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0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의료 도구, 여성·흑인·소수자 환자에 편향적"…의료 형평성 위협 '심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여러 권위 있는 연구가 의료 분야에 적용되는 인공지능(AI) 도구가 여성과 소수 인종 환자에 대해 상당한 편향과 차별적 처우를 보이고 있음을 밝혀내면서 의료 현장에 통합된 AI 시스템의 신뢰성과 형평성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도구들이 여성과 소수 인종에 대한 상당한 편향을 보인다는 우려스러운 증거가 드러났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이 점점 더 의료 현장에 통합됨에 따라 알고리즘적 차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MIT, 런던정경대(LSE), 에모리 대학교 등 명문 기관들의 연구를 비롯해 Ars Technica, Nature Digital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Insights, Cedars-Sinai Research, Health Innovation KSS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형 언어 모델과 AI 진단 도구들은 여성에게는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의 치료를 권고하고, 흑인 및 아시아 환자들에게는 공감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은 전 세계 기술 기업들이 의사를 지원하고 의료 업무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AI 시스템 개발을 더욱 가속화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MIT의 자밀 클리닉(Jameel Clinic) 분석에 따르면, 오픈AI의 GPT-4, 메타의 Llama 3, 의료 특화 AI인 Palmyra-Med 등 주요 AI 모델이 여성보다 남성에게 진단을 더 잘 내리고, 흑인 환자에게는 백인 대비 MRI나 초음파 등 필수 검사 권고를 덜 하는 등 명백한 성별·인종 편향을 나타냈다.

 

84세 남성 환자는 “복잡한 의료 이력”과 “운동성 저하”로 진단된 반면, 동일 사례의 여성 환자는 “독립적이고 개인 위생을 관리할 수 있음”으로 기록되는 불평등 사례도 포착됐다.

 

영국 런던정경대학(LSE) 연구에서는 구글의 AI 요약 서비스인 Gemma가 여성 환자의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남성 대비 지속적으로 축소 보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네이처 디지털 메디슨에 발표된 논문에서도 AI가 흑인 우울증 환자에겐 더 엄격한 후견인 지정이나 아프리카계 미국인 환자엔 음주 절제가 권고되는 인종적 편견을 확인했다.

 

AI의 성능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AI 진단 도구가 300건 이상의 실제 의료 사례에서 85% 정확도로 의사보다 4배 더 뛰어나다고 발표했으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성과가 AI의 형평성과 공정성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것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MIT 연구진은 AI 모델이 의료 영상에서 환자의 인종을 사실상 정확히 예측하며, 이로 인해 진단 과정에서 인종 차별적 요소가 강화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규제 당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시민권국은 2024년 오바마케어(ACA) 하에 AI 차별 위험 관리 의무를 명확히 하는 최종 규정을 발표했고, 6개 주는 AI 의료 결정에 대해 의료 전문가의 사전 검토를 법적으로 규정했다.

 

2025년에는 20여개 주가 비슷한 법안을 도입할 예정이다. 기술 기업들은 연구 결과 대부분이 이전 AI 버전을 검증한 것임을 강조하며 편향 완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약속했으나, 연구자들은 근본적인 데이터 편향과 개발 관행 변화 없이는 AI가 의료 불평등을 심화시킬 위험이 크다고 지적한다.

 

빅테크분야 의료전문가는 "의료계 AI는 환자의 수명을 좌우하는 만큼, 다양성과 포용성 원칙을 철저히 반영하지 못할 경우 과거 의료 시스템이 내재한 차별 구조를 그대로 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낳을 수 있다"면서 "의료 혁신의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상 현장과 AI 개발 단계에서의 철저한 편향 감지와 감시, 그리고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독일서 테슬라 충돌 사고 후 화재로 3명 숨져…"이번에도 문 안 열렸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9월 7일,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슈베르테 지역에서 43세 운전자와 9세 어린이 2명이 탑승한 테슬라 전기차가 도로를 이탈하여 나무와 충돌 후 차량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세 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또 다른 9세 어린이는 불길 속에서 구조되어 병원으로 이송됐다. 현지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 당시 차량 내 4명이 탑승 중이었으나, 불길이 심해 구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목격자들은 차량 문이 열리지 않아 피해자들이 탈출하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독일방송 WDR과 지역신문 루르 나흐리히텐에 따르면 목격자는 "차량 문이 열리지 않아 불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고 밝혔다. 문 잠김 문제 지속, 미국 NHTSA 예비조사 이와 같은 전기차 문 개폐 실패 문제는 독일뿐 아니라 미국 등지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5년 9월 16일, 2021년형 테슬라 모델Y 약 17만4300대에 대해 전자식 도어 핸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에 대한 예비조사를 공개했다. NHTSA 조사 결과, 문이 열리지 않는 현상은 차량 배터리 전압이 충분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차량 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