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TSMC, '깜짝 실적'…1Q 영업익 25조원·전년比 16.5%↑

3월 영업이익은 전년比 34.3% 급증
‘TSMC 효과’ 대만증시 시총, 코스피보다 500조원 많아
“2003년 이후 21년 만에 한국과의 격차 최대”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대만 중부 타이중 지역에 최첨단 공정인 1나노 공장 신설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TSMC]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대만 TSMC의 올해 1분기 성적표가 시장예상치를 넘어 깜짝 실적을 이뤘다.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TSMC는 10일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5926억4400만 대만달러(약 25조6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6.5%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올 3월 영업이익만 놓고 보면, 작년 3월보다 34.3% 급증한 1952억1100만대만달러(약 8조2500억원)를 기록했다. 지난 2월과 비교하면 7.5% 증가한 수치다. TSMC는 앞서 올 1분기 영업이익 예상치를 180억~188억달러(약 24조3000억~25조4000억원)로 제시했다.

 

이같은 실적 소식에 TSMC의 주가는 전날 사상최고가인 820 대만달러를 돌파한데 이어 이날 815 대만달러로 마감했다고 대만 매체들이 전했다.

 

지난 3일 대만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생산라인에 일부 피해를 봤던 TSMC는 지난 5일 "오늘 자로 웨이퍼 팹(fab·반도체 생산공장)의 설비가 대부분 복구됐다"며 공장가동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게다가 TSMC는 최근 미국 정부의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총 116억달러(약 15조원)에 달하는 자금도 지원받는 등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처럼 대만의 국가대표급 기업인 TSMC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대만 증시와 한국 증시와의 시가총액 격차도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블룸버그통신은 8일 기준 대만 자취안지수 시총이 2조2520억 달러(한화 약 3050조원)를 기록, 한국 코스피 시총 1조8770억 달러(약 2542조원)보다 3750억 달러(약 508조원) 많다고 보도했다.

 

대만 증시는 올해 들어 14%가량 상승했으며, 이 가운데 3분의 2 가까이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업체인 TSMC 덕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