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4℃
  • 구름많음강릉 10.2℃
  • 천둥번개서울 8.3℃
  • 천둥번개대전 9.0℃
  • 박무대구 3.8℃
  • 박무울산 6.2℃
  • 광주 9.7℃
  • 박무부산 10.5℃
  • 흐림고창 ℃
  • 구름많음제주 15.5℃
  • 흐림강화 6.8℃
  • 흐림보은 3.9℃
  • 흐림금산 3.8℃
  • 구름많음강진군 7.1℃
  • 맑음경주시 2.5℃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빅테크

“중국 로봇개, 우사인 볼트에게 도전장”…블랙팬서 II, 100m 13.17초·초당 10.4m 질주 '로봇공학 신기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상하이의 스타트업 미러미(Mirror Me)가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견 ‘블랙 팬서 II(Black Panther II)’가 글로벌 로봇계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Rude Baguette, Heise Online, ASSEMBLY, Tech360Tv, Live Science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 로봇은 2025년 7월 중국 국영 CCTV 생중계에서 100미터를 13.17초 만에 주파하며, 초당 10.4미터(시속 37.44km)의 경이로운 속도를 기록했다.

 

이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와일드캣(WildCat)이 세운 기존 기록(최고 8.8m/s, 시속 약 31.7km)을 뛰어넘는 수치다.

 

“우사인 볼트에 육박” –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로봇

 

블랙 팬서 II의 최고속도는 우사인 볼트가 2009년 세계육상선수권에서 기록한 100m 세계신기록(9.58초, 평균 10.44m/s)과 불과 0.04m/s 차이에 불과하다. 실제로 연구팀은 “100m를 10초 이내에 돌파하는 ‘10초 클럽’에 로봇이 진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인간 엘리트 스프린터의 영역에 기계가 근접했음을 의미한다.

 

 

사양·설계의 혁신: 생체모방과 첨단 소재의 융합


키 0.63m, 무게 38kg의 블랙 팬서 II는 스프링이 내장된 무릎 관절과 탄소섬유 정강이, 치타 발톱을 모방한 고그립 러닝 슈즈 등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설계를 적용했다.

 

탄소섬유 하퇴는 사막 설치류 저보아에서 착안, 16%의 무게 증가로 135% 강성 향상을 달성해 고속 주행 시 파손 위험을 최소화했다. 발바닥(러닝 슈즈)은 치타의 발톱 구조를 모방해 기존 대비 200% 이상의 접지력을 확보, 급가속과 방향 전환 시 안정성을 높였다.

 

최대 보폭 빈도는 초당 5회에 달하며, AI 기반의 보행 제어 시스템이 지면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폭과 보행 패턴을 최적화한다.

 

“기술의 한계를 넘다” – 저장대-미러미, 산학협력의 결실

 

블랙 팬서 II는 저장대학교 휴머노이드 혁신연구소와 미러미가 공동 개발한 프로젝트다. 연구소장 왕홍타오 교수와 주요 연구원 진융빈 박사가 이끈 이 협업은, 호이겐스 결합 진자 원리를 적용해 네 다리의 동기화된 보행을 구현했다.

 

2025년 1월 첫 공개 이후, 탄소섬유 하퇴 일체형 업그레이드 등 지속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미러미는 “향후 기네스 세계기록 공식 도전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로봇계 파장…“중국, 혁신 생태계 주도”

 

블랙 팬서 II의 등장은 미국, 유럽, 한국 등 로봇 강국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현재 공식 100m 로봇 세계기록은 한국 KAIST의 ‘하운드’(19.87초, 2023년)이나, 블랙 팬서 II가 기록을 공식 인증받으면 세계 1위에 등극한다.

 

탄소섬유 혁신, 로봇공학의 미래


탄소섬유는 블랙 팬서 II뿐 아니라 인간 의족, 외골격, 점프 로봇 등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ETH 취리히, 유타 바이오닉 레그 등 글로벌 연구진도 탄소섬유와 3D 프린팅, 인공근육 결합을 통해 경량·고강성·고효율 로봇 다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블랙 팬서 II는 100m 13.17초, 최고속도 10.4m/s로 인간 스프린터의 한계에 근접하며, 로봇공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 혁신적 설계와 첨단 소재, AI 제어 기술이 결합된 이 로봇은 산학협력의 모범이자,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의 상징으로 부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