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2024년 영업이익 증가액·감소액 순위 TOP10…SK하이닉스·삼성전자, 57조원 '쑥' 현대건설·LG화학, 2조 '쏙'

2024년 지난해 500대 기업 매출액 5.8%↑…순이익은 74.5% 급증
SK하이닉스 영업익 증가폭 31조원 ‘최대’…삼성전자 26조원 ‘2위’
현대건설, -2조원 최대 감소…LG화학·LG엔솔·삼성SDI는 -1조원대
CEO스코어, 국내 500대 기업 2023~2024년 실적 조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지난 2023년 대비 66%, 73조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의 영업익 증가 폭이 2023년 대비 850% 넘게 늘면서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반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업황 부진 등의 여파로 배터리, 석유화학, 건설 업종은 실적이 급감했다. 특히 건설업 불황 여파로 현대건설의 영업익은 1년 새 2조원 넘게 줄면서, 영업익 감소 폭이 가장 컸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4년 지정 500대 기업 중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상장사 253개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2523조908억원으로 2023년 2384조262억원 대비 5.8%(139조646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오름세는 더 가팔랐다. 지난해 500대 기업의 영업익은 183조6690억원으로, 2023년 110조6428억원 대비 66.0%, 금액으로는 73조262억원이나 급증했다. 또한 같은 기간 순이익도 78조4977억원에서 137조59억원으로, 무려 74.5%(58조5082억원) 확대됐다.

 

이같은 호실적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K-반도체 실적이 가파르게 상승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AI(인공지능) 메모리 훈풍에 올라 탄 SK하이닉스의 영업익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SK하이닉스의 영업익은 23조4673억원으로, 2023년 -7조7303억원 대비 흑자전환했다. 영업익 증가 규모는 2023년 대비 무려 31조1976억원에 달했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익이 이처럼 급증한 것은 AI 반도체 구동에 필수인 HBM(고대역폭메모리)이 ‘슈퍼 사이클’에 진입한 데 따른 수혜를 독점한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 빅테크의 AI 서버 투자가 확대되고 AI 추론 기술이 날로 고도화되면서, HPC(고성능컴퓨팅)에 필수인 HBM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 HBM 시장 선점에 성공한 SK하이닉스는 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를 핵심 고객사로 확보하며 역대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023년 SK의 글로벌 HBM 시장 점유율은 53%로, 절반을 넘겼다.

 

SK하이닉스의 뒤를 이어 삼성전자가 두 번째로 영업익 증가 폭이 컸다. 삼성전자도 지난 2023년 ‘반도체 한파’의 직격탄을 맞으며 영업익이 6조5670억원에 그쳤지만, 반도체 업황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1년 만에 영업익이 26조1590억원이나 증가한 32조7260억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이어 ▲한국전력공사 12조9063억원 ▲HMM 2조9280억원 ▲LG디스플레이 1조9496억원 ▲한국가스공사 1조4500억원 ▲기아 1조59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조408억원 순으로 영업익 증가 규모가 컸다.

 

 

반면, 현대건설은 건설 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급등, 고환율 등 복합 악재에 직면하면서 영업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현대건설의 영업익은 -1조2634억원으로, 2023년 7854억원 대비 대규모 적자전환했다. 감소 규모는 무려 2조488억원에 달했다. 영업익이 2조원 넘게 줄어든 기업은 현대건설이 유일했다.

 

또한 전기차 캐즘, 석유화학 업황 침체 등으로 배터리·석유화학 관련 기업들도 실적이 악화됐다. 국내 석유화학 대표기업인 LG화학의 영업익은 지난 2023년 2조5292억원에서 지난해 9168억원으로, 1년 만에 1조6124억원이나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도 2조1632억원에서 5754억원으로, 1조5878억원이나 줄었다. 또한 ▲삼성SDI -1조2701억원 ▲S-Oil -9324억원 ▲한화솔루션 -9047억원 순으로 영업익 감소 폭이 컸다.

 

지난해 영업익이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로, 32조7260억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가 23조4673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고, 현대자동차는 14조2396억원으로 3위에 랭크됐다. 뒤이어 ▲기아 12조6671억원 ▲한국전력공사 8조3647억원 ▲HMM 3조5128억원 ▲LG전자 3조4197억원 ▲현대모비스 3조735억원 ▲한국가스공사 3조34억원 ▲삼성물산 2조9834억원 순이었다.

