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에서 잘파세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은 ‘에브리타임’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2위 디스코드(Discord) 3위는 X(엑스, 트위터), 4위는 핀터레스트(Pinterest), 5위는 네이버 웹툰 순으로 조사됐다. 잘파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20년대 중반에 출생한 세대를 의미하는 용어로, Z세대와 알파세대를 합친 합성어다. 현재 10대부터 20대 중반까지의 연령층을 포함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자라난 세대로 최신 기술을 빠르게 수용하고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잘파세대가 많이 사용하는 앱의 사용자 비율과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 평균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잘파세대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앱은 ‘에브리타임’으로, 85.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디스코드(Discord) 67.4%, X(엑스) 63.8%, 핀터레스트(Pinterest) 62.7%, 네이버 웹툰 57.3%, 지그재그 57%, 브롤스타즈 51.5%, 무신사 51.2%, 에이블리 50.8%, 번개장터 50.3% 순이었다. 또 잘파세대 사용 비율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3억 달러(약 4100억원) 규모의 주식 매각에 나선다. 아울러 기업가치를 1130억 달러(약 155조원)로 산정했다. 이번 세컨더리(기존 주주 지분 매각) 거래는 글로벌 AI 투자 열기와 맞물려, xAI의 경쟁력과 성장성을 시장에서 다시 한 번 인정받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xAI, 직원 보유 주식 3억 달러 매각…신규 투자 유치도 예고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등이 6월 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xAI는 이번 거래를 통해 직원들이 보유한 주식을 외부 투자자에게 매각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자주 활용되는 ‘세컨더리 딜’로, 기존 임직원에게 유동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신규 투자자에게 비상장 유망 기업에 투자할 기회를 열어준다. 이번 매각이 성공하면 xAI의 기업가치는 1130억 달러(약 155조원)에 달하게 된다. 이는 3월 머스크가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를 xAI에 통합하며 평가받은 800억 달러(약 110조원)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다. “AI 초격차” 위한 대규모 자금 조달…신규 투자 라운드도 준비 빅테크업계에 따르면, xAI는 이번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국내 가구업계를 뒤흔드는 대형 담합·갑질 의혹 사건이 연이어 터지면서, 시장 공정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검찰이 한샘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한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현대리바트와 에이스침대 본사에 대해 대리점 갑질 의혹 현장 조사를 진행하며 가구업계 주요 기업들의 불공정 행위 실태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한샘, 10년간 ‘아파트 시스템가구’ 입찰 담합…검찰 강제수사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는 지난 6월 초 한샘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이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16개 건설사가 발주한 190건의 아파트 시스템가구 입찰에서 한샘을 포함한 4개 업체가 낙찰 예정자와 입찰 가격을 사전에 합의하는 등 조직적 담합을 벌였다는 공정위 고발에 따른 것이다. 담합 성공 건수는 167건, 관련 매출액은 약 3324억원에 달한다. 이뿐만 아니라 한샘은 10년간 빌트인 특판가구 입찰에서도 31개 가구업체와 함께 담합해 공정위로부터 총 93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2025년 2월에도 20개 시스템가구 업체가 담합해 183억원 과징금과 검찰 고발을 당하는 등 ‘담합 단골기업’이라는 오명을 벗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가 미국 자율주행 업계의 거물 헨리 콴(Henry Kuang)을 AI 및 딥러닝 자율주행 담당 디렉터로 영입했다. 콴은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Cruise)에서 자율주행 총책임자를 지낸 인물로, 테슬라의 로보택시(무인 자율주행 택시) 사업 확대와 기술력 강화의 핵심 인재로 주목받고 있다. 콴의 합류는 최근 테슬라 오토파일럿(Autopilot) 및 자율주행 부문에서 잇따른 고위 임원 이탈, 대규모 구조조정, 그리고 AI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중심의 전략 전환이라는 격변의 한가운데 이루어졌다. 실제로 지난 6월 말, 오미드 애프샤(Omead Afshar) 등 핵심 임원들이 동반 퇴사하는 등 조직 불안정이 이어지고 있다. 헨리 콴의 자율주행 이력…페이스북에서 크루즈까지 헨리 콴은 메타(구 페이스북)에서 시니어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해, 2020년 크루즈로 이직해 '퍼셉션(Perception) 팀'을 이끌었고, 이후 자율주행 총괄(Senior Director, Head of Autonomy)로 승진했다. 크루즈에서 그는 센서 융합, AI 비전,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을 총괄하며, 2023년 크루즈의 대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올여름엔 G-DRAGON(지드래곤)이 여기어때 여행 가이드로 나선다. 