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세계 부자 1위 '머스크', 리버풀 구단주 되나?…"자본력은 풍부, 인수가능성 낮아"

‘최고 갑부’ 머스크 리버풀에 눈독? 외신보도 나와
리버풀 보유한 펜웨이 스포츠 그룹 “사실무근”
인수 성사 땐 축구계 엄청난 파급력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600조원 이상을 보유한 세계 최고의 갑부인 일론 머스크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명문 리버풀 인수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그러나 리버풀을 보유한 펜웨이 스포츠 그룹측은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일축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8일 머스크의 아버지인 에롤 머스크가 최근 영국의 ‘타임스 라디오’에서 한 발언을 인용해 머스크가 펜웨이 스포츠 그룹이 소유한 EPL 명문 리버풀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에롤 머스크는 “리버풀 인수 여부에 대해 언급할 수는 없다. 내가 이 부분을 밝힌다면 그들(펜웨이 스포츠 그룹)은 (리버풀의) 가격을 올릴 것”이라면서도 “(아들은) 리버풀 인수 의향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가 당장 리버풀을 산다는 뜻은 아니다. 리버풀은 누구나 소유하고 싶은 구단이고, 나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펜웨이 스포츠 그룹은 2010년 10월 3억파운드(약 5443억원)에 리버풀을 인수했다. 아직 펜웨이 스포츠 그룹이 리버풀 매각 의사를 밝힌 적은 없다.

 

펜웨이 스포츠 그룹 역시 머스크에게 리버풀을 매각할 것이냐는 질의에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2023년 5월 공개한 리버풀의 가치는 현재 43억파운드(약 7조8014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머스크는 보유 자산이 3430억파운드(약 622조514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돼 리버풀 인수가 큰 부담은 아니라는 평가다. 즉 머스크가 인수하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언제라도 인수할 수는 있다는 말이다.

 

또 머스크가 리버풀에 관심을 갖는 이유 중 하나가 그의 집안 일부가 리버풀에 연고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에롤 머스크는 “일론의 할머니는 리버풀에서 태어났고, 함께 성장한 친척들도 리버풀에 산다. 운 좋게도 (리버풀 출신인) 비틀스 멤버들과도 친분이 있다”며 “우리 가족은 리버풀에 애착이 있다”고 전했다.

 

만약 일론 머스크가 리버풀을 인수한다면 EPL 판도를 바꿀 수도 있는 큰 사건이다. EPL 대표 구단인 리버풀에 머스크의 자본력까지 더해지면 빅클럽 사이의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게다가 머스크의 브랜드가치가 가세하면 전세계인의 구단으로 급성장할 수도 있다.

 

영국프로축구리그 최고의 명문클럽 리버풀은 2019년 유럽챔피언스리그에서 통산 6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린 데 이어 이듬해 30년 만에 EPL 우승도 맛봤다. 2024~2025시즌 역시 리그 1위(승점 46·14승4무1패)로 EPL 선두를 질주하며 우승을 노리고 있다.

 

리버풀은 그간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2007년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자본 두바이인베스트먼트캐피탈(DIC)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했다. 이후에도 중동, 중국 등에 기반을 둔 기업들이 리버풀 인수를 타진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덴마크, AI 딥페이크에 ‘내 얼굴·목소리 저작권’ 부여…‘디지털 자아 보호’의 글로벌 표준될까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덴마크가 AI 딥페이크 확산에 맞서 유럽 최초로 ‘개인 신체·음성·얼굴’에 대한 저작권을 부여하는 혁신적 법안을 추진한다고 Euronews, New York Post, CNN 등의 해외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 법안은 단순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넘어, 개인의 외형과 목소리를 지적재산권(IP)으로 간주해 무단 사용시 삭제 요구 및 금전적 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덴마크가 제시한 이 ‘디지털 정체성 보호’ 모델은 유럽연합(EU)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도 높아, 글로벌 AI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야콥 엥겔-슈미트, 덴마크 문화부 장관은 “누구나 자신의 신체, 목소리, 얼굴에 대한 권리를 갖는다. 이는 AI 시대에 반드시 지켜져야 할 기본권이다”고 강조했다. 딥페이크, 현실과 허구의 경계 허문다 딥페이크는 AI가 사람의 얼굴, 목소리, 몸짓을 정교하게 합성해 실제와 구분이 어려운 가짜 영상을 만들어낸다. 최근에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 교황 프란치스코 등 유명 인사뿐 아니라 일반인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덴마크 정부는 “이미지와 영상이 사람들의 잠재의식에 빠르게 각인되기 때문에, 조작된 딥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