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랭킹연구소] 올 상반기 ‘지연율 최악’ 항공사 순위?…에어서울, 국내선·국제선 모두 ‘1위’ "지각대장 입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상반기 국내 공항에서 운항된 국적 항공사 가운데, 가장 높은 지연율을 기록한 곳은 아시아나항공의 저비용항공사(LCC) 계열사인 에어서울로 집계됐다. 국내선, 국제선 모두에서 지각대장으로 당당히(?) 등극했다.

 

국토부는 항공권에 명시된 예정 시각보다 15분 이상 늦게 게이트를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항공편을 ‘지연’ 운항으로 분류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가 7월 27일 공개한 공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국내 전 공항에서 운항된 항공편은 총 32만9736편이며, 이 가운데 7만7700편이 지연된 것으로 집계돼 10개 국적 항공사의 국내·국제선 통합 평균 지연율은 약 23.6%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22.6%) 대비 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국내선과 국제선 지연률을 별도로 살펴보면, 국내선은 17만40편 중 3만3306편이 지연돼 19.6%의 지연률을 기록했다. 국제선은 15만9696편 중 4만4394편이 지연돼 27.8%로 국내선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국내선 지연률은 1.4% 포인트 하락했으나, 국제선 지연률은 3.1% 포인트 오르며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항공사별로 살펴보면, 에어서울은 국내·국제선 모두에서 가장 높은 지연률을 보였다. 전체 7144편 중 2610편이 지연돼 평균 지연률은 36.5%에 이르렀다. 즉, 에어서울 항공편 세 대 중 한 대는 제시간에 출발하지 못하거나 도착하지 못한 셈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선 2498편 중 687편(27.5%), 국제선 4646편 중 1923편(41.4%)이 지연됐는데, 양쪽 모두 국내 항공사 중 최다 지연률이다.

 

흥미로운 점은 에어서울의 지난해 대비 지연율 추세다. 국내선 지연률은 전년 대비 9.9% 포인트 개선된 반면, 국제선은 1.2% 포인트 상승했다. 전체적으로는 2.9% 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실시된 국토부 항공교통서비스 평가에서 에어서울은 국내선에서는 B+ 등급을, 국제선에서는 D++ 최하위 등급을 받으며 정시성 분야에 취약한 면모를 재확인한 바 있다.

 

기타 국적항공사 지연률은 다음과 같다. 국내선 기준으로는 에어서울(27.5%)에 이어 진에어가 26.3%, 이스타항공 24.5% 순이다. 반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대비 8.6% 포인트 오른 19.3%, 티웨이항공은 17.2%로 17.5% 포인트나 대폭 개선되어 눈에 띄는 호조세를 보였다.

 

국제선 지연률 순위에서는 에어서울에 이어 진에어가 32.8%(1만7407편 중 5706편)로 높았으며, 이어 에어프레미아 32.4%, 아시아나항공 32% 순으로 집계됐다. 이스타항공과 티웨이항공은 각각 5.4%, 4.9% 포인트 지연률을 낮추며 상대적 개선세를 나타냈다.

 

해외 항공사들의 국내선 지연률도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해외 항공사의 국제선 지연률은 21.8%로 전년 대비 2.6% 포인트 올라 운항 신뢰성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상반기 지연률 상승 배경으로는 국내외 공항 및 항로 혼잡,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국제선 운항량(26만4254편으로 역대 최대 기록), 그리고 기상 악화로 인한 난기류 빈발 등이 꼽힌다. 이에 국토부는 앞으로 항공사별 지연 편수뿐 아니라 지연된 시간까지 평가에 포함해 정시성 개선과 항공서비스 품질 향상에 적극 나설 방침임을 밝혔다.

 

항공업계 전문가는 "2025년 상반기 우리나라 항공편 세 대 중 한 대는 예정 시각에 맞지 않고 지연됐으며, 특히 에어서울은 국내선과 국제선 모두 지연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면서 "정시성 확보와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적 항공사들의 체질 개선 노력이 어느 때보다 긴급한 과제로 떠올랐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올 상반기 ‘지연율 최악’ 항공사 순위?…에어서울, 국내선·국제선 모두 ‘1위’ "지각대장 입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상반기 국내 공항에서 운항된 국적 항공사 가운데, 가장 높은 지연율을 기록한 곳은 아시아나항공의 저비용항공사(LCC) 계열사인 에어서울로 집계됐다. 국내선, 국제선 모두에서 지각대장으로 당당히(?) 등극했다. 국토부는 항공권에 명시된 예정 시각보다 15분 이상 늦게 게이트를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항공편을 ‘지연’ 운항으로 분류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가 7월 27일 공개한 공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국내 전 공항에서 운항된 항공편은 총 32만9736편이며, 이 가운데 7만7700편이 지연된 것으로 집계돼 10개 국적 항공사의 국내·국제선 통합 평균 지연율은 약 23.6%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22.6%) 대비 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국내선과 국제선 지연률을 별도로 살펴보면, 국내선은 17만40편 중 3만3306편이 지연돼 19.6%의 지연률을 기록했다. 국제선은 15만9696편 중 4만4394편이 지연돼 27.8%로 국내선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국내선 지연률은 1.4% 포인트 하락했으나, 국제선 지연률은 3.1% 포인트 오르며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항공사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