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에이스침대, GS그룹 등 주요 기업 오너들이 자녀에게 대규모로 주식을 증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안성호 에이스침대 대표가 두 아들에게 약 535억원 상당의 주식을 증여한 데 이어, 허서홍 GS리테일 대표 역시 부친으로부터 GS 주식 50만주(약 260억원)를 받을 예정이다. 이 같은 ‘증여 러시’ 현상은 단순한 세대교체나 승계 차원을 넘어, 변화하는 세법과 기업 환경, 그리고 절세 전략이 맞물려 촉발된 구조적 트렌드로 분석된다. 최근 주요 ‘자식 증여’ 사례 에이스침대의 안성호 대표가 장남 안진환 씨와 차남 안승환 씨에게 각각 81만5115주(14.7%)를 증여했다. 두 아들 지분율은 2.65%에서 10%로 4배 가까이 늘었으며, 합산 지분은 20%에 달한다. 안 대표의 지분율은 69.26%에서 54.56%로 감소, 오너일가의 지배력 유지와 구조적 승계 포석이 동시에 진행된 셈이다. GS리테일의 허서홍 대표도 아버지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날 회장으로부터 GS 주식 50만주를 증여받을 예정이다. 지분율은 2.11%에서 2.64%로 증가하며, 증여 금액은 260억원에 달한다. 증여 이후 허 대표의 보유 주식은 250만주로 늘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가장 ‘실질적 영향력’을 갖는 기업인은 단연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 CEO로 떠올랐다. 미 경제 전문채널 CNBC를 비롯해 Reuters, Bloomberg 등 주요 외신들은 최근 “AI 칩 시장의 절대강자 엔비디아와 젠슨 황이 트럼프 집권 하 권력 핵심에 섰다”고 집중 분석했다. ‘쿡을 넘어선 황’…美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엔비디아로 교체 트럼프 1기 시절에는 애플의 팀 쿡 CEO가 미국 행정부와 중국 간 무역전쟁 속에서 거미줄 외교를 통해 양국 관계를 조율, 애플의 관세 면제 및 글로벌 성장세를 이끌어냈다는 평판을 얻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애플은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엔비디아에 내줬고, 엔비디아는 시총 4조달러(약 5700조원) 고지를 세계 최초로 돌파했다. 이는 글로벌 AI혁명의 ‘심장’에 엔비디아 칩이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젠슨 황, ‘AI 정치’의 설계자…트럼프와 최다 회동, 美中 양국 정책 주도 황 CEO는 2025년 들어 트럼프 대통령과 수차례 회동하며, 전략적으로 중동 방문을 동행해 수십만 개 AI칩을 아랍에미리트(UAE)에 공급하는 등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에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KT&G is setting a record by surpassing its domestic sales as its overseas cigarette sales are expected to exceed 900 billion won in the first half of 2025. This shows that the 'K-cigarette' brand is establishing a strong position in Asia and other emerging markets beyond Korea. Overseas Sales Leading Regions and Market Share Indonesia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of KT&G's overseas sales, and the locally launched 'Lil Hybrid' product is driving local demand. The Indonesian cigarette market has traditionally been dominated by filterless cigarettes,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NASA의 베테랑 우주비행사 배리 부치 윌모어(62세)가 25년간의 영예로운 우주 임무를 마치고 은퇴했다. NASA 공식 발표 및 인터뷰 보도를 비롯해 BBC, CNN, Space.com, Fox News 등 주요 글로벌 매체 보도에 따르면, 2000년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된 윌모어는 전투기 조종사 출신 해군 대령으로 우주 비행사 경력 동안 총 464일을 우주에서 보냈으며, 5회의 우주유영으로 32시간을 궤도 밖에서 활동했다. 이번 은퇴는 2024년 6월 보잉의 첫 유인 스타라이너(Starliner) 우주선을 타고 시작된 임무가 예기치 못하게 8일에서 286일간의 대장정으로 연장된 뒤 몇 달 만에 이뤄졌다. 9개월 ‘고립’ 임무와 기술적 난관 윌모어의 마지막 임무는 2024년 6월 5일 보잉 스타라이너의 첫 번째 시험 유인 비행이었다. 당초 8일간 임무를 목표로 했지만 헬륨 누출과 추진 장치 문제 등 심각한 기술적 결함 때문에 스타라이너가 승무원을 지구로 안전하게 데려올 수 없다고 판단했다. NASA는 승무원 안전을 최우선으로 스타라이너를 무인으로 지구에 돌려보내고, 윌모어와 동료 수니 윌리엄스(Suni Williams)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서부 하늘에서 치명적 참사로 번질 뻔한 항공기-전투기 공중접촉 사고가 발생했다. 2025년 7월 25일(현지시간) 오전 11시 56분경, 버뱅크 공항을 이륙해 라스베이거스로 향하던 사우스웨스트항공 1496편(보잉737)은 이륙 6분만에 전투기(퇴역 호커 헌터 Mk.58)와의 공중충돌 위기 속 8초간 475피트(약 145m)나 급강하했다고 ABC News, CNBC, CNN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교신·관제 사각서 놓친 ‘죽음의 거리’…생생했던 현장 플라이트레이더24 등 항적 분석에 따르면, 이날 두 기체는 불과 1.9마일(약 3.1km) 수평, 350피트(약 107m) 수직 거리까지 접근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간 충돌 회피 권고 수평 거리는 3마일, 수직 1000피트로 규정돼 있고, 이번 사례는 이를 크게 하회한 수치다. 전투기는 엘패소(El Paso) 출발, 캘리포니아 옥스나드로 향하던 퇴역 기체(등록번호 N335AX)로 밝혀졌다. 승무원 부상·승객 혼란…“탑승자들 비명, 머리 천장에 부딪혀” 급강하 도중 승무원 2명이 머리 부상을 입고, 라스베이거스 도착 후 치료받았다. 승객 중 부상자는 없었지만, 객실 내 승객 다수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전설적인 영화감독 제임스 카메론이 인공지능(AI)과 군사 무기 시스템의 결합에 대해 강력한 경고를 내놨다. 