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로 '아기 IQ'까지 예측 가능…유전학 스타트업 헤라사이트, 기술 돌파인가 우생학의 그림자인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유전학 분야에서 떠오르는 스타트업 헤라사이트(Herasight)가 스텔스 모드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배아 지능지수(IQ) 예측' 서비스를 발표하며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논쟁을 촉발하고 있다.

 

스텔스 모드란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대중과 경쟁사로부터 비밀스럽고 은밀하게 개발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기간 동안 회사는 외부에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직원들에게도 비밀 유지 계약을 요구하며 조용히 제품 개발과 연구에 집중한다. 이는 경쟁사로부터 아이디어를 보호하고 시장 출시 전까지 기술과 전략을 숨기기 위한 전략이다.

 

Popular Mechanics, Futurism, Grandview Research, JAMA Network, Behavior Genetics Association 등의 보도와 자료를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공동 창업자 토비아스 울프람(Tobias Wolfram)과 알렉스 스트러드윅 영(Alex Strudwick Young)은 X(구 트위터)에 예비 부모들이 배아의 미래 IQ 범위를 산출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위젯 캡처를 올리며, 17가지 질병 위험과 지능 수준까지 예측한다는 점을 내세웠다.

 

헤라사이트는 자신들의 플랫폼이 경쟁사보다 과학적이고 엄격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능 예측, 6~95점 상승 가능?"…과학적 근거는 미흡


헤라사이트의 백서에 따르면 자사의 질병 예측 서비스는 가족 내에서 유전적 예측 인자를 검증하는 방식을 택해, 현존 경쟁사보다 예측력이 월등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IQ 예측 기술의 구체적 알고리즘과 통계적 검증 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경쟁 플랫폼 Orchid, Nucleus Genomics 등 최근 몇 년간 미국 IVF(체외수정, in vitro fertilization) 시장에서 다유전자 점수(Polygenic Score)를 이용한 배아 선택 서비스가 상업화되고 있지만, 다수의 유전학자와 규제 기관은 "지능이나 키 등 복잡한 형질 예측에는 불확실성이 크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2023년 Nature 논문에서는 "다유전자 점수 기반 배아 선택(PGT-P)은 임상적으로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다"고 결론내렸다.

 

하버드 의대 통계유전학자 사샤 구셰브(Sasha Gusev)는 “우생학 반발을 역으로 홍보에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소셜미디어에 남겼다. 창립자 알렉스 스트러드윅 영 역시 "IQ 예측 세부사항은 추후 백서에서 공개하겠다"고 밝혔지만, 현 단계에선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표준 IVF 대비 수천 달러 추가…시장에서 '격차'와 '윤리' 논란 확산


전 세계 배아유전 선별(PGT) 시장은 2025년 기준 약 9억 달러에 접근,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 성장률) 10%대 고성장 중이다. 북미·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의료기술 발전과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다유전자 배아 스크리닝은 수천 달러의 추가 비용이 아직 주요 장벽이다.

 

전문가들은 "이 방식은 결국 경제적 여유가 있는 집단만이 선택할 수 있어 사회경제적 격차와 유전적 불평등을 심화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한다.

 

2024년 미국 성인 대상 연구(JAMA Network Open)에 따르면, 배아 다유전자 스크리닝에 대해 응답자 72%는 건강 관련 조건 선별에는 찬성했으나, 지능·외모 등 형질 선택에는 36~41%만이 찬성했다. 동시에 ‘우생학적 사고 조장’, ‘부모의 과도한 기대’, ‘사회적 불평등 증폭’ 등에 대해 92%가 우려를 표했고, 55%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응답했다.

 

규제·윤리 검토 미비…유럽은 제한, 미국은 ‘와일드 웨스트’


영국 등 주요 유럽국가는 다유전자 배아 검사를 중대한 유전질환에만 허용하고, 지능 등 복잡한 형질 선별에는 명확히 ‘과학적 증거 부족’ 및 ‘윤리적 불가’ 정책을 펴고 있다.

 

미국은 아직 관련 규제가 거의 없으나, 세계 주요 유전학·행동유전학 협회(BGA)는 “형질 예측력과 임상효과가 불확실하며, 사회적·윤리적 위험이 크기 때문에 임상 활용을 권장할 수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우생학 시대 재현 위험"…과학, 사회, 윤리의 삼중 프레임


생명윤리 전문가 바버라 빌라워(Barbara Pfeffer Billauer)는 “가타카와 같은 사회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며 경각심을 피력했다. 전통적인 우생학이 강제 불임, 사회적 낙인이라는 어둠의 역사로 남았음을 상기하며, 지금과 같은 기술적 진전이 경제적 자원에 따라 ‘유전자 계급’ 구조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주요 쟁점이다.

 

가타카(Gattaca) 사회란 1997년 개봉한 미국의 디스토피아 SF 영화 '가타카'에서 묘사된 미래 사회를 말한다. 유전공학 기술이 극도로 발달해 부모가 자녀의 유전자를 선택하고 조작하는 '우생학(eugenics)'에 기반해 구성된 사회다.

