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Visual+

[핫픽] 낮만큼 아름다운 뉴질랜드의 밤하늘

뉴질랜드 관광청,  ‘2023 국제 밤하늘 주간’ 선보인 뉴질랜드 밤 풍경

뉴질랜드 사우스랜드 '피오드랜드 국립공원(Fiordland National Park)'에서 관측할 수 있는 밤하늘 [Chris Watson]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천혜의 자연 풍광으로 잘 알려진 뉴질랜드에서 여행은 밤낮으로 계속 이어진다. 해가 저물고 어둠이 내리면, 낮만큼이나 아름다운 풍광이 하늘에 펼쳐지기 때문이다.

 

뉴질랜드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천문 관측 명소다. 대다수의 지역에 조명 공해가 없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구별할 수 있는 만큼, 지구상에서 가장 반짝이는 별을 관찰할 수 있는 지역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클랜드 인근 파키리(Pakiri)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은하수와 화성 [Josh Aoraki]

 

 ‘월드 아틀라스’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약 96.5%에 달하는 지역에서 은하수를 볼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절반 이상인 53.1%에 달하는 지역에서 공해 없는 선명한 밤하늘 관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밤하늘 천문 관측 목적지로서 최상의 공간과 시설을 갖추고 있는 뉴질랜드에는 다양한 연관 시설이 세워져 있어 관측 활동을 돕는다. 우선 뉴질랜드 남섬의 아오라키, 마운트 쿡 매켄지 지역의 약 4,300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면적이 ‘아오라키 매켄지 밤하늘 보호구역(Aoraki Mackenzie Dark Sky Reserve)’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세계 최대 규모로 손꼽힌다.

 

와이라라파 지역에서 진행하는 밤하늘 관측 투어(Star Safari Night Sky Tour) [Jet Productions high res]

 

이 밖에도 뉴질랜드에는 또 다른 밤하늘 보호구인 와이라라파 밤하늘 보호구역(Wairarapa Dark Sky Reserve), 아오테아/그레이트 배리어 아일랜드 밤하늘 보호구(Aotea/Great Barrier Island Dark Sky Sanctuaries), 라키우라/스튜어트섬 밤하늘 보호구(Rakiura/Stewart Island Dark Sky Sanctuaries)가 자리 잡고 있다.

 

마운트쿡의 럭셔리 빌라인 '마운트쿡 레이크사이드 리트리트(Mt Cook Lakeside Retreat)'에서 조망할 수 있는 별자리 [Mt Cook Lakeside Retreat  Ashley Mackenzie Villa]

 

또한 뉴질랜드 최초로 국제 밤하늘 공원으로 지난 2020년 지정된 와이아티 밤하늘 공원(Wai-Iti Dark Sky Park)까지, 총 2개의 밤하늘 보호구역과 2개의 밤하늘 보호구, 그리고 1곳의 밤하늘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들 시설은 ‘국제밤하늘협회(International Dark-Sky Association)’에서 밤하늘 관측에 최적의 공간으로 인증한 시설이다. 

 

뉴질랜드의 겨울철에 그레이트배리어섬(Great Barrier Island)에 떠오른 마타리키 성단 [Mark Russell]

 

또한 뉴질랜드에서는 한겨울의 밤하늘에 떠오르는 마타리키 성단(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떠오르는 시기를 뉴질랜드 마오리족의 새해 명절로 지정할 만큼, 별자리가 토속 원주민의 생활 및 문화에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마타리키는 마오리 음력 기준으로 매년 날짜가 조금씩 달라지는데, 지난해인 2022년 6월 24일에 마타리키 시즌이 뉴질랜드의 공식 공휴일로 지정되기도 했다. 

 

뉴질랜드에서 별자리와 밤하늘 관측이 일상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뉴질랜드 최고의 천문 연구 관측소로 손꼽히는 마운트존 천문대(Mount John Observatory)에서는 전문가용 천체망원경과 전문 가이드의 해설이 더해지는 별자리 관측 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마운트쿡 레이크사이드 리트리트(Mt Cook Lakeside Retreat)'의 관측대 [Mt Cook Lakeside Retreat]

 

