 와 같은 뜻으로 'the good life'를뜻하는 합성어이다. 유사어인 보니비(bonnie bee)는 포레스트 카터의 책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에 등장하는 인디언 할머니 이름이다. 꽃을 찾아오는 예쁜 벌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 카페이름으로 종종 눈에 띈다.

 

◆ 보나비(아티제), 영업이익, 순이익 적자…매출총이익률 53%에도 적자인 이유 '의문'

 

5월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보나비의 2024년 매출은 984억원으로 전년(1033억원) 대비 4.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억9527만원으로 적자폭이 전년(마이너스 23억4975만원) 대비 다소 축소됐지만,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 49억8901만원으로 전년(마이너스 37억5504만원) 대비 적자폭이 더욱 커졌다. 

 

영업이익률은 마이너스로 나타나 수익성 회복에 실패했다. 당기순손실 누적으로 배당은 실시하지 않았고, 이익잉여금 역시 미처리 결손금 362억원(전기 308억원)으로 결손폭이 확대됐다. 또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343억원 초과하고 있어 계속기업으로서 그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매출원가는 462억원, 매출총이익은 521억원으로 나타났다. 보나비의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Margin,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남겼는지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은 52.9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즉 매출총이익률이 50%를 넘는다는 것은 보나비가 매출액의 절반 이상을 원가(직접적인 재료비, 인건비 등)를 제외하고 이익으로 남긴다는 의미다. 업계 평균과 비교해 상당히 높은 수치로, 상품 가격 경쟁력, 원가 관리 능력,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 등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워런 버핏 등 투자 대가들을 비롯해 재무분석 전문가들은 통상 매출총이익률이 40% 이상인 기업을 장기 경쟁력이 높은 회사로 평가한다"면서 "매출총이익률이 높다는 것은 영업이익 등 이후 단계의 비용(판매관리비, 영업비 등)만 효과적으로 관리하면 순이익 개선 여력이 크다는 의미다. 다만, 실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낮거나 적자라면, 매출총이익 이후의 비용 구조(고정비, 인건비, 임차료 등)에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다"고 분석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523억원으로 전년(539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광고선전비는 5억2000만원, 급여비는 150억원, 지급수수료는 57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종업원 급여 총액은 284억원, 이 중 급여 231억원, 퇴직급여 13억원, 복리후생비 4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 보나비(아티제), 얼마나 심각한가…소송1건, 자본잠식, 모기업 330억 '수혈'로 생명연장
 

현재 진행 중인 소송은 1건(소송가액 1억5598만원)으로, 전반적인 재무불안과 맞물려 잠재 리스크로 꼽힌다. 서울중앙지방법원 피고로 계류중인 이 소송은 서울우유가  제기한 물품대금 조정신청건이다.

 

부채비율은 –530.6%로, 자기자본이 마이너스(–93억원)인 자본잠식 상태다. 유동비율은 30.5%로, 단기부채 상환능력도 크게 저하됐다. 

 

단기차입금은 254억원, 유동부채는 495억원, 현금성자산은 17억원에 불과하다. 무형자산은 2억6225만원, 사용권자산(리스)은 271억원 규모다.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는 매출 6653만원, 매입 4억4148만원 등으로 전년 대비 거래 규모가 확대됐다. 대한제분 등 지배회사로부터 330억원의 지급보증도 제공받고 있다. 이는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유의적 의문을 제기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배기업 대한제분이 긴급구조에 나서 재무지원을 실행한 것이다.

 

물품 공급 계약 등 사업이행보증 등과 관련해 서울보증보험으로터 3억5000만원의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으며, 개인 정보보호배상 책임과 관련해 DB손해보험㈜와 5억원의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또 농협은행에 운영자금에 대한 차입약정 (총한도 300억원을 체결하고 있다.

 

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된 단기급여 및 퇴직급여는 3억1479만원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도 매장 임차보증금, 사용권자산 등 투자성 자산이 213억원(임차보증금)과 271억원(사용권자산) 등으로 반영됐다. 이는 매장 확장 및 신사업 진출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실질적 수익성 개선 없이 투자만 늘어나면서 재무부담이 심화됐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부채비율 역시 마이너스 상태로, 외부 지원 없이는 독자적 생존이 어렵다. 지속적 적자와 자본잠식 심화, 유동성 위기로 투자유치, 차입, 외부조달 등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며 "감사보고서에서도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인 의문이 제기된다'고 명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배회사(대한제분)의 지급보증과 재무지원이 당장 생존의 버팀목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실질적 수익성 개선, 비용구조 혁신, 자본확충 등 근본적 대책 없이는 정상화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면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중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투자자와 이해관계자 모두가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보나비(아티제)-대한제분-디앤비컴퍼니 '오너일가 가족기업'…"지배구조 개선 요구"

 

