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건축 노벨상' 프리츠커상에 아모레 본사 설계한 '치퍼필드'

서울 용산 아모레퍼시픽 본사 건물의 공중 정원. [프리츠커상]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 용산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 본사 건물을 설계한 데이비드 치퍼필드(69)가 건축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은 건축가에게 주어지는 최고 영예다. 건축을 통해 인류에 공헌했다고 인정되는 건축가에게  부여되는 상이기 때문이다.

 

그는 주어진 환경과 어울리는 품격 있고 절제된 건축물로 유명하다.

 

아모레퍼시픽 본사 건물은 2019년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CTBUH)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고층건물'에서 2개 부문 대상과 1개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치퍼필드는 독일 신(新) 베를린 박물관, 미국 세인트루이스 미술관, 일본 이나가와 묘지 예배당, BBC 스코틀랜드 사옥 등을 설계했다.

 

아모레퍼시픽 본사 건물을 설계한 데이비드 치퍼필드 [프린츠커상]

 

심사위원단은 8일 발표문에서 "치퍼필드는 섬세하면서도 강력하고, 절제되고, 우아한 건축을 선보여왔다"며 "건물이 지어지는 장소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하고, 시대를 초월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평가했다.

 

또 "지어진 건물이 환경과 역사에 미치는 영향까지 치밀하게 계산한다. 건축가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시류와 유행을 따르지 않으며 독창적인 작업을 선보여왔다"고 덧붙였다.

 

심사위원장이자 2016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알레한드로 아라베나는 "유행을 따르지 않는 건물이 오래 간다"며 "치퍼필드가 설계한 건물들은 앞으로 오랫동안 시간의 시험을 견뎌낼 것"이라고 칭찬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스펀지 도시' 개념으로 "도시 홍수관리 혁신"…건축가 공젠위, 브라질 교통사고로 사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을 넘어 전 세계 도시 홍수 관리의 판도를 바꾼 ‘스펀지 도시’ 개념의 창시자이자 세계적 조경 건축가 공젠위(龚自伟, Kongjian Yu)가 2025년 9월 23일(현지시간) 브라질 판타나우 습지 인근에서 발생한 비행기 추락 사고로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CNN, 로이터, 뉴욕타임스, 에이전시 브라질, SCMP에 따르면, 사고는 브라질 마투그로수두술 주 아키다우아나에서 약 100km 떨어진 농장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중 발생했으며, 공젠위와 조종사, 그리고 두 명의 현지 영화 제작자를 포함한 탑승자 4명 전원이 사망했다. 사망자는 유 씨와 브라질 영화제작자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다 쿠냐 페라즈, 루벤스 크리스핀 주니어, 조종사 마르셀로 페레이라 데 바로스이다.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브라질 항공안전청이 조사에 착수했다. 공젠위는 ‘스펀지 도시(Sponge City)’라는 자연기반 도시 설계 철학을 통해 재해 예방과 기후변화 대응에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스펀지 도시는 기존의 빗물 배제 위주의 콘크리트 인프라를 대체해, 도시 곳곳에 빗물을 흡수·저장·재활용하는 생태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도시 홍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