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인천에서 열리는 BTS 진의 단독 팬콘서트를 앞두고 인근 호텔 숙박 가격이 통상 요금 대비 10배 이상 급등하며 극심한 논란을 빚고 있다.
팬들과 일반 숙박객들이 확정 예약을 취소당하고, 갑작스런 가격 인상에 분노하는 가운데, 이번 사건은 과거 BTS 관련 콘서트 때마다 반복된 가격 폭등·예약 취소 문제를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인천 미추홀구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진행되는 이번 콘서트 일정이 발표된 직후 인근 호텔들은 평소 4만~8만원대였던 객실 요금을 최대 107만5000원(약 765달러)까지 올렸다. 이 중 한 팬은 본래 5만원에 예약이 확정됐으나 호텔 측에서 가격 오류를 이유로 예약을 취소하겠다고 전해 충격을 더했다.
예약 플랫폼이나 소셜미디어에는 “명절에도 8만원을 넘기기 어려운데, 콘서트 날짜에만 107만원이라니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불만이 폭주했다.
이번 급격한 가격 인상은 팬들뿐 아니라 일반 방문객들에게도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예고 없이 예약이 취소되어 대체 숙소를 찾지 못하거나, 폭등한 가격 때문에 여행 계획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콘서트가 개최되기까지 불과 한 달도 채 남지 않아 팬들은 촉박한 일정에 더 큰 난관을 느끼고 있다.
더불어 콘서트 일정마저 경기장 사정으로 하루 연기 가능성이 제기돼 숙박 계획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과거 2022년 부산에서 BTS의 무료 콘서트 당시에도 숙박업소들이 예약을 일방 취소하고 요금을 10배 이상 인상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 당시 부산시는 이런 폭리 행위가 지역 이미지 훼손은 물론 팬 문화에 대한 신뢰 저하를 가져온다며 단속과 대책 마련을 약속했으나, 유사 사례가 재발한 것이다.
이번 인천 사태는 숙박업계의 도덕적 책임과 정부의 적극적인 관리 감독 체계 부재가 부른 전형적인 ‘기회주의적 가격 폭리’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가격 인상이 단기 이익에 불과하며, 장기적으로는 지역 관광과 문화 산업 신뢰도를 떨어뜨릴 뿐이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팬들이 신뢰를 잃고 해당 지역 방문을 꺼리게 되면 브랜드 가치 훼손은 물론, 지역 경제에도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경고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전에 명확한 정책과 법적 규제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대규모 행사 시마다 숙박비 폭등 문제는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사회적 파장도 만만치 않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팬을 상대로 한 노골적 폭리”, “예약 취소는 명백한 불공정 행위”라며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부는 “BTS 팬덤 문화가 상업적 이익만 쫓는 업주들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공정거래위원회와 지자체 차원의 대책 마련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인천 팬콘서트 호텔 가격 폭등 사건은 대중문화 이벤트 산업의 성장과 함께 따라야 할 사회적 책임과 윤리 기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일깨워준다. 대형 콘서트 등 행사와 연계된 지역 경제 활성화가 팬 문화와 지역사회 모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관계 당국과 사업자 모두의 신중하고 투명한 대처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