2010년 1월 4일 설립돼 커피, 브레드, 케이크 등 식음료 수입, 제조, 판매를 하고 있는 아티제는 보통주 발행주식총수는 334만5119주를 보유중이다. 납입자본금은 설립 이후증자를 거쳐 167억2559만원이며 대한제분이 10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제분은 오너 일가 100% 소유의 지주사(디앤비컴퍼니)→대한제분→계열사(보나비)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가족기업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제분 지분의 약 27.82%를 보유한 최대주주는 비상장 지주사인 디앤비컴퍼니(D&B Company)로, 오너 일가가 100% 보유한 전형적인 가족기업이다. 이건영 대한제분 회장이 7.01%, 이재영 부사장이 2.32%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는 이건영 회장의 누나 이혜영씨가 21.6%를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오너 일가가 분산 보유 중이다.

 

대한제분의 기타 주주(디앤비컴퍼니 외 14인) 지분 합계는 약 42% 수준이며, 자사주가 2.65%이다. 외부 투자자, 기관, 일반 주주 등은 상대적으로 소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디앤비컴퍼니가 대한제분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것은 2015년 5월, 창업주 2세 고 이종각 명예회장이 현물출자한 지분을 인수하면서부터다. 이종각 회장의 별세 이후, 상속을 통해 오너 일가(특히 이혜영 씨)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대한제분 이사회는 사내이사(이건영 회장, 송인석 대표이사, 이종민 그룹기획부문장)와 사외이사(전영준 변호사)로 구성돼 있다. 주요 경영 의사결정은 이사회가 맡으며, 실질적 지배권은 오너 일가가 행사한다. 특히 실질적 경영권은 이건영 회장이 행사하지만, 디앤비컴퍼니의 최대주주인 이혜영 씨가 최종 의사결정권을 갖는 구조다.

 

오너 일가의 지분 승계 및 내부 거래, 상속 등으로 지배구조 변동 가능성도 존재하며, 투명성·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외부 요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 호텔신라 소유 '보나비(아티제)'가 대한제분으로 온 후의 변화…"흑자는 단 한 번 뿐"

 

2012년 호텔신라는 대기업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일자 아티제커피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보나비 지분 100%를 301억원에 대한제분에 매각했다. 뒤를 이어 현대차그룹의 오젠, 롯데그룹의 포숑, 신세계 달로와요 등이 비슷한 이유로 문을 닫거나 매각됐다.

 

대한제분은 인수 당시 27개에 불과했던 아티제 매장을 1년 만에 43개로 늘렸고 현재 70개의 아티제 매장과 9개의 쿠차라 매장을 운영중이며 임차계약(임차보증금 213억3696만원)을 체결하고 있다. 아티제는 대한제분 자회사가 되자 운영사 보나비의 적자경영이 이어졌다. 

 

2012년 호텔신라에서 대한제분으로 경영권이 넘어간 이후 보나비(아티제)의 실적 흐름과 흑자 여부에 대해 확인한 결과, 최근 10여년간 매출 외형은 꾸준히 성장했지만, 영업이익 흑자는 단 한 해(2022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나비의 매출은 2012년 인수 초기 약 360억원 수준에서 꾸준히 성장해 2021년 976억원, 2022년 1037억원, 2023년 1033억원, 2024년 98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21년 –19억9880만원(적자), 2022년 22억2427만원(흑자), 2023년  –23억4975만원(적자), 2024년 영업이익 –1억9527만원(적자)를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삼성전자, 韓 스마트폰 시장서 82% 점유율 차지…‘갤럭시 S25·폴더블’ 전례 없는 독주, 9월 애플 도전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사상 최초로 82%라는 경이적인 점유율을 달성했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가 8월 14일 발표한 자료로 확인된 수치며, 특히 2024년 동기 대비 전체 시장 판매량이 소폭 줄었음에도 삼성 스마트폰 판매가 오히려 증가한 결과다. 애플은 18%의 점유율로 뒤를 쫓았으며, 양사의 격차는 사상 최대 폭을 기록했다. S25 시리즈 ‘광속행진’…300만대 돌파, AI 구독 효과 ‘직격탄’ 삼성의 독주는 차세대 갤럭시 S25 시리즈의 질주가 견인했다. S25 시리즈는 출시 5개월 만에 300만대 판매 대수를 돌파하며 전작 대비 두 달이나 빠르게 이정표에 도달했다. 특히 S25 울트라는 전체 시리즈 판매의 약 50%를 차지하며 프리미엄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다. 이번 성공에는 기존 갤럭시S 브랜드 경쟁력과 더불어 ‘AI 구독 클럽’이라는 혁신적 서비스 전략이 적중했다. 삼성은 1년 후 구매가의 최대 50% 환매를 보증하고, 독점 AI 기능을 제공하는 가입형 멤버십으로 구매욕을 자극했다. Z 폴드7·Z 플립7 ‘폴더블 붐’…사전예약 104만대, 초박형 Z 폴드7 ‘역전’

