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호 보그(Vogue) 미국판에 게스(Guess)가 실은 광고에서 인공지능(AI)으로 창조한 금발 여성 모델이 등장해 전 세계 패션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화려한 줄무늬 원피스와 백을 든 금발의 완벽한 모델. 하지만 이 화보의 하단에는 ‘AI 모델’임이 조그맣게 적혀 있었고, 이 사실이 대중에 알려지며 논란은 일파만파로 확산됐다. “모델 일자리·현실감 위협”…독자들 항의 쇄도·구독 취소 미국 ABC뉴스, CNN, BBC 등 다양한 매체는 이번 보그의 AI 모델 게재가 현실 모델은 물론 포토그래퍼,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 패션 생태계 전체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를 전했다. 실제로 레딧 등 해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현실 여성의 자리를 가짜가 빼앗았다”, “이젠 잡지도 안 본다”며 보그 구독을 해지하는 독자까지 속출했다. 한 틱톡 영상은 270만뷰를 넘기며 AI 모델 논란에 불을 지폈고, “실제 여성도 충분하다. 이제는 실존하지도 않는 ‘완벽한’ 모습을 요구받게 됐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AI 모델, 왜 문제인가?…‘미의 기준’ 획일화·다양성 후퇴 비판 비판의 핵심은 AI 모델이 대체로 ‘백인·금발·이상적 몸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ICT 기업 애플의 차세대 아이폰 주요 칩(이미지센서) 생산을 미국 텍사스 오스틴 파운드리(Foundry)에서 본격 개시한다. 애플이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삼성과 협력해 글로벌 최초로 적용되는 혁신적 칩 제조기술을 오스틴 공장에서 개발·생산 중”임을 선언하며, 차세대 아이폰 등 주요 제품의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반도체를 미국 현지에서 우선 공급한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생산되는 칩이 차기 아이폰18 시리즈에 탑재될 이미지센서(CIS: CMOS Image Sensor)로,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의 대표 브랜드인 ‘ISOCELL’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 아이소셀(ISOCELL) 센서는 기존 삼성 갤럭시, 샤오미, 비보, 모토로라 등과 함께 최근 애플 공급망에도 이름을 올리며, 소니(점유율 50% 이상)가 독점하던 애플 이미지센서 공급구조에 균열을 가져왔다. 美 현지화 전략과 삼성 파운드리 부문 반전 신호탄 애플의 이번 발표는 단순 부품 조달을 넘어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현지화’ 전략의 일환이다. 애플은 “이번 기술을 미국 시장에 먼저 도입함으로써, 오스틴 시설이 아이폰 등 전 세계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의 보링 컴퍼니가 내슈빌 국제공항과 내슈빌 시내를 연결하는 지하 터널 계획을 공개하며 미국 교통 인프라 시장에 충격을 던지고 있다. 이는 교통 혼잡이 증가하는 도시에 대한 보링 컴퍼니의 또 하나의 야심찬 진출을 의미한다. 7월 29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의 보링 컴퍼니(The Boring Company)와 미국 테네시주는 '뮤직시티 루프(Music City Loop)’ 프로젝트를 발표했다고 Axios, NewsChannel5 등의 매체들이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내슈빌 국제공항과 내슈빌 시내를 연결하는 공항~도심 약 8~10마일(16km) 구간의 초고속 지하터널로 기존 차량 이동시간(20~30분)을 약 8분 수준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은 전액 민간자금 유치로 추진되며, 미국 도시 교통지형이 바뀌는 신호탄이 될 지 주목받고 있다. 