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중국 로봇개, 우사인 볼트에게 도전장”…블랙팬서 II, 100m 13.17초·초당 10.4m 질주 '로봇공학 신기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상하이의 스타트업 미러미(Mirror Me)가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견 ‘블랙 팬서 II(Black Panther II)’가 글로벌 로봇계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Rude Baguette, Heise Online, ASSEMBLY, Tech360Tv, Live Science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 로봇은 2025년 7월 중국 국영 CCTV 생중계에서 100미터를 13.17초 만에 주파하며, 초당 10.4미터(시속 37.44km)의 경이로운 속도를 기록했다.

 

이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와일드캣(WildCat)이 세운 기존 기록(최고 8.8m/s, 시속 약 31.7km)을 뛰어넘는 수치다.

 

“우사인 볼트에 육박” – 인간 한계에 도전하는 로봇

 

블랙 팬서 II의 최고속도는 우사인 볼트가 2009년 세계육상선수권에서 기록한 100m 세계신기록(9.58초, 평균 10.44m/s)과 불과 0.04m/s 차이에 불과하다. 실제로 연구팀은 “100m를 10초 이내에 돌파하는 ‘10초 클럽’에 로봇이 진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인간 엘리트 스프린터의 영역에 기계가 근접했음을 의미한다.

 

 

사양·설계의 혁신: 생체모방과 첨단 소재의 융합


키 0.63m, 무게 38kg의 블랙 팬서 II는 스프링이 내장된 무릎 관절과 탄소섬유 정강이, 치타 발톱을 모방한 고그립 러닝 슈즈 등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설계를 적용했다.

 

탄소섬유 하퇴는 사막 설치류 저보아에서 착안, 16%의 무게 증가로 135% 강성 향상을 달성해 고속 주행 시 파손 위험을 최소화했다. 발바닥(러닝 슈즈)은 치타의 발톱 구조를 모방해 기존 대비 200% 이상의 접지력을 확보, 급가속과 방향 전환 시 안정성을 높였다.

 

최대 보폭 빈도는 초당 5회에 달하며, AI 기반의 보행 제어 시스템이 지면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폭과 보행 패턴을 최적화한다.

 

“기술의 한계를 넘다” – 저장대-미러미, 산학협력의 결실

 

블랙 팬서 II는 저장대학교 휴머노이드 혁신연구소와 미러미가 공동 개발한 프로젝트다. 연구소장 왕홍타오 교수와 주요 연구원 진융빈 박사가 이끈 이 협업은, 호이겐스 결합 진자 원리를 적용해 네 다리의 동기화된 보행을 구현했다.

 

2025년 1월 첫 공개 이후, 탄소섬유 하퇴 일체형 업그레이드 등 지속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미러미는 “향후 기네스 세계기록 공식 도전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로봇계 파장…“중국, 혁신 생태계 주도”

 

블랙 팬서 II의 등장은 미국, 유럽, 한국 등 로봇 강국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현재 공식 100m 로봇 세계기록은 한국 KAIST의 ‘하운드’(19.87초, 2023년)이나, 블랙 팬서 II가 기록을 공식 인증받으면 세계 1위에 등극한다.

 

탄소섬유 혁신, 로봇공학의 미래


탄소섬유는 블랙 팬서 II뿐 아니라 인간 의족, 외골격, 점프 로봇 등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ETH 취리히, 유타 바이오닉 레그 등 글로벌 연구진도 탄소섬유와 3D 프린팅, 인공근육 결합을 통해 경량·고강성·고효율 로봇 다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블랙 팬서 II는 100m 13.17초, 최고속도 10.4m/s로 인간 스프린터의 한계에 근접하며, 로봇공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 혁신적 설계와 첨단 소재, AI 제어 기술이 결합된 이 로봇은 산학협력의 모범이자,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의 상징으로 부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삼성전자·존스홉킨스大 “공학의 노벨상 품었다”…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세계 100대 혁신 기술에 선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이 2025년 ‘R&D 100 어워드’에서 세계 100대 혁신 기술로 선정됐다. 1963년 제정된 이 상은 ‘공학의 노벨상’, ‘산학 혁신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며,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실용성과 혁신성을 겸비한 100대 기술을 엄선한다. 이번 수상은 삼성 연구진과 글로벌 산학 협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냉매 기반 냉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친환경 고효율 반도체 박막 펠티어 소자를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노공학 기반의 ‘CHESS’ 박막 소재를 활용, 냉매 대신 전기만으로 냉각을 구현하면서 기존 대비 약 75% 냉각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소형화와 경량화 효과로 소재 사용량을 1/1000 수준으로 줄여 생산 비용과 환경 영향을 대폭 감소시켰다. 펠티어 기술은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 소자의 한 쪽은 냉각되고 다른 쪽은 발열하는 원리를 활용한 친환경 냉각 방식이다. 전통적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대체 기술 수요에 부합하며, 빠르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 가전,

[빅테크칼럼] 머스크 xAI, 매크로하드 AI 벤처로 MS 정조준…"소프트웨어 기업 해체 선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자사의 인공지능 회사 xAI가 '매크로하드(Macrohard)'라는 새로운 AI 기반 소프트웨어 벤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매크로하드는 순수 AI만으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회사”라며, 수백 개의 전문화된 AI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에 직접 도전한다고 발표했다. 매크로하드라는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마이크로’를 ‘매크로’로, ‘소프트’를 ‘하드’로 바꾼 말장난이자 도발적인 네이밍으로, 빌 게이츠와의 과거 공개 불화가 엿보이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xAI는 이 명칭으로 2025년 8월 1일 미국 특허청에 상표를 출원했으며, 자연어 처리, 생성 미디어 소프트웨어, 자동화 및 의사결정 지원 AI 시스템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하는 기술 개발을 표방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 벤처의 핵심 경쟁력으로 ‘수백 개의 전문 코딩 및 이미지·비디오 생성·이해 AI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하는 멀티 에이전트 협업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들 AI가 가상 환경에서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