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3℃
  • 흐림강릉 10.2℃
  • 연무서울 8.0℃
  • 천둥번개대전 7.7℃
  • 흐림대구 10.2℃
  • 연무울산 14.6℃
  • 광주 7.9℃
  • 연무부산 14.6℃
  • 구름많음고창 10.1℃
  • 구름많음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8.2℃
  • 구름많음금산 9.9℃
  • 구름많음강진군 10.5℃
  • 구름조금경주시 12.8℃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독일, 안보위기 속 軍 복무 징병제 부활 '초읽기'...현실화되면 700억 유로 경제손실 '직격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독일이 러시아의 안보 위협과 나토(NATO) 방위 기준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1년 이후 중단했던 군 복무 징병제 부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주 내각 승인을 앞둔 법안은 우선 자발적 입대를 촉진하되, 목표 인원 충원이 실패할 경우 의무 복무로 전환할 수 있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방침은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가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재래식 군대"를 구축하겠다는 약속의 일환이다.

 

정치권 내 첨예한 입장차

 

DW(Deutsche Welle), Bloomberg, The Local, ifo Institute, Gallup, Gov for German Press, Japan Times 등의 보도에 따르면, 메르츠 총리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CDU)과 바이에른 기독사회연합(CSU)은 징병제 도입에 적극적이다. 반면, 집권 연합의 또 다른 축인 사회민주당(SPD)은 자발적 모집 원칙을 고수하나, 병력 부족 시 징병제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유지한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국방장관(SPD)은 자발적 복무를 공식 옹호하지만 "필요 시 징병제를 선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CDU 산하 토르스텐 프라이 의원은 "전략 수정 시점을 명확히 정해야 하며 무한정 기다릴 수 없다"고 압박했다.

 

법안에 따르면 2026년부터 만 18세 남성은 복무 의지에 대한 설문서를 필수 작성해야 하며 2027년부터는 건강검진도 의무화된다. 여성은 설문서 작성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이러한 설문 방식은 스웨덴의 제도에서 영감을 받았으나, 당장은 징병 인원 선정 수단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군 인력 부족과 국민 인식


현재 독일 연방군(Bundeswehr) 병력은 약 18만3000명 수준으로, 나토가 요구하는 6만명 추가 증원 목표에 크게 못 미친다. 2024년 12월 말 기준 하위 병과 인력 공석률은 28%에 달한다. 병력의 고령화도 진행 중이며, 2019년 평균 32.4세였던 군인 평균 나이는 2024년 34세로 올라갔다.

 

젊은 세대의 군 복무 회피 현상도 심각하다. 2024년 갤럽 조사에 따르면 독일인 중 57%만이 "만일 국가가 공격받으면 방어하겠다"고 답했다. 18~29세 층에서는 35%만이 징병제에 찬성한다.

 

2025년 6월 Gov for German Press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4%는 징병제 부활에 찬성하며, 남녀 모두 징병에 동의하는 비율은 36%, 남성만 징집해야 한다는 의견은 18%였다. 그러나 세대별 지지율 격차가 크고, 젊은층은 극우 정당인 AfD 지지율(25세 미만에서 20% 이상 투표) 또한 높은 상황이다.

 

막대한 경제적 부담과 대안 논의


징병제 도입의 경제적 비용은 최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독일 경제연구소(ifo)가 연방 재무부 의뢰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전 연령대 100%가 징집될 경우 독일 국내총소득(GNI)은 1.6% 감소해 연간 약 700억 유로(113조6000억원)의 경제 손실이 예상된다. 기존처럼 25%만 징집하는 경우에도 170억 유로(27조5900억원) 손실이 전망된다. 이는 2024년 방위비 예산과 특별기금 총액에 맞먹는 규모이다.

 

연구진은 인적 자본 축적 지연과 조기 노동시장 진입 중단이 경제성장 둔화의 주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대안으로는 군인 처우 개선을 통한 채용 활성화가 꼽힌다. 병사 월급 인상 등 시장 기반 해법은 경제 손실을 최대 절반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

 

실제로 Bundeswehr는 최근 신병 월급을 2300유로 이상으로 인상하며 자발적 입대 유도를 강화하고 있지만, 장비 노후와 관리 문제, 정치적 스캔들로 군 이미지 개선은 아직 불완전하다.

 

NATO 요구와 유럽 안보의 중대한 기로


이번 징병제 부활 추진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안보 환경이 급변함에 따른 독일의 전략적 전환을 상징한다. 독일은 나토 내에서 군사력 확충 요구가 거세지고 있으며, 미국도 유럽의 방위 부담 증대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적 합의와 경제 현실 간 균형을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다.

 

군 복무 의무화는 1945년 이후 독일 군사 정책의 중대한 변곡점으로, 냉전 후 2011년 폐지된 55년 만의 재도입이란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하지만 정치적 분열과 사회적 반발, 경제적 부담 가중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있어 최종 법안 통과와 시행 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법안은 독일이 강화된 안보 위협 속에서 군사력 증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린 복잡한 도전과제들을 보여준다. 정치권의 합의와 국민들의 적극적 지지가 확보될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