 

반면, 지난해 영업 적자가 가장 큰 기업은 현대건설로, -1조2634억원의 영업익을 거뒀다. 1조원대의 영업손실을 낸 기업은 현대건설 뿐이었다. 다음으로 -8941억원의 영업익을 기록한 롯데케미칼이 2위, -5606억원의 적자를 낸 LG디스플레이가 3위에 자리했다. 또한 ▲엘앤에프 -5587억원 ▲한화솔루션 -3002억원 ▲금호건설 -1818억원 ▲효성화학 -1705억원 ▲영풍 -1607억원 ▲엔씨소프트 -1092억원 ▲동부건설 -969억원 등도 영업적자 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전체 19개 업종 중 11개 업종에서 영업익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등 수출을 주도한 IT전기전자 업종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졌다. IT전기전자의 지난해 영업익은 63조2885억원으로, 2023년 대비 무려 853.9%(56조6540억원) 급증했다.

 

공기업 업종의 영업익도 크게 개선됐다. 2023년 2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냈던 공기업은 지난해 12조1913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1년 간 영업익 증가 폭이 14조3832억원에 달한 것이다. 이는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극심한 적자에 시달려 온 공기업들이 재무 건전성 제고에 주력한 결과다. 이 외에도 ▲운송 3조532억원(50.1%↑) ▲조선·기계·설비 1조9472억원(29.6%↑) ▲증권 1조7412억원(57.9%↑) 순으로 영업익 증가 규모가 컸다.

 

반면 석유화학 업종에서 영업익이 가장 크게 축소됐다. 지난해 석유화학의 영업익은 2조9202억원으로 2023년 대비 62.3%(4조8165억원)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건설·건자재도 31.1%(1조8882억원) 감소한 4조1851억원에 그쳤다. 또한 ▲통신 -9050억원(20.6%↓) ▲철강 -6647억원(30.4%↓) ▲유통 -3069억원(12.3%↓) 등 업종에서 영업익 감소 폭이 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성심당·이성당·런던베이글·가보정, 소비쿠폰 안 돼요"…'30억 매출 기준’에 걸린 전국 유명 소상공인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대전 대표 빵집인 성심당이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불가 방침을 공지하면서, 정부 지원 제도의 허점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성심당 뿐 아니라, ‘소상공인’이라는 간판을 달고도 실제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전국 각지의 업체들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현장의 혼란이 고조되고 있다. 왜 유명 소상공인들이 소비쿠폰 대상에서 제외됐나 성심당, 군산 이성당, 서울 런던베이글뮤지엄, 수원 가보정 등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로컬 음식점, 빵집, 맛집 다수가 정책상 소비쿠폰 매장이 될 수 없다. 정부가 ‘골목상권 보호’를 명분으로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자영업자만 소비쿠폰 사용처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성심당 운영사 로쏘의 작년 매출은 1937억원, 영업이익은 478억원으로 정부 기준 대비 무려 64배에 달한다. 이런 이유로 성심당 본점, 대전역점, 롯데점, DCC점은 물론 같은 계열 브랜드 8곳 모두 쿠폰 사용에서 제외됐다. 성심당 현장에선 “처음부터 될 거라고 생각 안 했다”, “쿠폰 되면 오히려 더 혼잡해진다”는 반응에서부터, “우리동네 자랑인데 ‘소상공인’으로 불리면서 쿠폰이 안 된다는게 의아하다”는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랭킹연구소] 재벌 주식증여액 상위 TOP10…김승연·이명희·조석래·구본준·정지선·최윤범·정몽익·정몽진·김범수·허창수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50대 그룹 중 지난 1년 새 상속·증여 등으로 지분변동이 있었던 그룹은 삼성.현대차 등 14곳을 제외한 36곳으로 나타났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은 자신이 보유한 ㈜신세계 지분 전량(약 1751억원)을 딸인 정유경 신세계 회장에게 증여함으로써 경영권 승계를 끝냈고, 김승연 한화 회장은 ㈜한화 보유주식 절반가량(약 4087억원)을 김동관·동원·동선 3형제에게 증여해 이들의 지배력을 높였다. 최근 1년 새 주식을 가장 많이 매수한 인물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으로, 정 회장은 어머니인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중이던 2251억원 규모 ㈜이마트 보통주 전량을 매수해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지었다. 7월 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5년 지정 대기업집단 92곳 중 총수가 있는 상위 50개 그룹의 오너일가 보유주식 변동내역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1년 새 50대그룹 오너일가는 상속·증여를 통해 약 9783억원 규모의 보유주식을 처분했다. 조사대상 그룹 중 가장 많이 주식을 증여한 곳은 한화다. 한화 김승연 회장은 본인이 보유한 ㈜한화 보통주 848만8970주(

