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13.0℃
  • 맑음강릉 13.8℃
  • 구름조금서울 14.7℃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6.6℃
  • 맑음부산 16.9℃
  • 맑음고창 14.8℃
  • 맑음제주 17.4℃
  • 구름많음강화 11.1℃
  • 맑음보은 13.6℃
  • 맑음금산 13.5℃
  • 맑음강진군 15.2℃
  • 맑음경주시 13.3℃
  • 맑음거제 12.2℃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K-뷰티, 수출로 미국 제치고 세계 2위 등극…강관·조선·음식료 ‘정책+글로벌’ 모멘텀에 증시 활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5년 상반기 한국 증시는 K-뷰티(화장품) 업종의 글로벌 약진과 강관·조선·음식료 등 주요 테마주의 동반 강세 속에 투자 심리가 뚜렷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3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해 3071.70에 마감했고, 코스닥은 소폭 약보합세로 마쳤다. 특히 한국 화장품 수출이 사상 처음 미국을 추월하며 세계 2위에 올라선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K-뷰티, 사상 첫 美 추월…세계 2위 수출국 등극


2025년 1~4월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36억609만 달러로, 같은 기간 미국(35억7069만 달러)을 앞질렀다. 이는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3위에 오른 데 이어, 프랑스에 이어 세계 2위로 올라선 것이다.

 

K-뷰티의 저력은 한류 확산, 기능성 제품 혁신, OEM·ODM 경쟁력, 글로벌 유통망 확장에 기반한다. 업계는 신생 브랜드 발굴과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증시에서는 한국콜마, 잉글우드랩, 실리콘투, 삐아 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고, 한국콜마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관·피팅·밸브, 한미정상회담·LNG 프로젝트 기대감에 강세


7월 말 한미정상회담 추진과 미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한 한국 기업 참여 요청이 부각되면서, 동양철관, 태광, 넥스틸, 화성밸브, 하이스틸, 성광벤드 등 강관·밸브주가 동반 강세를 기록했다.

 

미국은 에너지 수입 다변화와 LNG 인프라 확충에 적극적이며, 한국 강관·밸브 업계는 글로벌 프로젝트 수주 확대 기대감에 힘입어 투자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조선주, 트럼프 ‘조선업 협력’ 언급에 상승…신조선가도 고공행진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조선업 재건과 한·미 조선 협력 의지를 강조하며,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187.11pt로 전주 대비 0.12% 상승했고, HD현대미포, 한화엔진, 삼성중공업, 동성화인텍, 한화오션 등 조선주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신한투자증권은 “국내 조선사들은 3년 이상의 풍부한 수주잔고를 확보해 선가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중장기 성장성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음식료주, 내수진작 정책·소비쿠폰 집행 기대감에 강세


정부와 민주당이 7월 중 1인당 15만~52만원 상당의 소비쿠폰 지급을 예고하면서, 사조씨푸드, 인산가, 동원F&B, 동원산업, 미트박스 등 음식료·수산식품주가 상승했다. 내수진작 정책과 휴가철 소비 확대가 맞물리며 음식료·유통·K푸드 업종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종합 평가 및 전망


2025년 상반기 한국 증시는 K-뷰티의 세계 2위 도약, 강관·조선·음식료 등 정책 및 글로벌 이슈에 힘입은 업종별 강세가 두드러졌다. 하반기에도 글로벌 수출 호조와 내수 진작 정책,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기대감이 증시 전반에 긍정적 모멘텀을 제공할 전망이다. 다만 글로벌 경기와 정책 변수, 환율 변동성 등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말도 탈도 많은 교촌치킨, 이재명 대통령 '꼼수 인상' 저격…APEC·슈링크플레이션·배달료 '또 교촌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필코노미’ 트렌드 확산에 CJ온스타일 라방 채팅 수 18만건 '역대 최대'∙∙∙3Q 모바일 라방 거래액 6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이하 라방)가 ‘기분이 소비를 이끈다’는 ‘필코노미(Feelconomy)’ 트렌드 속에서 역대 최대 수준의 고객 참여를 이끌어냈다. CJ온스타일은 10월 모바일 라방 채팅 수가 18만 건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 론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라부부 등 팝마트와의 협업과 셀럽·인플루언서 100인이 추천하는 상품을 큐레이션한 하반기 최대 쇼핑 축제 ‘컴온스타일’ 흥행이 고객 공감과 활발한 라방 채팅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지난 17일 진행된 팝마트 라부부∙크라이베이비 라방에는 2만 건의 채팅이 쏟아지기도 했다. 또한 기은세∙박세리 등 셀럽 MC를 중심으로 ‘토크 예능형 라방’을 확대해 시청자가 콘텐츠에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점도 성과를 견인했다. 채팅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앱 체류시간과 구매 전환율도 동반 상승, CJ온스타일의 3분기 모바일 라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8% 증가했다. 라방 채팅창이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교감의 장으로 발전한 사례도 있다. 평일 오전 10시에 방송되는 대표 유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