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스위스 ETH 취리히 대학생, 항공우주 제조시간 단축시키는 3D 프린터 개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스위스 ETH 취리히의 학사 과정 6인으로 이루어진 학생팀이 항공우주 부품 제조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혁신적 다중 금속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이 프린터는 기존 제조 방식 대비 3분의 2 이상 생산 시간을 줄였으며, 여러 금속을 동시에 용융하는 독창적 기술을 적용해 소재 폐기물도 크게 줄였다.

 

ETH Zurich 뉴스, VoxelMatters, ETH Spark Award 2025 후보 발표, ETH Tech Transfer,  Precedence Research, GM Insights에 따르면, 이 새로운 3D 프린터는 RAPTURE 프로젝트의 산물로, 회전식 플랫폼을 도입하여 분말을 한층씩 쌓고 용융하는 기존 레이저 파우더 베드 퓨전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다.

 

기존 프린터들은 각 층 용융 후 분말 도포가 필요했지만, RAPTURE 시스템은 멈춤 없이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특히 회전형 플랫폼 방식은 로켓 노즐과 같은 원통형 부품에 이상적이다.

 

이 프로젝트는 스위스 학술 우주 이니셔티브(ARIS)가 추진하는 이액체 연료 로켓 노즐 제작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촉발됐다. ARIS는 100km 고도인 카르만 라인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극한의 열과 압력을 견뎌야 하는 로켓 노즐은 내부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외부는 내열성이 강한 니켈 합금이라는 다중 금속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복잡하고 고가의 공정으로 인해 소규모 팀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기술을 이번에 학생팀이 비용과 공정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며 구현한 것이다.

 

이 혁신 기술은 ETH 취리히가 특허를 출원해 법적 보호를 받고 있으며, 연말 개최 예정인 ETH Spark Award 2025의 최종 후보에도 이름을 올렸다. ETH Spark Award는 한 해 동안 출원된 특허 중 독창성과 시장 가능성을 기준으로 우수 기술을 가려내는 권위 있는 상이다. RAPTURE팀은 11월 27일 취리히 컨벤션 센터에서 결선 경쟁을 벌일 예정이다.

 

프로토타입의 최대 제작 직경은 20cm로, 현재 연구팀은 더 빠른 속도와 큰 부품 제작을 목표로 공정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 파트너와 협력 모색도 병행 중이다. 향후 항공우주뿐 아니라 전기차, 기계공학 등 고성능 다중 금속 부품이 필요한 산업 분야 전반에 혁신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항공우주 산업 전반에서 3D 프린팅 기술은 부품 중량 감소와 생산 시간 단축, 복잡한 설계 구현에 탁월한 효과를 내고 있다. 특히 금속 3D 프린팅 시장은 2025년 약 3억4000만 달러 규모에서 2034년에는 9억5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고강도, 경량화, 내열·내부식 특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ETH 학생팀의 빠르고 효율적인 다중 금속 3D 프린팅 기술은 항공우주 제조업의 혁신적 전환뿐 아니라, 글로벌 3D 프린팅 산업 성장에도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구글 딥마인드 AI, 중력파 검출기 잡음 100분의 1로 줄여 '우주관측 혁신'…"블랙홀 신호 100배 정밀 탐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우주과학 연구진이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중력파 검출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중력파가 별의 폭발, 블랙홀 병합, 중성자별 충돌 등 거대 우주 사건을 관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진·바람·온도 등 다양한 외부 요인과 제어 시스템 잡음이 신호 감지에 방해가 돼 왔다. 이번 AI 기반 제어기술은 그러한 잡음을 기존보다 최대 100분의 1로 크게 줄여 관측 민감도와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중력파 검출기 라이고(LIGO)는 레이저 간섭계 기반으로 4km 길이의 진공 터널 내부 양 끝에 설치된 거울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중력파를 관측한다. 기존 제어 시스템은 거울 위치 제어 시 발생하는 잡음 때문에 10~30헤르츠(Hz) 저주파 대역에서 신호 탐지에 한계가 있었고 특히 중간 질량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충돌 초기 신호를 선명히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강화학습 기반 AI 기법인 ‘딥 루프 셰이핑(Deep Loop Shaping)’을 도입해 라이고 거울의 위치 제어를 최적화했다. AI는 자체 시뮬레이션을 반복하며 잡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학습

“2045년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우주청, ‘우주탐사 로드맵’ 확정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이 2045년까지 ‘우주항공 5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번 로드맵은 인류의 우주 지식 확장과 우주경제 영토 확보를 두 축으로 하며, 지구저궤도 미세중력 활용부터 달·화성 탐사, 태양 및 우주 과학 등 5대 핵심 프로그램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실행 계획을 담고 있다. 우주청은 지난 8월 28일부터 9월 4일까지 제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거쳐 이 로드맵을 확정했다. 비전은 ‘인류 지식과 우주경제 영토의 확장’으로 설정, 우주의 기원과 태양계 진화에 대한 과학적 탐사와 더불어 우주자원 활용, 달·화성 기지 건설,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핵심 정책 과제로 삼았다. 이를 통해 2045년까지 우주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이다. 달 탐사 분야에서는 2032년까지 무인 착륙선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2040년까지 차세대 달 착륙선 개발, 2045년에는 달의 자원 활용과 경제 기반 구축을 위한 달 기지 건설을 추진한다. 우주과학에선 2035년까지 태양과 지구의 중력 장이 평형을 이루는 라그랑주 점 L4에 태양 관측 위성 배치를 계획하고 있다. 화성 탐사도 포함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