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실 팀6(SEAL Team 6)가 2019년 북한 해안에 은밀히 침투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통신을 도청하기 위한 전자장치 설치 작전을 벌였으나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 과정에서 북한 민간인 선박을 발견하고 전부 사살한 사실이 뉴욕타임스(NYT) 등 로이터, CNN 보도로 9월 5일(현지시간) 공개됐다.
이 작전은 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 승인 하에 이뤄졌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까지 미국과 북한 양측 모두 이 사건을 공개적으로 인정하거나 알린 적은 없다.
작전은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이은 2019년 하노이 북미 핵 회담 직전인 초겨울에 진행됐다. 미군 최정예 네이비실 팀6의 레드 스쿼드론이 핵추진 잠수함에서 소형 잠수정을 타고 북한 해안에 접근했다. SEAL 요원들은 영하 4~5도에 달하는 차가운 바닷물에서 잠복하며 특수장비를 착용, 김정은의 비밀 통신을 도청할 전자 장치를 설치하려 했다.

그러나 작전 중 의도치 않게 북한 민간 어선이 나타났다. 북한 선박의 승선원 2~3명은 무장하지 않은 조개 채취 어민들이었다. 이들이 전등으로 네이비실 요원을 비추자, 요원들은 임무 노출을 막기 위해 즉각 사격을 가했고, 선상 인원 전원이 숨졌다. 사살된 이들은 바닷속에 가라앉도록 폐를 칼로 찔러 잠수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도청 장치 설치 임무는 완수하지 못한 채 철수했다.
미 합동참모본부는 작전 직후 북한군의 대규모 군사 이동 징후를 위성 감시로 포착했으나, 북한 측 공식 반응은 없었다. 미국 내 군사·정보 당국은 작전 세부내용과 민간인 사살 사실을 의회 정보·군사 감독위원회에 보고하지 않았다. 법률 전문가들은 이 점이 미연방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사 보도 후 "해당 작전에 대해 일체 보고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지만, 당시 직접 승인을 내렸다는 증언들이 존재한다. 이 작전은 미국의 극비 특수전 수행능력과 함께 강압적 대북정책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음을 보여준다.

과거 네이비실 팀6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인 2005년에도 같은 방식으로 북한 해안에 침투했으나 발각되지 않고 철수한 기록이 있다.
이번 사건은 미국과 북한 간의 대화와 긴장이 교차하던 시점에 일어난 극히 민감한 작전 실패 사례로, 대북 정보 수집의 어려움과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교적·군사적 리스크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한편 이 작전은 미국 내에서도 기밀에 부쳐졌으며, 관련 내용 공개가 늦어진 점과 민간인 피해 발생이 외교·군사적으로 미칠 파장에 대해 다수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향후 북미관계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