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5.3℃
  • 맑음서울 13.5℃
  • 맑음대전 14.6℃
  • 맑음대구 16.5℃
  • 맑음울산 17.0℃
  • 맑음광주 15.4℃
  • 맑음부산 18.4℃
  • 맑음고창 14.6℃
  • 맑음제주 17.4℃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3.7℃
  • 맑음금산 14.3℃
  • 맑음강진군 16.4℃
  • 맑음경주시 17.7℃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사용으로 의사 필수진단 능력 저하 ‘기술 퇴화’ 첫 임상 증거…AI發 의료계에 던진 '경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I의 급속한 발전과 도입이 의료진의 업무 효율과 정확도를 높이는 긍정적 효과와 달리, 장기적으로 의사들의 필수 역량을 약화시켜 환자 안전과 의료 시스템 전반에 우려를 낳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최근 『The Lancet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발표된 획기적인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AI)의 정기적 의료 현장 도입이 의료진의 핵심 진단 능력 저하, 즉 ‘기술 퇴화(deskilling)’를 초래할 수 있다는 최초의 임상 증거를 제시했다.

 

The Lancet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25), STAT News (2025), TIME, Expert reactions (2025), Science Media Centre expert reactions (2025), NCBI Bookshelf Clinical AI Training (2025), 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2024), EurekAlert, The Lancet publication summary (2025), JMIR Medical Education Review (2025), News-Medical.net on AI in Colonoscopy (2025) 등의 연구결과와 보도를 종합해 알아봤다.

 

폴란드 실레지아 아카데미 소속 마르친 로만치크 박사 등은 2021년 9월부터 2022년 3월까지 4개 의료기관에서 1442건의 비AI 보조 대장내시경을 포함한 2177건의 대장내시경을 대상으로 AI 도입 전후 의사들의 용종 탐지율 변화를 비교 관찰했다.

 

연구 결과, AI 도구 사용 후 3개월이 지나자 숙련된 내시경 전문의들의 AI 미사용 대장내시경에서 전암성 선종(adenoams) 탐지율이 28.4%에서 22.4%로 6%포인트, 상대적으로는 20%가 감소했다. 이는 AI 보조가 없을 때의 의료진 능력이 실질적으로 저하됐음을 의미하며, 각 의사가 2000건 이상의 대장내시경 경험을 가진 고도의 전문가였기에 더욱 충격적이다.

 

이번 연구는 AI를 통한 탐지 능력 향상과 대비되는 ‘과도한 AI 의존’이 의료진의 시각적 주의력과 패턴 인식 능력, 그리고 내시경 조작 기술을 둔화시켰을 가능성을 처음으로 실증했다.

 

특히 AI 지원이 갑자기 중단될 경우(시스템 장애, 사이버 공격 등) 의료진의 진단 신뢰성과 대응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음을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허트퍼드셔 대학 캐서린 메논 박사는 "AI 지원에 익숙한 의료진이 AI 없이 작업해야 할 경우 오히려 성과가 저조해질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신중한 해석을 요구한다.

 

런던 퀸메리 대학 베넷 오스마니 교수는 연구 기간 동안 시행된 대장내시경 검사 건수가 AI 도입 전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이로 인한 업무 과중과 피로도가 탐지율 저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해 기술 저화가 단 3개월 만에 발생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의료 현장에서의 AI 활용은 이미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으나, 이번 연구는 AI로 인한 ‘자동화 편향(automation bias)’이 의료진의 전문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종을 울린다.

 

실제로 2024년 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연구에서도 AI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인지 능력과 결정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고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의 AI 활용 역량뿐 아니라 AI가 없는 상황에서도 임상 판단을 유지할 수 있는 교육과 연속적 평가 시스템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대장내시경 분야에서 AI 사용에 관한 지침은 기관별로 엇갈린다. BMJ Rapid Recommendations는 비AI 일반 대장내시경 선별검사에서 AI의 일상적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반면, 유럽소화기내시경학회(ESGE)는 환자 선호를 근거로 AI 도입을 권고하는 상황이다.

 

이는 AI 기술의 장단점을 균형 있게 평가하여 의료진의 기술 저하 방지와 환자 안전 보장을 병행해야 할 복잡한 도전 과제를 반영한다.

