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일본, 정부차원의 '대화형AI' 총괄기구 만든다···AI 활용정책 수립

이르면 내달 발족···챗GPT 등 논의
사생활 침해 등 규제 방향성 마련
기시다 총리 "노동 생산성 향상 기대"

'챗GPT' 등 대화형 AI가 전세계적으로 큰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게티이미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본 정부가 국가적으로 인공지능(AI)의 활용·규제 전략 등을 수립, 검토할 새로운 회의체를 만든다.

 

이 총괄기구가 신설되면 최근 폭발적으로 퍼지고 있는 생성형AI ‘챗GPT’를 비롯한 AI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국가차원의 정책 방향성을 정하는 사령탑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챗GPT' 등 대화형 AI 사령탑 역할을 할 '전략회의체'를 이르면 5월에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굳혔다고 보도했다.

 

내각에 설치될 이 회의체는 지난 24일 첫 회의를 연 일본 'AI 전략팀'보다 상위 기구로 설정됐다. 학자, 법률가, 정부 관계자 등이 참여해 AI 활용과 연구개발 촉진, 규제 강화 등을 두루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이달 말 개최되는 주요 7개국(G7) 디지털·기술장관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내 규정을 마련하는 것도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은 지금까지 기술 혁신을 막지 않기 위해 AI를 되도록 규제하지 않았지만 서구에서는 규제 강화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며 "새로운 회의체는 서구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AI 대응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일본에서도 최근 AI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총리 주재로 전날 열린 ‘새로운 자본주의 실현 회의’에서도 생성형 AI를 산업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환경 정비 방안을 논의했다.

 

기시다 총리는 "생성형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노동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AI관련 환경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트랜스젠더 워크’ 논란에 머스크 “넷플릭스 구독 취소하라”…주가 4% 하락, 약 150억 달러 시총 증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가 2025년 10월 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워크(woke)’ 콘텐츠 비판과 이에 따른 구독 취소 독려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CNBC, 포브스, 야후 파이낸스, 유로뉴스, 데드라인, 비즈니스 인사이더, CBS 크로니클에 따르면, 머스크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Dead End: Paranormal Park)’에서 트랜스젠더 주인공이 등장해 어린이들에게 친(親)트랜스젠더 사상을 심어준다고 주장하며 구독 취소 캠페인을 강하게 펼쳤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 주가는 1주당 4% 이상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150억 달러가량 증발하는 등 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을 받은 상태다. 머스크의 구독 취소 독려와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 논란 머스크는 2025년 9월 30일부터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통해 최소 26회 이상 넷플릭스 구독 취소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특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라는 7세 이상 시청 가능 등급의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 바니가 스스로 트랜스젠더임을 밝히는 장면을 문제 삼았다. 머스크는 이

[빅테크칼럼] 베이조스 "10년 이내에 기가와트급 우주 데이터 센터 등장"…AI 에너지 대란, 우주 데이터센터 앞당기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가 10년 이내에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 기가와트급 데이터 센터가 건설될 것이라는 대담한 미래 예측을 내놓았다. 이 같은 전망은 급증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 개발 필요성, 그리고 우주 기술의 혁신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발하고 있다. Reuters, CNBC, Goldman Sachs Research, Investing.com에 따르면, 베이조스는 2025년 10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에서 페라리와 스텔란티스 회장 존 엘칸과의 대화 중, “기가와트급 AI 훈련 클러스터는 지상보다는 우주에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우주에서는 24시간 내내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구름이나 비, 날씨의 제약 없이 항시 청정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조스는 “우주 데이터 센터는 결국 지상 데이터 센터보다 뛰어난 성능과 비용 효율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글로벌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