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그림자도 안 남기고 사라진다” 전략폭격기 끝판왕… 美 B-2 스텔스 폭격기, 이란 핵심부를 관통하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6월 22일(현지시간), 미국이 이란의 핵심 지하시설을 정밀 타격하며 다시 한 번 세계 군사력의 정점을 과시했다.

 

그 중심에는 ‘현존 최강’의 스텔스 전략폭격기 B-2 스피릿(Spirit)이 있었다. 이번 작전은 B-2가 가진 기술적·전략적 위력, 그리고 그 압도적 존재감을 전 세계에 각인시킨 사건으로 평가된다.

 

 

B-2 스피릿, “적의 방공망을 무력화하는 유령”

 

B-2 스피릿은 미국 노스롭 그루먼이 개발한 전략 스텔스 폭격기로, 1997년 실전 배치 이후 단 한 번도 실전에서 격추된 적이 없는 ‘공중의 유령’이다.

 

레이더, 적외선, 음향 등 다중 스펙트럼 은폐기술과 곡선형 플라잉윙(flying wing) 구조, 레이더 흡수 도료 등으로 적 방공망을 무력화한다. 실제로 B-2의 레이더 반사면적(RCS)은 ‘작은 새’ 수준으로, 현대 방공망에서도 탐지가 거의 불가능하다.

 

최대 고도 : 1만5000m(5만 피트)

최대 항속거리 : 1만1000km(무급유), 1만9000km(공중급유 시)

최대 탑재량 : 1만8000kg(4만 파운드)

운용 인원 : 2명(조종사, 임무지휘관)

대당 가격 : 약 21억 달러(약 2조8000억원),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군용기.

 

 

“지하 60m도 뚫는다”…GBU-57 벙커버스터와 B-2의 조합


이번 이란 공격에서 B-2가 투하한 주력 무기는 GBU-57A/B ‘매시브 오디넌스 페네트레이터(MOP)’ 벙커버스터다.

 

이 폭탄은 길이 6.2m, 무게 13.6톤(3만 파운드)으로, 고밀도 강철 외피와 특수 탄두를 이용해 최대 60m의 암석 또는 18m의 철근 콘크리트를 관통할 수 있다. GPS와 관성항법을 결합한 정밀 유도 덕분에 수 미터 오차 이내로 목표를 타격한다.

 

B-2는 내부 무장창에 MOP 2발을 탑재할 수 있는 유일한 폭격기다.

 

이번 이란 포르도 지하 농축시설 등에서 6발의 MOP가 투하돼, 산악 지하 핵시설을 직접 타격했다.

 

 

B-2의 글로벌 타격 능력, “37시간 논스톱 작전”

 

이번 임무에서 B-2는 미국 미주리주 화이트맨 공군기지에서 출격, 공중급유를 거쳐 37시간 논스톱으로 이란을 왕복했다. 이 같은 장거리 침투·정밀 타격 능력은 B-2만의 전매특허다. 실제로 B-2는 아프가니스탄, 리비아, 이라크 등에서도 미 본토에서 출격해 직접 폭격 임무를 수행한 바 있다.

 

B-2는 스텔스·정밀타격·지하관통 능력에서 타 기종을 압도한다. 다만 대당 2.8조원에 달하는 엄청난 가격에다 유지비도 막대해 2024년 기준 19대만 운용 중이라는 것이 유일한 단점이다.

 

 

전략적 의미와 한계


B-2는 미국의 핵심 전략자산으로, 핵·재래식 무기 모두 운용 가능하다. 특히 적의 방공망을 무력화하고, 지하 깊숙한 핵심 시설까지 타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게임체인저’로 평가받는다. 이번 이란 공격에서도 이 같은 특성이 극적으로 입증됐다.

 

다만, 극소수만 생산·운용 중이며, 유지·정비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미국은 2030년대 B-21 레이더로 대체를 예고하고 있다.

 

“B-2, 21세기 전략폭격기의 끝판왕”


B-2 스피릿은 현존하는 어떤 방공망도 무력화할 수 있는 스텔스·정밀타격·지하관통 능력을 두루 갖춘 ‘21세기 전략폭격기의 끝판왕’이다.

 

“그림자도 남기지 않고 사라진다”는 별명처럼, B-2는 미국의 전략적 의지와 군사기술의 상징이자, 적국 입장에서는 공포의 대상임이 이번 이란 작전으로 다시 한 번 입증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