사업 개요와 추진 구조 ‘뮤직시티 루프’는 내슈빌 국제공항과 다운타운 간을 연결하며, 머프리즈버로 파이크(Murfreesboro Pike) 도로 아래 약 8~10마일 전용 터널을 건설한다. 테슬라 전기차가 승객을 실어 나르며, 주관은 테네시주 교통국(TDOT), 시공·자금은 전액 보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피츠버그 기반의 로보틱스 스타트업 스킬드AI(Skild AI)가 아마존과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거대 자본의 지원을 업고 범용 로봇 뇌 '스킬드 브레인(Skild Brain)'을 전격 선보이며 전 세계 로봇 산업 지형 변화를 알렸다. 이는 기존 단일작업 자동화에서 벗어나, 모든 형태와 용도의 로봇에 인간 수준의 적응·판단력을 부여하는 'AI 로봇의 GPT 시대' 개막을 의미한다. 모든 로봇에 '인간형 두뇌'…공장·물류는 기본, 가정·노년 케어까지 Economic Times, Business Today, AI CERTs News, skild.ai 등의 매체들은 지난 7월 29일(현지시각) '스킬드 브레인'을 공개했다. 이는 공장 조립 라인, 물류 현장은 물론 인간형 로봇, 서비스 로봇 등 사실상 모든 플랫폼에 탑재될 수 있도록 설계된 획기적 인공지능 '기반모델'(foundation model)이다. 실제 시연 영상에선 계단 오르기, 강한 충격 후 균형 잡기, 복잡한 환경 속 물건 집기 등 고차원적 공간지각 및 실시간 적응이 필수적인 행동을 가뿐히 구현했다. 대부분 현장 공장 로봇이 넘지 못했던 한계를 기술적으로 뛰어넘은 사례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삼성화재 주식의 회계처리 방식을 두고 금융권과 학계가 논쟁에 휩싸였다.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우찬 고려대 교수)는 7월 30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에 공식 질의서를 보내 “국제적 회계기준과 해외 사례, 제도적 일관성”을 근거로 명확한 해석과 신속한 기준 제시를 요구했다. 이 쟁점은 단순 ‘지분율 게임’을 넘어, 한국 자본시장의 투명성과 글로벌 신뢰를 가늠하는 기준이 될 전망이다. 15.43% 지분, “자회사 편입”과 “지분법”의 경계에서 2024년 말 기준, 삼성생명은 삼성화재 주식 14.98%(7,009,088주)를 보유하고 있었다. 2025년 4월 삼성화재 자기주식 소각으로 지분율이 15.43%로 상승, 보험업법상 자회사 편입(15% 초과)에 해당하게 됐다. 삼성생명은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했다. 지금까지 삼성생명은 삼성화재 주식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FVOCI)’ 금융자산으로 분류해 왔다. 하지만 자회사 편입 이후에는 실질적 유의적 영향력(significant influence) 여부를 기준으로 ‘지분법(Equity Method)’ 회계처리를 도입해
◆ 욕망은 억눌러야 할 적이 아니라, 마음이 보내는 가장 정직한 메시지다. 오늘 난 내 욕망에 완벽하게 져버렸다. 솔직히 말하면,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달콤한 아이스크림의 맛이 혀끝에 맴도는 것 같다. 며칠 전, 내 팔에 작은 원형의 ‘스파이’를 하나 붙였다. 바로 연속혈당측정기(CGM). 가족력 때문에 혈당에 대한 걱정을 늘 안고 살았는데, 이 장치는 24시간 내 몸의 변화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보여준다. 이제 데이터에 기반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겠구나 기대가 컸다. 역시 기계는 성실하고 똑똑하다. 내가 뭘 먹고, 언제 스트레스를 받는지에 따라 혈당 그래프는 춤을 추듯 오르내렸다. 마치 내 몸 안에 24시간 나를 지켜보는 작은 코치가 생긴 기분이랄까. 그런데 금세 깨달았다. 나는 혈당의 주인이 아니라, 숫자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다는 걸. '착한 숫자'를 보려고 먹고 싶은 걸 억지로 참고, 예상치 못하게 수치가 튀어 오르면 죄책감과 스트레스가 몰려왔다. 