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폴로 11호 달 착륙 56주년을 맞은 2025년 7월 20일(현지시간), 교황 레오 14세가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대를 방문했다. 이어 올해 95세를 맞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번 행보는 신앙과 과학, 인류의 도전이 교차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ABC News, Indiatimes, Philstar.com,barrons.com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첫 팝 콘택트, 신앙과 과학의 만남
교황은 여름 별장에서의 삼종기도(Angelus) 이후, 천문학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통 여름 프로그램 현장을 찾아 수십 년간 빛나는 연구를 이어온 망원경 등 주요 천문 장비를 직접 살펴봤다.
이 자리에서 교황은 “56년 전 인류의 달 착륙 성취는 인간 창의성의 증거이자, 창조의 신비·위대함을 되새기게 한다”는 소회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 남겼다.

뒤이어 진행된 버즈 올드린과의 통화에서 교황은 “인류의 역사적 업적, 인간 정신의 한계를 넘고자 했던 순간”을 회상하고 그와 가족·협력자들에게 교황청의 축복을 전했다.
올드린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교황 레오 14세로부터 56주년 최고의 축복을 받아 감사하고 감동했다”며 감격을 표했다.

95세 올드린, 우주 과학의 산 증인
MIT(매사추세츠공대)에서 우주항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버즈 올드린은 1969년 닐 암스트롱에 이어 두 번째로 달에 발을 디딘 인물이다.
올드린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우주 개발 옹호활동과 더불어, 차세대 행성 탐사 및 우주 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그가 설립한 재단 ‘ShareSpace Foundation’을 통해 전 세계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우주과학 교육과 우주진출의 꿈을 확산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올드린은 특히 ‘인간의 화성 이주’를 위한 전략을 꾸준히 제안하며, 우주 협력과 미래 비전에 대한 담론을 주도하고 있다.

교황청-우주 소통 전통…신앙과 인류 도전의 역사
이번 교황-우주비행사 통화는 바티칸이 지속해온 우주 관련 소통 전통을 잇는 것이다.
2011년 베네딕토 16세 전임 교황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직접 연락해 지구의 미래와 환경 문제에 대해 대담을 나눴으며, 1969년 아폴로 11호 달 착륙 당시 바오로 6세 교황은 “달의 정복자”란 경의의 메시지를 라디오로 암스트롱, 올드린, 콜린스 등에게 전한 바 있다.

바티칸 천문대, 430여년의 과학·신앙 융합
교황 레오의 이번 방문은 189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본격적으로 설립된 바티칸 천문대를 직접 찾은 첫 사례로 기록됐다.
천문대의 기원은 1582년 그레고리오 13세가 주도한 ‘그레고리력’ 도입 당시 과학연구위원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 바티칸 천문대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운석 컬렉션(여기엔 화성에서 온 조각도 포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부-과학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연구, 선진 망원경 개발, 천문 교육 및 공공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애리조나주 마운트 그레이엄 부근에 ‘바티칸 첨단기술망원경(VATT)’을 설치해, 대형 천체 연구에서 세계 최고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교황 레오 14세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의 역사적 통화는 신앙, 과학, 인류 도전의 접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웅변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바티칸 천문대가 오랜 세월 쌓아온 종교와 과학의 융합과, 올드린이 상징하는 미래 지향적 우주탐사 정신이 56주년을 맞은 달 착륙의 의미를 한층 깊게 했다. 앞으로 인류의 우주개발, 신앙과 과학의 협력, 그리고 차세대 교육 등에 미칠 긍정적 파장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