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아폴로 11호 56주년과 과학·신앙 융합…교황, 바티칸 천문대 방문 후 버즈 올드린과 '역사적 통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폴로 11호 달 착륙 56주년을 맞은 2025년 7월 20일(현지시간), 교황 레오 14세가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대를 방문했다. 이어 올해 95세를 맞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번 행보는 신앙과 과학, 인류의 도전이 교차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ABC News, Indiatimes, Philstar.com,barrons.com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첫 팝 콘택트, 신앙과 과학의 만남

 

교황은 여름 별장에서의 삼종기도(Angelus) 이후, 천문학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통 여름 프로그램 현장을 찾아 수십 년간 빛나는 연구를 이어온 망원경 등 주요 천문 장비를 직접 살펴봤다.

 

이 자리에서 교황은 “56년 전 인류의 달 착륙 성취는 인간 창의성의 증거이자, 창조의 신비·위대함을 되새기게 한다”는 소회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 남겼다.

 

 

뒤이어 진행된 버즈 올드린과의 통화에서 교황은 “인류의 역사적 업적, 인간 정신의 한계를 넘고자 했던 순간”을 회상하고 그와 가족·협력자들에게 교황청의 축복을 전했다.

 

올드린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교황 레오 14세로부터 56주년 최고의 축복을 받아 감사하고 감동했다”며 감격을 표했다.

 

 

95세 올드린, 우주 과학의 산 증인


MIT(매사추세츠공대)에서 우주항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버즈 올드린은 1969년 닐 암스트롱에 이어 두 번째로 달에 발을 디딘 인물이다.

 

올드린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우주 개발 옹호활동과 더불어, 차세대 행성 탐사 및 우주 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그가 설립한 재단 ‘ShareSpace Foundation’을 통해 전 세계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우주과학 교육과 우주진출의 꿈을 확산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올드린은 특히 ‘인간의 화성 이주’를 위한 전략을 꾸준히 제안하며, 우주 협력과 미래 비전에 대한 담론을 주도하고 있다.

 

 

교황청-우주 소통 전통…신앙과 인류 도전의 역사


이번 교황-우주비행사 통화는 바티칸이 지속해온 우주 관련 소통 전통을 잇는 것이다.

 

2011년 베네딕토 16세 전임 교황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직접 연락해 지구의 미래와 환경 문제에 대해 대담을 나눴으며, 1969년 아폴로 11호 달 착륙 당시 바오로 6세 교황은 “달의 정복자”란 경의의 메시지를 라디오로 암스트롱, 올드린, 콜린스 등에게 전한 바 있다.

 

 

바티칸 천문대, 430여년의 과학·신앙 융합


교황 레오의 이번 방문은 189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본격적으로 설립된 바티칸 천문대를 직접 찾은 첫 사례로 기록됐다.

 

천문대의 기원은 1582년 그레고리오 13세가 주도한 ‘그레고리력’ 도입 당시 과학연구위원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 바티칸 천문대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운석 컬렉션(여기엔 화성에서 온 조각도 포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부-과학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연구, 선진 망원경 개발, 천문 교육 및 공공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애리조나주 마운트 그레이엄 부근에 ‘바티칸 첨단기술망원경(VATT)’을 설치해, 대형 천체 연구에서 세계 최고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교황 레오 14세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의 역사적 통화는 신앙, 과학, 인류 도전의 접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웅변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바티칸 천문대가 오랜 세월 쌓아온 종교와 과학의 융합과, 올드린이 상징하는 미래 지향적 우주탐사 정신이 56주년을 맞은 달 착륙의 의미를 한층 깊게 했다. 앞으로 인류의 우주개발, 신앙과 과학의 협력, 그리고 차세대 교육 등에 미칠 긍정적 파장이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이슈&논란] “한반도 핵추진 잠수함 시대 열린다” 李대통령, 트럼프에 ‘핵잠 연료 공급 허용’ 공개 요청…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10월 29일 경북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을 허용하는 결단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이는 30여 년간 이어진 한국 군의 숙원 사업인 핵추진 잠수함 도입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식 논의되는 첫 사례로, 한미 간 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한 핵추진 잠수함 도입 추진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됐다.​ 핵추진 잠수함은 일반 디젤 잠수함과 달리 고농축 우라늄(U-235)으로 동력을 얻는 원자력기관을 사용해 소음이 적고 잠항 능력이 뛰어나 전략적·전술적 측면에서 현대 해전의 핵심 무기로 평가받는다. 특히 한국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능력을 확보한 만큼, 핵추진 잠수함 확보 시 북한에 대한 억제력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번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핵무기 탑재’가 아닌 ‘핵연료 추진’ 잠수함 도입에 중점을 둔 것으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하는 전술 핵추진 잠수함(SSN)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대통령은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부족해 북한과 중국 잠수함 추적에 제한적”이라며, 연료 공급을 허용해주면 한국 기술로

한미, 기술협력 전방위 확대…AI·6G 그리고 우주탐사까지 '협력강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미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기술번영 업무협약(MOU)'은 AI, 6G, 우주, 바이오, 양자기술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아, 양국의 과기 협력 관계를 새로운 도약대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번 협약은 10년 만에 맺어진 것으로, 양국이 미래 핵심기술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십과 신뢰 기반 협력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 협력 내용 및 기대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 수출을 비롯한 데이터셋 개발, 안전한 AI 혁신 촉진, 그리고 교육과 미래세대 양성까지 광범위한 협력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양국은 AI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하고, AI 생태계 조성 및 기술 수출 확대를 추진하며, 글로벌 수준에서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차세대통신인 6G 연구개발과 우주 탐사 분야에서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상업용 지구 저궤도 우주정거장 개발까지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우주 분야에서는 글로벌 우주 경쟁에서 선도적 역할을 모색하고 있으며,

[우주AtoZ] "로봇기반 우주정거장 목표" KAIST, 우주 연구센터 출범…10년동안 712억원 투입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KAIST가 로봇 기반 무인 우주정거장 구축을 핵심 목표로 하는 '우주 서비스 및 제조 연구센터'(ISMRC)를 공식 출범시키며, 국내 우주산업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향후 10년간 총 712억원이 투입되는 이 대규모 프로젝트는 국비 500억원, 대전시비 36억원, 교비 및 참여기업 지원금 등으로 구성되며, 민간 중심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견인할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연구 목표 및 기술 개발 방향 ISMRC의 핵심 연구 목표는 ▲로봇이 운영하는 무인 우주정거장 구축 ▲로보틱스 기반 우주 제조 기술 개발 ▲궤도상 물자 회수 기술 확보 등 차세대 우주 인프라 구축에 있다. 이는 위성 수명 연장, 궤도상 정비 및 운용 등 인류의 우주 활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뉴로메카와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우주용 로봇팔과 포획장치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으며, 2027년까지 과학기술위성 1호의 안전한 수거를 위한 로봇팔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우주 쓰레기 포획 및 재진입 기술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참여 기업 및 산학연 협력 구조 센터는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