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트럼프 만났지만, 의도없어…우울증치료용 케타민 복용"

전 CNN 앵커와 인터뷰…선거자금지원에 "법적 청구서 지불에 돈 대고 싶지 않아"

돈 레몬 CNN 전 앵커와 인터뷰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돈 레몬 X ]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만남은 의도한 것이 아니었으며 선거 자금 기부 얘기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처방받은 케타민을 복용하는 것이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며 이는 자신의 회사 투자자들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머스크는 18일(현지시간) 유튜브 채널로 공개된 돈 레몬 CNN 전 앵커과의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에 "친구 집에서 아침 식사를 했는데, 도널드 트럼프가 들렀다. 그게 전부"라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만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자금 지원 가능성이 제기되자 이를 정면으로 부인한 것이다.

 

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돈이나 기부를 요청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그가 법적 청구서를 지불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돈을 빌려주고 싶지 않다"고 선거자금 지원을 일축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순자산이 2000억달러(약 267조원)에 달하는 머스크가 트럼프를 대대적으로 지원한다면 (머스크 혼자로도) 바이든 캠프의 재정적 우위를 없앨 수 있다"고 보도했다.

 

레몬이 "지지 후보를 결정한 뒤에 자금 기부를 하겠느냐"고 묻자 머스크는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레몬과의 인터뷰에서 향정신성의약품인 케타민 복용과 관련한 질문도 나왔다. 앞서 1월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머스크의 케타민 등 마약 사용으로 인해 최근 몇 년간 회사 경영진과 이사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머스크는 지난 1월 "스페이스X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의 요청에 따라 3년간 무작위 약물 검사에 동의했으며, 어떠한 약물이나 알코올도 미량 발견되지 않았다"고 X(옛 트위터)에 반박한 바 있다.

 

머스크는 처방받은 케타민을 복용하는 것이 우울증 증상 치료에 도움이 되며 이는 자신의 회사 투자자들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머스크는 "내 두뇌에 부정적인 화학적 상태, 우울감 같은 것이 있을 때 케타민은 그런 부정적인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준다"면서 "격주에 한 번 소량을 복용한다. 몇 주 동안 복용하지 않을 때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약물 복용에 대해 스페이스X 사업에 대한 정부 계약이나 허가를 얻는 데 방해가 되거나, 월스트리트 투자자들이 문제를 삼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 머스크는 "월스트리트에서 중요한 것은 실행이다. 테슬라는 자동차 산업의 나머지를 합한 것만큼 큰 가치가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이라며 "투자자들을 위해서는 내가 복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레몬은 지난 8일 머스크와 이 인터뷰를 진행한 뒤 열흘이 지나서야 인터뷰 영상을 공개했다. 그는 머스크와의 인터뷰 직후 X로부터 프로그램 진행 계약을 돌연 취소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CNN의 대표 앵커였던 레몬은 지난해 4월 CNN에서 해고됐고 그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돈 레몬 쇼’를 오픈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

[빅테크칼럼] 美 CEO "정리해고를 AI 성공의 증거·AI가 해고 합리화 명분"…도덕적 부담에서 전략적 이점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가 촉발한 대규모 정리해고가 ‘위기 신호’에서 ‘경영 성과’로 탈바꿈하며 2025년 미국 기업 고용문화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CEO들이 인력 감축을 더 이상 조직의 위기 신호로 숨기지 않고, 오히려 AI 성공과 효율화의 지표로 짜임새 있게 포장해 주주와 투자자들에게 공개적으로 과시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CNBC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미국 대기업 경영진들은 정기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따른 생산성 혁신”과 “고효율 경영 체계”를 강조하며, 전례 없는 속도의 인력 감축 데이터를 동반해 이를 ‘전략적 성취’로 내세우고 있다. 웰스파고·뱅크오브아메리카·버라이즌…“효율 우선, headcount는 줄일수록 좋다” 웰스파고(CEO 찰리 샤프)는 최근 5년 만에 직원 수를 23% 줄였고, 20분기 연속 감축 행진을 이어갔다. 2024년 6월 기준 직원은 22만2544명으로, 2023년 대비 약 3300명, 2019년 이후로는 약 6만7000명 감축됐다. 웰스파고 샤프 CEO는 “자연 감원을 ‘우리의 친구로’ 삼아, AI 기반 솔루션 도입으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뱅크 오

[핫픽] 이재용과 머스크의 궁합 조사해보니 '92%'…테슬라發 23조원 잭팟의 숨은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8일 삼성전자와 테슬라 간에 성사된 165억 달러(약 22조8000억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계약이 글로벌 산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 금액은 최소치에 불과하며, 실 생산량은 몇 배 더 늘어날 것”이라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힌 이후, 이번 계약이 갖는 산업적 파급력과 전략적 의미에 대해 국내외 매체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뜨거운 반향 속에, 현장에는 이번 협업을 위트 있게 풍자한 한 장의 이미지가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았다. 해당 이미지는 삼성전자와 머스크(테슬라)를 ‘이름 궁합 테스트’ 형식으로 92%의 높은 궁합률을 기록하며, ‘머스크 님께 일촌을 신청합니다’라는 메시지와 귀여운 그래픽으로 디자인됐다. 이러한 이미지는 실생활의 연애, 우정처럼 기업간 협력도 궁합이 중요하다는 시대적 감각을 익살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화제의 이미지는 본래 연인·친구 궁합 테스트로 활용되는 ‘이름 궁합’ 방식을 변형했지만, 실제 산업 협업에서 '궁합 지수'가 현실적 전략요소로 부각된 사례는 적잖다. 포브스, CNBC 등의 주요 외신들도 2024년 6월 “테슬라와 삼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