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8월의 우주쇼’ 페르세우스 유성우 100개 쏟아진다…“12일 밤 11시30분 극대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8월의 우주쇼, 연중 가장 화려한 우주쇼로 불리는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12일 밤 하늘에서 쏟아진다.

 

국제유성기구(IMO)와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시간은 한국 시간으로 12일 오후 11시 30분이다. 시간당 관측 가능한 유성수는 약 100개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꼽힌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달이 오후 11시에 지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매우 좋아 관측하기 최적의 조건이다”며 “관측 최적기는 12일 밤부터 13일 새벽까지”라고 밝혔다.

 

유성우는 혜성이나 소행성이 지구 궤도에 남긴 잔해물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평소보다 다량의 유성(별똥별)이 마치 비처럼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133년마다 지구를 찾아오는 핼리형 혜성 스위프트-터틀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한다.

 

페르세우스자리 방향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여서 페르세우스 유성우라는 이름이 붙었고, 매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 사이에 관측할 수 있다. 밝고 빠른 유성들이 특징이며, 종종 긴 꼬리를 남긴다.

 

 

기상청에 따르면 12일 자정부터 13일 새벽 우리나라 날씨는 대체로 맑지만, 수도권 일부에서는 부분 부분 구름낀 날씨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유성우를 좀 더 잘 관측하려면 도시 불빛으로부터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으로 가야 한다. 주위에 높은 건물이나 산이 없는 사방이 트여 있는 곳이 좋다. 또 유성우를 보려면 복사점에서 30도 가량 떨어진 곳이 좋다. 일반적으로 하늘의 중앙, 머리 꼭대기인 천정을 넓은 시야로 바라보면 된다. 고개를 들고 오래 있기 어렵기 때문에 돗자리나 뒤로 많이 젖혀지는 의자를 활용하는 게 좋다.

 

 

집 밖으로 나가기 어렵다면 유튜브 생중계를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이날 밤 10시부터 13일 오전 4시까지 유튜브를 통해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생중계할 예정이다.

생중계는 전북 무주 현지와 세계 최고의 별 관측지 중 하나인 하와이 마우나케아 정상 관측소에서 이뤄진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HD현대, 선박 건조에 ‘스타링크’ 활용한다…‘HD현대·KT·KT SAT’ 3사 MOU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HD현대가 선박 건조 현장에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를 도입한다. HD현대는 11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KT SAT 본사에서 ‘KT’·‘KT SAT’과 함께 ‘스타링크 활용 및 AI 기반 업무 혁신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HD현대는 선박 건조 과정 전반에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를 도입·적용한다. KT SAT은 스타링크 안테나 등 위성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한다. 또한 KT는 자사의 AI 기술을 연계, HD현대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차세대 통신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는 수천 기의 소형 위성을 기반으로 전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지구 저궤도 위성 통신 서비스’다. 미국의 대표 우주산업 기업인 ‘스페이스X’가 운영하고 있다. 무엇보다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광케이블 및 기지국 설치가 어려운 바다·산악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다. HD현대는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를 활용해 건조 중인 선박 내부에 통신망을 구축, 스마트워크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돌발상황이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