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토교통부와 기상청이 43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며, 안전운용체계 구축을 위한 본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이번 사업은 2027년부터 2030년까지 4년간 진행되는 'K-UAM 안전운용체계 실증(RISE)' 프로젝트로, 도심 내 고밀도 비행 환경에서의 안정적 운항을 목표로 한다.
도심항공교통은 30km 구간 내에서 최대 8대의 UAM(도심형 수직이착륙기)이 동시에 비행하는 복잡한 환경을 가정하고, 기존 항공 관제 시스템과 통신·항법 기술로는 실시간 정밀한 비행상황 파악 및 지원에 한계가 있는 상황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교통관리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 자동화 ▲안전인증체계 구축의 3대 핵심 분야에서 총 13개 중요한 과제가 추진된다. 특히 AI 및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실시간 기상 관측·예측 기술 개발과 차세대 도심항공통신 기술도 포함되어, 전체 운항 안전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반영됐다.
이번 사업에는 민관협의체 ‘UAM팀코리아’ 소속 13개 워킹그룹의 약 80명 전문가와 220여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하여 기획안을 다층적으로 보완했다. 국토부는 R&D 전반을 총괄하며, 기상청은 도심 저고도 환경에 특화된 고해상도 기상 관측 및 예측 모델 개발을 담당한다.
울산시는 울주군 일원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실증 환경 조성에 나서며, 국내 개발 중인 기체와 항행시설 전반의 안전성을 세계적 수준으로 검증하기 위한 실증용 기체도 별도로 도입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 중인 1000억원 규모의 선행 R&D 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기술 개발의 연속성과 단절 없는 추진을 보장한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UAM팀코리아 위원장)은 "국가전략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인 K-UAM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기술 주도 성장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상청장의 경우 "도심 저고도 특화 기상 관측 및 예측 기술 고도화를 통해 K-UAM의 안전한 운항과 국민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은 이번 통합 실증사업의 중심지로서, 버티포트 운용·교통관리·안전 인증·항로 관제·디지털 트윈 등 도심항공교통 산업 전반의 인프라가 집적되는 미래형 하늘길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상용화 시점인 2032년 이전 안전 운용기술 확보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