아이러니하게도, 건강을 위한 도구가 새로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 셈이다. 그리고 오늘, 사건이 터졌다. 유난히 힘든 하루를 보낸 저녁, 이미 식사 후 혈당은 가파르게 오르고 있었다. 내 몸이 보내는 명백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랜드월드(대표 조동주)에서 전개하는 여성 란제리 브랜드 에블린(EBLIN)이 '시로코(SIROCCO)’ 컬렉션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시로코 컬렉션은 물결치는 사하라 사막의 열기, 눈부신 지중해 햇살에서 영감 받아 탄생한 신규 언더웨어 컬렉션이다. 에블린은 금빛 컬러감과 레이스 디자인을 적용한 시로코 컬렉션을 통해 고급스럽고 감각적인 여름 언더웨어 스타일링을 제안한다. 해당 컬렉션은 ▲노와이어 젤푸쉬 ▲반컵브라 ▲레이스팬티 ▲티팬티 ▲햄팬티 ▲뷔스티에 ▲슬립 ▲랩스커트 ▲목걸이와 참 악세서리 3종 등 다채로운 아이템으로 구성됐다. 이랜드 에블린 관계자는 "시로코 컬렉션은 지중해 태양 아래 금빛 모래에서 영감 받아 선보이는 언더웨어 컬렉션"이라고 말하며, "이번 컬렉션을 통해 여름 휴가지에서 감각적인 리조트룩을 완성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에블린 시로코 컬렉션은 에블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러시아 캄차카 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8.8의 강력한 지진이 러시아의 국가 핵심 전략자산인 리바치(Rybachiy) 핵잠수함 기지에 부분적인 피해를 입힌 것으로 위성사진 분석 결과 확인됐다. The Telegraph, Radio Free Europe, United24 Media의 보도에 따르면, 지진의 epicenter(진앙)으로부터 약 75~120km 떨어진 이 기지는 러시아 태평양함대 핵잠수함 운용의 중추적 거점으로, 보레이(Borei)급 전략탄도미사일잠수함과 야센-M(Yasen-M) 공격원잠이 배치돼 있다. 이들 잠수함은 수백 기의 핵탄두를 탑재해 러시아의 전략 억제력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플래닛 랩스(Planet Labs) 위성영상에 따르면, 리바치 기지 내 부유식 부두 일부 구간이 강진 이후 발생한 쓰나미의 영향으로 계류지에서 분리됐다. 현장에 당시 정박해 있던 것은 잠수함이 아닌 수상함이었으며, 부두 구조물 이외에 추가 대규모 피해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 영국 왕립군사연구소(RUSI)의 시드하르트 카우샬 박사는 “부두 파손은 해상 충격에 의한 것으로, 기지의 핵 잠수함 운용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도널드 트럼프와 결별하며 신당 ‘아메리카당’ 창당을 공식 선언했음에도, 미국 공화당에 올해 개인 기부금 중 최고액인 1000만 달러(약 140억원)를 전달한 사실이 미국 정가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 정가와 Politico, CNN, Bloomberg, NBC 등의 매체에 따르면, 머스크는 2025년 6월 27일 미 연방 상원과 하원의 공화당 슈퍼팩(특별정치활동위원회)에 각각 500만 달러씩, 총 1000만 달러를 기부했다. 공식 FEC(연방선거관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이는 올 상반기 슈퍼팩으로 들어간 개인 기부 중 단연 최대 규모다. 이로써 머스크는 공화당 하원·상원 슈퍼팩의 최대 개인기부자가 되었다. 상원 슈퍼팩(Senate Leadership Fund)의 상반기 모금액은 2640만 달러, 하원 슈퍼팩(Congressional Leadership Fund)은 3270만 달러에 달한다. 머스크의 기부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으나 단일 기부자로서의 존재감은 압도적이다. 특히 이 시기는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의 대형 감세·지출 예산 법안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역겹고 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