현정은 회장의 직원사랑, 20년째 여름 보양식 선물...“회사 동력은 임직원 건강”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전 임직원 가정에 여름철 보양식 선물을 보내며, 성과에 대한 감사를 전하고 무더위 속 노고를 격려했다. 현대그룹은 29일 현정은 회장이 초·중복(7.20, 7.30)을 전후로 6340명 임직원 가정에 삼계탕, 갈비탕 등 여름철 보양식 선물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보양식은 총 4만인분에 해당하며, 국내 5314명, 해외 1116명의 현대그룹 전 임직원 집으로 배달된다. 현 회장은 동봉한 편지에서 “무더위에도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주고 계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회사의 발전과 고객 만족의 동력은 결국 우리 모두의 건강으로부터 시작된다”고 건강 관리를 당부했다. 또 “임직원 모두의 헌신적인 노력에 힘입어 회사가 한 단계 높이 성장하고 있다”며, △현대엘리베이터의 아산타워 준공 △현대무벡스의 지속 성장 △현대아산의 역대 최대 건설 수주 등 값진 성과에 고마움을 전했다. 2005년부터 20년째 전통을 이어온 현대그룹의 여름철 보양식 선물은 세심하고 섬세한 현 회장만의 차별화된 ‘감성 경영’의 시그니처로 손꼽힌다. 현 회장은 평소 부드럽고 편안한 회사 분위기가 임직원들의 ‘창의적 사고’와 ‘혁신적 업무

세라젬, 핵심 기술력 집약된 ‘마스터 V9’ 美 FDA 허가 획득…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 강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라젬(대표이사 사장 이경수)은 척추 관리 의료기기 ‘마스터 V9’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4가지 적응증에 대한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세라젬은 창립 1년만인 1999년부터 ‘마스터 V4’, ‘마스터 V6’, ‘마스터 V7’ 등 주력 의료기기 제품군에 대한 FDA 허가를 획득해왔다. 세라젬은 마스터 V 컬렉션의 핵심 기술력과 제품 안전성을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연속으로 입증받으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넓혀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마스터 V9’은 미국 FDA로부터 △혈액순환 개선 △근육통 완화 △관절통 완화 △근육 이완 등 총 4가지 적응증에 대한 허가를 취득했다. 세라젬의 독자적인 기술력이 집약된 마스터 V9은 사용자의 하중, 척추 길이, 굴곡도를 자동 분석하는 척추 스캔을 기반으로, 척추 라인에 밀착한 최대 65도의 집중 온열 마사지와 개인 맞춤형 마사지 기능을 구현해 준다. 특히 목부터 골반까지 이어지는 척추 전 구간에 입체 회전 방식의 마사지가 적용되어 깊이감 있는 자극과 이완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세라젬 관계자는 “이번 FDA 허가가 세라젬의 연구개발

셀트리온, 美 공장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美 시장 핵심 거점 확보’…관세 리스크 완전 해소 전망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미국 내 생산거점 확보를 앞두게 됐다고 29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 중인 공장은 미공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이하 DS) cGMP 생산 시설로, 미국 내 주요 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시설은 수년간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해왔다. 해당 공장의 피인수 기업명을 포함한 관련 상세 내용은 양측간 협의에 따라 올해 10월 초순으로 예상되는 본계약 체결시까지 비공개 예정이다. 확정 실사(Due Diligence) 이후 공장 인수가 마무리되면, 셀트리온은 미국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한꺼번에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는 지난 5월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이 간담회를 통해 제시한 관세 대응 종합 플랜이 차질 없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관세 대응을 위해 선제적으로 조치한 2년치 재고의 미국 이전, 현지 CMO社 계약 확대 등 중단기 전략에 이어 관세 위험 헷지의 근본적 해결책인 현지 공장 인수까지 완료해 향후 발생 가능한 모든 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