그는 특히 AI가 핵무기 체계와 같은 첨단 무기 시스템에 통합될 경우,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묘사한 것처럼 인류를 위협하는 종말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variety, NDTV, IGN, Indiatimes의 보도에 따르면, 카메론은 최근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AI와 무기 시스템, 특히 핵무기 및 핵 방어 반격 체계가 결합될 때 터미네이터 스타일의 재앙이 일어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대 군사 작전의 속도가 너무 빠르고 결정해야 할 순간이 매우 짧아 AI를 통한 초지능적 관리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인간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며, 인간의 실수가 국제적 핵전쟁 위기까지 몰고 온 사례들이 있음을 상기시켰다. 세 가지 실존적 위협의 동시 수렴 카메론은 인류가 동시에 직면한 세 가지 실존적 위협으로 기후 변화와 환경 파괴, 핵무기, 그리고 초지능 AI를 꼽았다. 이 세 가지 위험이 동시에 극에 달하며 인류 문명에 전례 없는 도전을 제기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초지능 AI가 인류 생존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수면 전문 브랜드 시몬스의 안정호 대표가 8월 4일 김민수 대표를 영입했다. 김 대표는 현장 중심형 럭셔리 브랜드 전문가로 루이비통 코리아 총괄대표를 역임했다. 이번 파격인사는 시몬스가 리빙업계를 넘어 럭셔리 시장으로 본격 진입하겠다는 포부로 해석된다. 또한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인재 영입에 적극 앞장서 온 시몬스의 미래 경쟁력 확보 행보와도 맥을 같이 한다. 김 대표는 지난 8년간 루이비통 코리아 재직 당시 부사장과 총괄대표를 차례대로 지내며, 7846억원(2019년)이던 매출을 1조 7484억원(2024년)까지 2배 이상 끌어 올린 현장 중심형 럭셔리 브랜드 전문가다. 앞서 샤넬코리아 영업총괄, W 호텔 서울과 SK 워커힐 호텔에서 인사 담당 등을 두루 경험한 실무 전문가이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5년 대한민국 대학생들이 가장 ‘일하고 싶은 직장’의 지형도에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7월 28일 발표한 ‘2025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 조사 결과, SK하이닉스가 7.1%의 지지를 받아 사상 처음 1위에 올랐다. 지난 2년간 절대강자였던 삼성전자는 3위(5.4%)로 내려앉으며, 산업계 전반에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보상’이 승부 가른다…SK하이닉스 상승 배경 올해 설문에는 국내 증시 시가총액 상위 170개사(6월 5일 기준, 지주사·금융사·공기업 제외)를 대상으로, 구직 중인 전국 대학생 1176명이 참가했다. SK하이닉스를 선택한 응답자 중 무려 66.7%가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 제도’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특히 남성(9.3%)과 공학·전자계열 전공자(16.8%) 사이에서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2위는 CJ ENM(6.7%)으로 복리후생(41.8%)이 핵심 선택 요인으로 꼽혔다. 여성(8.5%)과 인문·사회·상경·교육 계열(9.6%) 대학생에서 두드러진 인기를 얻었다. 지난해 2년 연속 1위였던 삼성전자는 5.4%로 3위에 그쳤으며, 주요 선택 이유 역시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The landscape of the global biopharmaceutical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CDMO) market is changing. Samsung BioLogics, the leader, is jumping at an unprecedented pace. In the first half of 2025, consolidated sales exceeded KRW 2 trillion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establishment, and it achieved double-digit growth year-on-year thanks to the full-scale operation of factories 4 and 5 and expansion of global orders, heralding yet another growth. Report Card for the First Half of 2025: ‘Best Performance’ Since Inception Samsung BioLogics (CEO John Lim)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한 차세대 미사일 방어체계 ‘골든돔(Golden Dome)’ 전략이 글로벌 우주 방위산업의 지형을 뒤흔들고 있다. 1750억달러(약 230조원)라는 역대급 사업비 아래, 발사체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해온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독점 구도가 흔들릴 조짐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아마존의 ‘프로젝트 쿠이퍼(Project Kuiper)’를 비롯한 다수 민간·방산업체에 참여를 타진하며 ‘다중 수상(複數 受賞)’ 경쟁구도로 전환했다고 Reuters, The Economic Times, The Straits Times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우주 미사일방패, 맨해튼 프로젝트를 넘어”…400~1000기 관측·추적 위성, 200기 공격 위성 골든돔 프로젝트는 중국, 러시아 등 잠재 위협국을 상정해 400~1000기의 관측·추적용 인공위성과 200기의 공격용 인공위성을 배치해 미국 본토 방위를 완성한다는 야심찬 설계를 담고 있다. 기존 지상 레이더 탐지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에 배치된 실시간 센서가 주요 미사일을 정밀 추적해 요격체가 직접 격추하는 기술적 청사진이 마련됐다. 미사일방어국(MDA)은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