 

영화 속 가타카 사회에서는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라 '유효(valid)' 혹은 '무효(in-valid)'로 분류되며, 자연 출산으로 태어난 사람들은 '무효'로 간주되어 차별과 제한된 직업 선택 등의 사회적 불이익을 받는다.

 

유전적으로 우수한 사람들만 사회의 상위 계층을 형성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사회에서 배제되거나 하층민으로 취급된다. 즉 유전자 차별이 현실화되어 사회 구조 자체가 유전자로 결정되는 새로운 계급사회가 형성된 것이다.

 

"과학적 상업화 앞서 근거·규제·윤리 검증 필요"


헤라사이트가 제시한 AI 기반 배아 IQ 예측 기술은 생명과학, 빅데이터, AI 융합 분야의 혁신적 도전으로 평가받으나, 근거에 비해 상업화와 홍보가 앞서고 있다는 점, 경제적 접근성이 제한되어 유전적 불평등을 확대할 잠재적 위험, 과거 우생학의 사회적 함정 재현 가능성 등 복합적 과제를 동반한다.

 

객관적 수치와 공식 기관의 분석을 종합하면, 현재 단계에서 '과학적 혁신'으로 인정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며 사회‧윤리적 논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정부 광고, 유튜브 구글·인스타 메타에 집중…"절반만 국내 플랫폼에 줘도 222억원 효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국내 정부 광고 예산이 구글과 메타 등 해외 빅테크 플랫폼에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국내 미디어 생태계 보호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정부 부처가 집행한 인터넷 광고 중 26% 이상이 구글과 메타에 집중됐고, 특히 구글은 단일 매체 기준으로 708억원의 수주액을 기록해 1위를 유지했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2023년부터 정부 광고 수주액이 674억원에 이르며 국내 주요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편성채널을 크게 앞서고 있다. 4년간 구글 광고 수주는 86% 증가한 반면, 국내 방송 7개 주요사 광고 수주는 22% 증가에 그쳤다.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의 경우에도 2024년 처음으로 100억원 이상을 수주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정부가 유튜브 등 해외 플랫폼을 홍보 수단으로 선호하는 이유는 조회수 중심의 효과 측정과 비용 효율성 때문이다. 다만, 국내 광고 플랫폼 산업이 위축되고, 광고비가 해외로 유출되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한양대 강형구 교수는 “정부 광고 예산의 절반만 국내 플랫폼으로 돌아오면 산업 연관 효과로 약 222억원의 추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세수도 23억원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빅테크칼럼] 구글, 로보틱스 AI 공개에 국내 로봇주 급등…‘피지컬 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도 투자심리 '자극'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구글 인공지능(AI) 조직 딥마인드가 2025년 9월 24일(현지시간) 공개한 최첨단 로보틱스 AI 모델 ‘제미나이 로보틱스 1.5’ 시리즈가 국내 로봇주 주가 동반 급등을 이끌고 있다. 이 AI 모델은 로봇이 빨래 분류, 쓰레기 재활용 등 복잡하고 다단계인 현실 세계 과제를 인간처럼 사고하고 계획하며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됐다. 구체적으로, ‘제미나이 로보틱스 1.5’는 로봇의 시각 정보를 이해하고 명령을 행동으로 변환하는 능력이 획기적으로 강화됐으며, ‘제미나이 로보틱스-ER 1.5’ 모델은 물리적 세계에서 정교한 다단계 실행 계획을 수립할 뿐 아니라 디지털 도구를 직접 호출하는 기능도 갖췄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로봇에 적용 가능한 범용 지능을 실현해 기술 습득 속도를 대폭 가속화했다. 이 같은 구글 AI 발표 직후인 9월 26일 한국 증시에서 로봇 관련주들이 대거 상승했다. 에브리봇은 전일 대비 17.11% 상승하며 장중 52주 신고가인 2만1900원까지 기록했고, 로보티즈(5.0%), 하이젠알앤엠(4.62%), 이랜시스(3.93%) 등 다수 로봇주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특히 하이젠알앤엠은 2025년 들어 주가가 440

개인정보위, 구글·메타·오픈AI 등 빅테크 ‘한국 법인 국내대리인 지정’ 강제 조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빅테크 기업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 16개 해외 사업자에 대해 국내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하도록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들 기업은 한국에 법인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법무법인이나 대리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해 법 개정안 위반 소지가 제기됐다.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이 오는 10월 2일 시행을 앞두고 개인정보위는 해외사업자들의 국내대리인 지정 현황을 점검했다. 개정안은 해외 사업자가 한국 내 법인을 설립한 경우 해당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하고 본사가 이를 직접 관리·감독하도록 의무화했다. 지정을 6개월 내 미이행하거나 관리·감독이 부실한 경우 과태료 등 행정처분이 뒤따른다. 점검 결과, 알리익스프레스, 태무, 에어비앤비, 비와이디(BYD), 오라클 등은 한국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해 법을 준수한 반면, 구글, 메타, MS, 오픈AI, 페이팔, 줌, 로블록스, 슈퍼셀, 아고다, 부킹닷컴, 인텔, 라인, 로보락, 쉬인, 세일즈포스, 스포티파이 등은 한국 법인 대신 법무법인 또는 별도 법인을 국내대리인으로 지정해 지정을 변경하도록 안내받았다.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