또 퀸스타운의 스카이라인 업체에서 운영하는 스카이라인 스타게이징(Skyline Stargazing) 투어 프로그램을 통해 망원경 렌즈로 남반구의 별자리를 생생히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뉴질랜드의 겨울철인 7~8월경에는 테카포 호수, 더니든, 퀸스타운, 스튜어트섬, 사우스랜드 등 남섬의 중남부 지역에서 오로라를 감상하는 행운을 누릴 수도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핫픽] “나는 누구? 여긴 허리”…척추전문병원의 유쾌함에 건강 메시지 好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귀여운 캐릭터가 그려진 대형 쇼핑백 하나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원래 자주 통용되는 문장은 '나는 누구? 여긴 어디?'이지만, 이 병원 홍보문구는 '나는 누구? 여긴 허리!!'라는 재치있는 문구를 사용했다. 문구와 함께 등장한 이 키치한 이미지는 척추·관절 전문 병원인 나누리병원이 선보인 ‘SPINE MONSTER’ 홍보물이다. 단순한 유머를 넘어서 척추 건강에 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메시지성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 쇼핑백은 서울시 '한강 뚜벅뚜벅 축제'에 나누리병원이 의료지원 봉사를 나가면서 행사 참가자들에게 나눠준 홍보물이다. SPINE MONSTER라는 캐릭터는 실제로 척추 횡단면의 구조에서 착안한 디자인으로, 후관절돌기, 척추체, 디스크, 신경 요소 등 척추의 주요 부위를 모티프로 창작됐다. 친근한 얼굴과 사랑스러운 포즈는 허리 건강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는 동시에, 올바른 치료와 예방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환기시킨다. 나누리병원 관계자는 “나누리병원은 어렵고 무거운 의료 정보를 쉽고 재밌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척추 건강의 중요

[핫픽] “전세 구하려면 면접까지? 급여명세·신용점수 900점은 기본"…전세품귀로 임차인 스펙시대 '서류리스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 강남의 한 부동산 중개소 앞. ‘전세 매물 없음’ 문구가 붙은 창문 아래로, 긴장한 표정의 30대 직장인이 서류철을 꼭 쥐고 있다. 급여명세서, 신용점수, 국세 완납증명서, 심지어 ‘임차인 자기소개서’까지. 요즘은 집을 ‘보는 게 아니라 집주인에게 보이는’ 시대다. 조만간 펼쳐질 한국 전세 부동산 시장의 모습이다. 최근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임차인 면접 서류 리스트’라 불리는 문서가 화제다. 이 서류에는 회사 PT자료, 신용점수(900점 이상), 범죄사실증명서, 반려동물 금지 서약서, 계약갱신권 포기 각서 등까지 포함돼 있다. 일부 집주인은 “화장실 인테리어를 해주면 우선권을 주겠다”는 조건까지 내건다. 시중 전세 물량이 급감하면서 ‘좋은 세입자 모시기’ 경쟁이 역전돼 ‘좋은 집주인에게 선택받기’ 경쟁으로 바뀐 셈이다. 2030세대 사이에서는 “이젠 집이 아니라 면접에 합격해야 이사 간다”는 자조 섞인 말까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금융규제 여파로 전세 공급이 줄면서 이런 현상이 일시적 과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임대차 시장이 신용·직업·가족관계까지 기준으로 삼는다면, ‘임차인 스펙사회’라는

[핫픽] "우리 그냥 사랑하게 해주세요"…유리벽 넘어선 교감, 강아지와 고양이의 사랑과 우정사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SNS에서 화제가 된 한 장의 사진은 서울의 한 펫카페에서 유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바라보는 강아지와 고양이의 모습을 담고 있다. 단순한 순간의 교감처럼 보이지만, 이 광경은 국내외 반려동물 문화의 변화, 그리고 사람과 동물 사이의 새로운 관계 형성의 흐름을 잘 보여준다.​ 국내외 반려동물 양육 및 펫카페 현황 2025년 기준, 한국의 반려동물 인구는 약 1500만명으로 전체 가구의 약 25.4%에 달한다. 반려견과 반려묘는 각각 598만 마리, 258만 마리가 기르고 있어 집집마다 ‘멍냥이’와 함께하는 시대가 열렸다. 세계적으로도 반려동물 인구는 급증 추세로, 독일 시장조사기관 GFK는 22개국 2만7000명 대상 조사에서 평균 33%가 개, 23%가 고양이를 양육한다고 밝혔다. 특히 남미국가(아르헨티나, 멕시코, 브라질)는 반려견 비율이, 러시아·프랑스·미국은 반려묘 비율이 높다고 집계됐다.​ 국내 펫카페와 반려동물 동반 외식시설도 매년 급증해, 2023년 규제샌드박스 시범사업을 통해 시범 운영된 반려동물 동반출입 음식점은 228곳을 기록했다. 내년 4월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강아지와 고양이, ‘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