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우주 미세중력, 인간 줄기세포 노화 가속화…화성 장기 임무 건강 '적신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의 미세중력이 인간의 줄기세포를 빠르게 노화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화성 탐사 임무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9월 4일(현지시간) 학술지 Cell Stem Cell에 발표된 NASA가 후원한 획기적인 연구에 따르면, 우주 비행이 인간 줄기세포의 노화를 극적으로 가속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연구자들은 단 30일간의 미세중력 환경에서 암과 유사한 돌연변이가 발생함을 공식화했다.

 

이로인해 다가오는 수년간의 화성 탐사 임무에 대한 우주비행사 건강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혈액을 생성하는 줄기세포는 재생 능력을 상실하고 "암흑 게놈"으로 알려진 유전적 요소를 활성화하기 시작했다.

 

CNN, UCSanDiego, Phys.org, Technology Networks, Euronews, NASA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캠퍼스 산포드 줄기세포연구소의 카트리오나 제이미슨 박사가 이끈 이번 연구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2021년 말부터 2023년 초까지 스페이스X의 4차례 보급 미션에 참여한 인간 골수 조혈 줄기세포를 나노바이오리액터 시스템과 인공지능 실시간 관찰 기술로 최대 45일간 추적한 최초의 실시간 우주 줄기세포 연구다.

 

연구 결과, 미세중력과 우주 방사선 등에 노출된 혈액 생성 기능의 조혈 줄기세포는 32일에서 45일 이내에 정상 대비 80% 이상 휴면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줄기세포가 과활성화되면서 에너지 고갈 및 재생 능력 상실을 겪으며, 핵심 노화 지표인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가 단축되고 DNA 손상, 미토콘드리아 내 염증 증상이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단일 염기변이 빈도가 높아져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는 클론성 혈구형성과 연관될 가능성도 발견됐다.

 

더욱이, 세포 스트레스가 극한에 달하면서 인체 유전체의 약 55%를 차지하는 고대 레트로바이러스 형태의 '암흑 유전체(dark genome)'가 활성화되어 세포 자체가 죽음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듯 급속 노화 현상을 보였다. 이 현상은 제이미슨 박사가 과거 전백혈병 전 단계 환자들에게서 관찰한 줄기세포 스트레스 반응과 일치하며, 이는 세포가 극도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필사적 시도로 풀이된다.

 

다행히도, 예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주 귀환 후 약 1년간 회복 기간을 거치면 일부 줄기세포의 기능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이미슨 박사 연구팀은 다크 유전체 활성화를 억제할 잠재적 약물에 대한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줄기세포의 내성을 평가하는 나노바이오리액터 시스템을 활용해 우주비행사의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표적 대응책 개발에 나설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장기 우주 임무 중 줄기세포 기능 저하로 인한 면역 약화 등 건강 위험성 경고뿐 아니라, 지구상 암 연구에도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주에서 관찰된 세포 스트레스 패턴과 암 환자 세포의 노화 경로가 유사해 향후 우주 연구를 통한 암 치료법 개발 가속화도 기대된다.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과 함께 달 탐사, 그리고 궁극적 화성 장기 탐사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가 우주비행사의 건강 모니터링 및 보호 전략 수립에 핵심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주가 인체 줄기세포에 미치는 분자적 영향과 회복 메커니즘 이해는 향후 수년간 지속될 탐사 미션의 성공적 완수와 우주인 건강 지속성 확보를 위한 필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구글 딥마인드 AI, 중력파 검출기 잡음 100분의 1로 줄여 '우주관측 혁신'…"블랙홀 신호 100배 정밀 탐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우주과학 연구진이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중력파 검출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중력파가 별의 폭발, 블랙홀 병합, 중성자별 충돌 등 거대 우주 사건을 관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진·바람·온도 등 다양한 외부 요인과 제어 시스템 잡음이 신호 감지에 방해가 돼 왔다. 이번 AI 기반 제어기술은 그러한 잡음을 기존보다 최대 100분의 1로 크게 줄여 관측 민감도와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중력파 검출기 라이고(LIGO)는 레이저 간섭계 기반으로 4km 길이의 진공 터널 내부 양 끝에 설치된 거울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중력파를 관측한다. 기존 제어 시스템은 거울 위치 제어 시 발생하는 잡음 때문에 10~30헤르츠(Hz) 저주파 대역에서 신호 탐지에 한계가 있었고 특히 중간 질량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충돌 초기 신호를 선명히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강화학습 기반 AI 기법인 ‘딥 루프 셰이핑(Deep Loop Shaping)’을 도입해 라이고 거울의 위치 제어를 최적화했다. AI는 자체 시뮬레이션을 반복하며 잡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학습

“2045년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우주청, ‘우주탐사 로드맵’ 확정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이 2045년까지 ‘우주항공 5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번 로드맵은 인류의 우주 지식 확장과 우주경제 영토 확보를 두 축으로 하며, 지구저궤도 미세중력 활용부터 달·화성 탐사, 태양 및 우주 과학 등 5대 핵심 프로그램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실행 계획을 담고 있다. 우주청은 지난 8월 28일부터 9월 4일까지 제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거쳐 이 로드맵을 확정했다. 비전은 ‘인류 지식과 우주경제 영토의 확장’으로 설정, 우주의 기원과 태양계 진화에 대한 과학적 탐사와 더불어 우주자원 활용, 달·화성 기지 건설,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핵심 정책 과제로 삼았다. 이를 통해 2045년까지 우주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이다. 달 탐사 분야에서는 2032년까지 무인 착륙선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2040년까지 차세대 달 착륙선 개발, 2045년에는 달의 자원 활용과 경제 기반 구축을 위한 달 기지 건설을 추진한다. 우주과학에선 2035년까지 태양과 지구의 중력 장이 평형을 이루는 라그랑주 점 L4에 태양 관측 위성 배치를 계획하고 있다. 화성 탐사도 포함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