 

결국 이번 연구는 AI가 의료 현장에 제공하는 혁신적 도움 뒤에 숨겨진 잠재적 위험을 명확하게 드러냈다. AI 사용의 편리성에 안주하지 않고, 의사가 본연의 진단 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적 안전망과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의료 선진화와 환자 신뢰 확보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음을 알려주는 시그널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CEO혜윰] 페북 창립자 저커버그, UFC 케이지 입성 초읽기?… “컴퓨터 괴짜? 현실은 선수급 파이터” 데이나 화이트 극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타(Meta) CEO이자 페이스북(Facebook) 창립자인 마크 저커버그의 격투기 실력이 최근 다시 화제다. 미국 UFC 대표 데이나 화이트가 저커버그의 수준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데 이어, 저커버그의 실제 훈련·시합 경력과 다양한 세계 정상급 파이터들과의 교류 사실이 국내외 여러 매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저커버그, "모두를 박살낼 파이터"로 변신 2025년 11월 12일자 영국 데일리 메일과 미국 팟캐스트 '더 스키니 컨피덴셜'에 출연한 데이나 화이트는 "저커버그는 MMA(종합격투기)와 서핑 등 다양한 스포츠를 하고 있으며, 직접 상대를 때려눕힐 수 있을 만큼 실전 실력자"라고 극찬했다. 특히 저커버그를 '컴퓨터 괴짜'로만 보는 인터넷의 시선을 "완전히 현실과 다르다"며 "그를 비웃는 사람들은 모두 박살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저커버그의 실전 격투기 능력을 UFC 대표가 직접 보증한 것이라 더욱 화제다.​ 실전 기록과 기술은 "선수급" 저커버그의 격투기 행적은 단순한 취미 수준이 아니다. 2020년 무렵 본격적으로 MMA와 브라질리언 주짓수(BJJ) 트레이닝을 시작한 그는 2023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회에 첫

[빅테크칼럼] 올트먼 "개인화된 AI가 새로운 보안 위험을 초래한다"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최근 스탠퍼드 대학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AI 개인화가 심화됨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보안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 점차 사용자 개개인의 데이터를 학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기술이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AI 분야의 다음 발전 단계에서 가장 중대한 보안 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트먼은 특히 사용자가 AI와의 대화 기록, 연결된 외부 서비스(이메일, 쇼핑 등)를 통해 AI가 개인 생활을 폭넓게 ‘기억’하게 되는 점을 지적했다. 이러한 개인화 기능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지만, 동시에 모델이 개인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해킹이나 데이터 탈취 공격에 노출될 위험도 커진다고 경고했다. 예를 들어, AI 비서가 이전 대화에서 수집한 의료 정보를 온라인 구매 과정에서 무심코 노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올트먼은 “사람은 맥락을 이해하지만 AI는 사적인 정보와 일반적인 맥락을 구분하기 어렵다”며, “개인 모델에서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정보를 빼내가는 데이터 유출을 완벽히 방지하는 것은 AI 보안에서 가장 어려운 목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더욱이, AI 시스템

[빅테크칼럼] "중국 AI 모델이 글로벌 표준이 될 수 있다" 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 경고…"우수성 아닌 무료 때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가 최근 공개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중국의 오픈소스 AI 모델들이 우수한 품질 때문이 아닌 비용 부담이 적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서방 국가들이 주로 폐쇄형(closed-source) AI 모델에 투자하는 반면, 중국은 장대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구축해 많은 국가들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비즈니스인사이더, 마켓코리아, 블룸버그, SCMP에 따르면, 슈미트는 “미국과 서구권은 대형 AI 모델을 폐쇄형으로 운영하며 상당한 비용이 든다. 반면 중국은 최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급하며 이들은 무료다. 자금력이 부족한 다수 국가들은 품질이 아닌 가격 때문에 중국 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운로드 수로 드러난 중국 AI 생태계 성장 중국 알리바바의 대표 AI 모델인 Qwen 시리즈는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올해 누적 다운로드 3억8530만건을 기록하며 메타의 Llama(3억4620만건)를 앞섰다. 현재 허깅페이스에서 중국산 파생 언어모델이 전체 신규 모델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메

[빅테크칼럼] AI 투자 열풍에 빅테크, 사상 최대 930억 달러 채권 발행…"인프라 붐과 시장 불안 동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다섯 대형 빅테크 기업이 총 9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지난 3년간 채권 발행액을 단숨에 뛰어넘는 기록을 세웠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무디스, JP모건,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자본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이 채권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메타가 10월 말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하며 올해 미국에서 가장 큰 고등급 회사채 발행 기록을 세웠고, 알파벳은 11월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오라클 역시 9월에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AI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이러한 대규모 채권 발행은 무디스 수석 신용 담당자인 에밀 엘 넴스가 언급한 바와 같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따른 용량 제약에 대응하기 위한 명확한 추세"로 분석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데이터에 따르면 9월과 10월 두 달 간에만 750억 달러의 AI 관련 부채가 새로 발행됐으며,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발행액의 두 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