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앤트로픽, 몸값 1500억 달러 자금유치 나섰다…중동 자본 참여로 美中 위주 AI 산업판도 '흔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인공지능(AI) 시장의 수요 폭증과 투자 열기가 미증유의 속도로 확산되면서,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2025년 7월 25일 기준 1500억 달러(약 207조원)를 넘는 기업가치 달성을 목표로 새로운 자금 유치에 나섰다.

 

불과 넉 달 전, 시리즈 E 투자 라운드에서 615억 달러(약 85조원)였던 기업가치가 두 배 이상 뛰는 셈이다. 이번 펀딩 라운드는 최소 30억~50억 달러 규모로, 중동 투자자의 대규모 참여가 예고되며 전 세계 AI 산업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폭발적 매출 성장, 수익 급증의 비밀


이런 파격적 기업가치 상승은 실질적 비즈니스 성장에 뿌리를 두고 있다. 2025년 초 10억 달러 수준이었던 연간 반복 수익(Annual Recurring Revenue, ARR)은 불과 6개월 만에 40억 달러를 넘어 4배 이상 급등했다.

 

2025년 7월 기준, 월간 매출은 약 3억3300만 달러에 달한다. 매출의 80%가량이 기업용 구독에서 발생하며, 클로드(Claude) 모델은 코딩 애플리케이션·엔터프라이즈 특화 기능을 내세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특히 2025년 2월 선보인 'Claude Code' 등 신규 제품과 AWS, 구글 Vertex AI 등 글로벌 클라우드와 연계된 B2B API 사업이 고속 성장을 이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데이터 센터 투자 및 모델 학습비용 탓에 연간 3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흑자 전환 예상 시점은 2027년, 연간 매출 120억~345억 달러를 목표로 삼고 있다.

 

 

전략을 뒤흔든 중동 자본, 윤리·지분 구조 논란


이번 기업가치 증대 배경에는 중동, 특히 UAE·카타르 등 걸프 국가 국부펀드와의 전략적 딜(Deal)이 핵심이다. 다리오 아모데이(Dario Amodei) CEO는 최근 내부 슬랙(Slack) 메시지 유출을 통해 “최전선에 남으려면 1000억 달러 이상의 중동 자본 접근이 필수”라며, 회사 방침의 급격한 변화를 인정했다.

 

앤트로픽은 2024년까지는 사우디아라비아 자본을 국가안보 문제로 거부해왔으나, 격화된 AI 판세 속 생존경쟁의 논리로 방침을 전환했다. 단, 걸프계 투자자의 경영참여·의결권을 철저히 배제하는 “좁고 순수한 재정 투자” 방식으로 지분 거래를 제한하고 있지만 향후 PIF(사우디국부펀드) 등 대형 국부펀드의 '소프트 파워' 영향력 확대 우려도 공존한다.

 

MGX의 'FTX 지분 8%' 대박…중동 AI 패권 다툼


특히, 아부다비 국부 AI 투자기관 MGX는 2023년 FTX로부터 13억 달러에 인수한 앤트로픽 지분 8%가 이번 밸류에이션 기준 120억 달러 이상으로 재평가되면서 화제를 모은다. MGX는 이번 펀딩에도 주도적으로 참여 중이다. 이는 중동 자본이 실리콘밸리 AI 패권 경쟁의 중심축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글로벌 AI 인프라 패권, 미국·중동·중국 3파전

 

앤트로픽의 중동 투자 유치 속에는 '초거대 AI 인프라'를 둘러싼 글로벌 패권 경쟁이 도사린다. 오픈AI(OpenAI)는 올해 1월 UAE 국영 투자그룹과 5000억 달러 규모 'Stargate' 프로젝트를 시작, 아부다비에 5GW(기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 캠퍼스를 건설 중이다.

 

동시에 사우디 국영 휴메인(Humain)도 180억 달러 규모의 AI 프로젝트와 함께 AWS, AMD,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반면, 앤트로픽은 트럼프 대통령의 2025년 5월 중동 순방 당시 업계 거물들이 동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 대표가 제외되어, 경쟁 구도의 열위(劣位) 타개차 중동 자금 유치와 연합전선을 강화하는 양상이다.

 

앤트로픽의 기하급수적 성장은 매출의 실제 확장과 함께 ‘게임의 룰’까지 바꾸고 있다. 이제 AI 개발의 열쇠는 막대한 자본력과 인프라 투자, 윤리와 지배구조 리스크 관리라는 세 갈래에 달렸다.

 

미국, 중동, 중국 등 국가 단위의 멀티·매크로 전략에 개인기업이 휩쓸리고 있는 현장과, 리더십 부재 시 곧장 경쟁열위로 직결되는 ‘AI 패권 게임’의 속살이 드러난다. 수치로, 시나리오로, 그리고 전략적 메시지로서 앤트로픽 사례는 곧 AI 산업의 미래와 글로벌 자본 이동의 축소판임이 분명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10년 내 사라진다" 前 스텔란티스 CEO의 충격적 경고…"BYD에 밀려, 머스크는 자동차 산업 떠날 것"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앞으로 10년 내 사라질 수 있다는 파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발언의 주인공은 스텔란티스의 전 최고경영자(CEO) 카를로스 타바레스. 그는 최근 프랑스 일간지 르에코스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는 혁신적이지만 BYD의 효율성에 밀려 10년 후에도 존재할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르에코스, Fortune, Statista, Teslarati, Car News China에 따르면, 타바레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미 휴머노이드 로봇, 우주탐사(스페이스X),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며 “머스크가 결국 자동차 산업을 떠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면서도 최근 여러 신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테슬라의 시장 변동성은 주요 지표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테슬라의 2025년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81억 달러(약 40조27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률은 급감했고 주당순이익(EPS)은 시장 기대를 하회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EV 인도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