대한민국 대표 여행·여가 플랫폼 여기어때(대표 정명훈)가 여름 캠페인의 모델로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아티스트 G-DRAGON을 발탁하고,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 영상을 공개한다. K-POP을 넘어 글로벌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G-DRAGON을 통해 새로운 여행 트렌드를 알리기 위함이다. 올해도 ‘여기어때 송’이 함께한다. G-DRAGON이 직접 여기어때 송의 멜로디로 ‘여행할때 여기어때’를 외친다. 캠페인 영상에서는 여러 명의 G-DRAGON이 등장해 함께 기차 여행을 떠난다. 그중 한 명이 단체 여행을 직접 리드하고, 캐리어 카트를 끌고 가는 등 여행 가이드로 나선다. 브랜드 캠페인 영상은 다음 달 1일 공개 예정이며, 여기어때 공식 유튜브 등 다양한 온ᆞ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용경 여기어때 브랜드실장은 “긴 시간 동안 사랑받으면서도 끊임없는 자기 혁신을 통해 대중에게 놀라운 경험을 전해온 G-DRAGON의 이미지가 여기어때의 브랜드 철학과 맞닿아 함께하게 됐다”며 “올여름 G-DRAGON이 소개하는 새로운 여행의 모습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라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상반기, 신한금융그룹 내부에 전례 없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일부 계열사를 중심으로 구조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그룹 차원의 조직 기강 재정비까지 겹치면서 전방위적인 변화 압박이 현실화되고 있다. 신한카드, 점유율 추락 후 대규모 구조조정 돌입 가장 큰 변화의 중심에는 신한카드가 있다. 신한카드는 2024년 말 기준 신용카드 시장 점유율 1위를 KB국민카드에 내주며 위기감이 고조됐다. 이에 따라 신한카드는 2025년 6월, 반년 만에 다시 대규모 희망퇴직 접수를 시작했다. 내부 자료에 따르면, 팀별 핵심 기능을 본부 중심으로 통폐합하며 팀장급 조직을 28% 축소하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동시에 진행 중이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비용 효율화와 자원 중복 최소화가 불가피하다”며 “조직 슬림화와 인력 재배치로 시장 경쟁력 회복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한은행, 디지털 전환 명분으로 인력 감축 가속 신한은행 역시 디지털 전환을 명분으로 지속적인 조직 슬림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희망퇴직 신청자는 541명으로, 전년 동기(264명)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신한은행은 2024년부터 디지털·IT 부문 중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콜마그룹 창업주 윤동한(78) 한국콜마 회장이 장남 윤상현(51) 콜마홀딩스 대표이사 부회장을 상대로 지주사 콜마홀딩스 주식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 그룹 내 남매 간 경영권 분쟁이 부자(父子) 간 법정 다툼으로 비화하면서, 국내 대표 오너가(家) 경영의 민낯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남매 갈등이 부자 소송으로…“합의 어겼다” 창업주 결단 윤 회장은 지난 5월 30일 서울중앙지법에 윤 부회장을 상대로 콜마홀딩스 주식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반환 대상은 2019년 12월 장남에게 부담부 증여한 콜마홀딩스 주식 230만주(무상증자 후 460만주)다. 현재 콜마홀딩스 최대주주는 윤상현 부회장(31.75%)이고, 장녀 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대표(7.45%), 윤 회장(5.59%)이 뒤를 잇는다. 이번 소송의 직접적 배경은 남매 간 경영권 갈등이다. 윤 부회장은 최근 콜마비앤에이치 이사진에 자신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라고 요구했으나, 윤여원 대표가 이를 거부했다. 이에 윤 부회장은 임시 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법원에 요청했고, 윤여원 대표는 이에 맞서 임시 주총 소집 허가의 위법성을 다투는 가처분을 신청했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6억5000만 달러(약 9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시리즈E 펀딩에는 캐시 우드의 ARK인베스트, 세쿼이아 캐피털, 스라이브 캐피털 등 글로벌 벤처투자 대형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뉴럴링크의 기업가치는 이번 투자 전 기준 약 90억 달러(12조4000억원)로 평가됐다. 임상 속도전…“생각만으로 기기 조작” 환자 5명 성공 뉴럴링크는 현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임플란트 칩 ‘텔레파시(Telepathy)’를 통해 전신마비 환자 5명에게 이식에 성공했다. 이들은 뇌파 신호만으로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고, 체스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을 탐색하는 등 디지털·물리적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비언어성 ALS 환자가 뉴럴링크 칩을 통해 AI 음성합성 기능으로 자신의 목소리로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사례도 공개됐다. FDA ‘혁신 의료기기’ 지정…글로벌 임상 확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뉴럴링크의 언어복원 장치와 시력복원 장치 모두에 ‘혁신 의료기기(Breakthrough Device)’ 지정을 부여했다. 이 제도는 생명을 위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