[내궁내정] 어디까지 먹어봤니?…눈을 의심하게 하는 MZ 신상 먹거리, '환상적 콜라보' 파헤치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요즘 2030세대인 MZ를 겨냥한 먹거리 시장이 혁명적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SNS와 각종 커뮤니티를 달구고 있는 ‘환장 콜라보 신상’들의 등장이 그 진원지다. 단순한 조합을 넘어선 상상 초월의 컬래버레이션에서부터 건강한 맛과 이색풍미까지, MZ들은 더 자극적이고 새로운 경험에 환호하고 있다. 파격적인 신상들에는 트렌드의 변화, 식문화의 실험정신, 마케팅의 극한이 모두 담겨 있다. 떡볶이와 도넛의 파격적 만남, ‘엽기크리스피도넛’ 디저트계의 최강자 롯데GRS의 크리스피크림도넛과 매운맛 대표 엽기떡볶이의 공식 콜라보가 출시되며 단짠맵(Sweet-Salty-Spicy)의 정점을 찍고 있다. 단맛이 강한 글레이즈드 도넛을

[랭킹연구소] 25년 상반기 재계 보수 순위, 박정원>김승연>신동빈>조원태>이재현 順…월급쟁이 연봉킹, 에이피알 정재훈·이민경 전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상반기 국내 재계 총수 보수 현황에서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총 163억원으로 주요 기업 총수 중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 회장의 보수는 급여 17억5300만원, 단기 성과급 56억3000만원, 그리고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장기 성과급 89억3000만원을 포함한다. 특히 RSU는 주가 상승으로 지급 시점 평가액이 부여 시점 대비 4.3배 상승해 보수 총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두산그룹은 3년 전부터 전 임원 대상으로 RSU 제도를 도입해 장기 인센티브를 주식으로 지급하고 있다. 2위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으로 ㈜한화 및 주요 계열사에서 받은 보수를 모두 합쳐 124억2000만원을 기록했다. 김 회장은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비전, 한화시스템 등에서 고르게 보수를 수령했으며, 장남 김동관 부회장은 46억원을 받았다. 3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올해 상반기 약 99억원의 보수를 받으며 유통가 오너 경영자 중 1위를 차지했다. 신 회장의 상반기 보수는 롯데지주, 롯데쇼핑, 롯데칠성음료,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 롯데호텔, 롯데물산 등 7개 계열사에서 각각 분산되어 수령됐다. 다만,

[The Numbers] 삼양식품 2분기,해외부문 성장세로 20%대 영업이익률…상반기 누적 매출 1조원 돌파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삼양식품은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5531억원, 영업이익 120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0%, 영업이익은 34% 증가했다. 2분기에도 해외부문의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지며 외형과 내실 모두 성장했다. 특히 직전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1000억원을 돌파하며 20%대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고, 상반기 누적 매출은 1조원을 넘어섰다. 2분기 해외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4402억원을 기록했다. 해외판매법인을 중심으로 전 지역에서 매출이 고르게 확대됐다. 수출최대시장인 중국과 미국의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유럽법인이 현지 진출을 본격화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법인 삼양식품상해유한공사는 현지 맞춤형 신제품 출시와 온오프라인 판매처 확대에 힘입어 2분기 전년 대비 30% 상승한 6억5000만 위안의 매출을 달성했다. 미국법인 삼양아메리카는 전년도와 비교해 32% 늘어난 9400만불의 매출을 올렸다. 월마트, 코스트코에 이어 HEB, 샘스클럽 등으로 메인스트림 채널 입점처를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 유럽법인(24년 7월 설립)은 직전 분기보다 두 배 증가한 3200

[The Numbers] 타이어 '빅3' 2분기 실적, 금호·넥센 '웃고' 한타 '울고'...한국타이어 오너 구속에 순이익까지 45% 급감 '울상'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2분기 국내 타이어 빅3(금호, 넥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경영 성적표의 명암이 극명하게 갈렸다. 금호타이어와 넥센타이어는 호실적을 기록한 반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통합 연결 실적에서 뚜렷한 영업익 감소와 순이익 급감으로 침울한 분위기를 드러냈다. 특히 업계에서는 “한국타이어 오너 조현범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의 사법리스크와 실적 하락이 기업 안정성을 크게 흔들고 있다”는 위기론까지 대두됐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14일 잠정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 매출 5조3697억원, 영업이익 353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1.7%나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5.8% 감소했고 순이익은 무려 44.7%나 줄어든 1788억원에 그쳤다. 타이어 부문 매출은 2조5114억원(8.4% 증가), 영업이익은 3464억원(17.5% 감소)로 집계됐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품목관세 여파와 원자재·운임 상승 등이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지난해 인수해 올해 1분기부터 연결 반영하기 시작한 열관리 자회사 한온시스템의 성적도 눈길을 끈다. 한온시스템은 매출 2조8581억원(11.7%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